최근 수정 시각 : 2024-04-06 03:20:33

노벨화학상/수상자

파일:The Nobel Prize.png
역대 노벨화학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d9f5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rowcolor=#cd9f51> 1901 1902 1903 1904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야코뷔스 헨드리퀴스 판트호프 헤르만 에밀 피셔 스반테 아레니우스 윌리엄 램지
<rowcolor=#cd9f51> 1905 1906 1907 190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아돌프 폰 바이어 앙리 무아상 에두아르트 부흐너 어니스트 러더퍼드
<rowcolor=#cd9f51> 1909 1910 1911 1912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빌헬름 오스트발트 오토 발라흐 마리 퀴리 빅토르 그리냐르
<rowcolor=#cd9f51> 1912 1913 1914 1915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폴 사바티에 알프레드 베르너 시어도어 윌리엄 리처즈 리하르트 빌슈테터
<rowcolor=#cd9f51> 1918 1920 1921 1922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프리츠 하버 발터 네른스트 프레더릭 소디 프랜시스 윌리엄 애스턴
<rowcolor=#cd9f51> 1923 1925 1926 1927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프리츠 프레글 리하르트 아돌프 지그몬디 테오도르 스베드베리 하인리히 오토 빌란트
<rowcolor=#cd9f51> 1928 1929 1930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아돌프 오토 라인홀트 빈다우스 아서 하든 한스 폰 오일러켈핀 한스 피셔
<rowcolor=#cd9f51> 1931 1932 1934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카를 보슈 프리드리히 베르기우스 어빙 랭뮤어 해럴드 클라이턴 유리
<rowcolor=#cd9f51> 1935 1936 1937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장 졸리오퀴리 이렌 졸리오퀴리 피터 디바이 월터 호어스
<rowcolor=#cd9f51> 1937 1938 1939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울 카러 리하르트 쿤 아돌프 부테난트 레오폴드 루지치카
<rowcolor=#cd9f51> 1943 1944 1945 1946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조르주 드 헤베시 오토 한 아르투리 일마르 비르타넨 제임스 B. 섬너
<rowcolor=#cd9f51> 1946 1947 1948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존 하워드 노스럽 웬들 매러디스 스탠리 로버트 로빈슨 아르네 티셀리우스
<rowcolor=#cd9f51> 1949 1950 1951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윌리엄 지오크 오토 딜스 쿠르트 알더 에드윈 맥밀런
<rowcolor=#cd9f51> 1951 1952 1953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글렌 시보그 아처 마틴 리처드 싱 헤르만 슈타우딩거
<rowcolor=#cd9f51> 1954 1955 1956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라이너스 폴링 빈센트 뒤비뇨 시릴 노먼 힌셜우드 니콜라이 세묘노프
<rowcolor=#cd9f51> 1957 1958 1959 1960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알렉산더 R. 토드 프레더릭 생어 야로슬라프 헤이로프스키 윌러드 리비
<rowcolor=#cd9f51> 1961 1962 196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멜빈 캘빈 존 켄드루 막스 페루츠 줄리오 나타
<rowcolor=#cd9f51> 1963 1964 1965 1966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카를 치글러 도러시 호지킨 로버트 번스 우드워드 로버트 샌더슨 멀리컨
<rowcolor=#cd9f51> 1967 1968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만프레트 아이겐 로널드 조지 레이퍼드 노리시 조지 포터 라르스 온사게르
<rowcolor=#cd9f51> 1969 1970 1971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디릭 바턴 오드 하셀 루이스 페데리코 를루아르 게르하르트 헤르츠베르크
<rowcolor=#cd9f51> 1972 197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크리스천 베이커 안핀센 스탠퍼드 무어 윌리엄 하워드 스타인 에른스트 오토 피셔
<rowcolor=#cd9f51> 1973 1974 1975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제프리 윌킨슨 폴 플로리 존 콘포스 블라디미르 프렐로그
<rowcolor=#cd9f51> 1976 1977 1978 197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 립스컴 일리야 프리고진 피터 데니스 미첼 허버트 찰스 브라운
<rowcolor=#cd9f51> 1979 1980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게오르크 비티히 폴 버그 월터 길버트 프레더릭 생어
<rowcolor=#cd9f51> 1981 1982 1983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후쿠이 겐이치 로알드 호프만 에런 클루그 헨리 타우버
<rowcolor=#cd9f51> 1984 1985 1986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로버트 브루스 메리필드 허버트 애런 하우프트먼 제롬 칼 더들리 로버트 허슈바크
<rowcolor=#cd9f51> 1986 1987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리위안저 존 찰스 폴라니 장 마리 렌 찰스 피더슨
<rowcolor=#cd9f51> 1987 1988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도널드 J. 크램 요한 다이젠호퍼 로베르트 후버 하르트무트 미헬
<rowcolor=#cd9f51> 1989 1990 199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시드니 올트먼 토머스 로버트 체크 일라이어스 제임스 코리 리하르트 로베르트 에른스트
<rowcolor=#cd9f51> 1992 1993 1994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루돌프 마커스 캐리 멀리스 마이클 스미스 조지 앤드루 올라
<rowcolor=#cd9f51> 1995 1996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울 크뤼천 프랭크 셔우드 롤런드 마리오 호세 몰리나 로버트 컬
<rowcolor=#cd9f51> 1996 1997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해럴드 크로토 리처드 스몰리 존 워커 폴 보이어
<rowcolor=#cd9f51> 1997 1998 1999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옌스 스코우 월터 콘 존 포플 아메드 즈웨일
<rowcolor=#cd9f51> 2000 200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앨런 히거 앨런 맥더미드 시라카와 히데키 윌리엄 S. 놀스
<rowcolor=#cd9f51> 2001 2002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노요리 료지 배리 샤플리스 다나카 고이치 존 B. 펜
<rowcolor=#cd9f51> 2002 2003 2004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쿠르트 뷔트리히 피터 아그리 로더릭 매키넌 어윈 로즈
<rowcolor=#cd9f51> 2004 2005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아브람 헤르슈코 아론 치에하노베르 이브 쇼뱅 로버트 그럽스
<rowcolor=#cd9f51> 2005 2006 2007 2008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리처드 R. 슈록 로저 콘버그 게르하르트 에르틀 로저 첸
<rowcolor=#cd9f51> 2008 200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마틴 챌피 시모무라 오사무 벤카트라만 라마크리슈난 토머스 스타이츠
<rowcolor=#cd9f51> 2009 201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아다 요나트 스즈키 아키라 네기시 에이이치 리처드 헥
<rowcolor=#cd9f51> 2011 2012 201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단 셰흐트만 브라이언 코빌카 로버트 레프코위츠 마이클 레빗
<rowcolor=#cd9f51> 2013 2014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마르틴 카르플루스 아리에 와르셸 에릭 베치그 슈테판 헬
<rowcolor=#cd9f51> 2014 2015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윌리엄 머너 토마스 린달 폴 모드리치 아지즈 산자르
<rowcolor=#cd9f51> 2016 2017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장피에르 소바주 프레이저 스토더트 베르나르트 L. 페링하 자크 뒤보셰
<rowcolor=#cd9f51> 2017 2018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요아힘 프랑크 리처드 헨더슨 조지 스미스 그레고리 윈터
<rowcolor=#cd9f51> 2018 201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프랜시스 아널드 요시노 아키라 존 굿이너프 스탠리 휘팅엄
<rowcolor=#cd9f51> 2020 202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제니퍼 다우드나 에마뉘엘 샤르팡티에 베냐민 리스트 데이비드 맥밀런
<rowcolor=#cd9f51> 2022 202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튀니지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캐럴린 버토지 모르텐 멜달 배리 샤플리스 문지 바웬디
<rowcolor=#cd9f51> 202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루이스 E. 브러스 알렉세이 예키모프 }}}}}}}}}}}}}}}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fff> 파일:The Nobel Prize.png노벨상
}}}
생리학·의학상 물리학상 화학상 문학상 평화상 경제학상
수상자 수상자 수상자 수상자 수상자 수상자


1. 개요2. 연도별 수상자
2.1. 1900년대2.2. 1910년대2.3. 1920년대2.4. 1930년대2.5. 1940년대2.6. 1950년대2.7. 1960년대2.8. 1970년대2.9. 1980년대2.10. 1990년대2.11. 2000년대2.12. 2010년대2.13. 2020년대

1. 개요

여기 있는 거의 모든 사람의 발견은 화학 관련 학과에 진학한 사람의 교과서(=전공서적)에 나와있다. 언제 나오느냐가 문제지, 하다 못해 노벨상 받은 연구업적이 아니더라도 어디선가 이름은 나온다.

초창기에는 동식물에서 유래하는 천연물(Natural Product)의 특성 규명이 수상 주제의 커다란 축을 이루다가, 최근에는 거의 생화학 분야의 전유물이 되다시피 할 정도로 비중이 급격히 높아졌다. 일부 주제의 경우에는 이게 왜 노벨생리학·의학상이 아니라 노벨화학상인지 의문이 들 정도. 때문에 기존의 순수 화학자들(물리화학, 유기화학, 무기화학, 분석화학)의 위기의식이 고조되는 상황이다.

2. 연도별 수상자

파일:The Nobel Prize.png
역대 노벨화학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d9f5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rowcolor=#cd9f51> 1901 1902 1903 1904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야코뷔스 헨드리퀴스 판트호프 헤르만 에밀 피셔 스반테 아레니우스 윌리엄 램지
<rowcolor=#cd9f51> 1905 1906 1907 190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아돌프 폰 바이어 앙리 무아상 에두아르트 부흐너 어니스트 러더퍼드
<rowcolor=#cd9f51> 1909 1910 1911 1912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빌헬름 오스트발트 오토 발라흐 마리 퀴리 빅토르 그리냐르
<rowcolor=#cd9f51> 1912 1913 1914 1915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폴 사바티에 알프레드 베르너 시어도어 윌리엄 리처즈 리하르트 빌슈테터
<rowcolor=#cd9f51> 1918 1920 1921 1922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프리츠 하버 발터 네른스트 프레더릭 소디 프랜시스 윌리엄 애스턴
<rowcolor=#cd9f51> 1923 1925 1926 1927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프리츠 프레글 리하르트 아돌프 지그몬디 테오도르 스베드베리 하인리히 오토 빌란트
<rowcolor=#cd9f51> 1928 1929 1930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아돌프 오토 라인홀트 빈다우스 아서 하든 한스 폰 오일러켈핀 한스 피셔
<rowcolor=#cd9f51> 1931 1932 1934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카를 보슈 프리드리히 베르기우스 어빙 랭뮤어 해럴드 클라이턴 유리
<rowcolor=#cd9f51> 1935 1936 1937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장 졸리오퀴리 이렌 졸리오퀴리 피터 디바이 월터 호어스
<rowcolor=#cd9f51> 1937 1938 1939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울 카러 리하르트 쿤 아돌프 부테난트 레오폴드 루지치카
<rowcolor=#cd9f51> 1943 1944 1945 1946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조르주 드 헤베시 오토 한 아르투리 일마르 비르타넨 제임스 B. 섬너
<rowcolor=#cd9f51> 1946 1947 1948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존 하워드 노스럽 웬들 매러디스 스탠리 로버트 로빈슨 아르네 티셀리우스
<rowcolor=#cd9f51> 1949 1950 1951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윌리엄 지오크 오토 딜스 쿠르트 알더 에드윈 맥밀런
<rowcolor=#cd9f51> 1951 1952 1953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글렌 시보그 아처 마틴 리처드 싱 헤르만 슈타우딩거
<rowcolor=#cd9f51> 1954 1955 1956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라이너스 폴링 빈센트 뒤비뇨 시릴 노먼 힌셜우드 니콜라이 세묘노프
<rowcolor=#cd9f51> 1957 1958 1959 1960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알렉산더 R. 토드 프레더릭 생어 야로슬라프 헤이로프스키 윌러드 리비
<rowcolor=#cd9f51> 1961 1962 196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멜빈 캘빈 존 켄드루 막스 페루츠 줄리오 나타
<rowcolor=#cd9f51> 1963 1964 1965 1966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카를 치글러 도러시 호지킨 로버트 번스 우드워드 로버트 샌더슨 멀리컨
<rowcolor=#cd9f51> 1967 1968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만프레트 아이겐 로널드 조지 레이퍼드 노리시 조지 포터 라르스 온사게르
<rowcolor=#cd9f51> 1969 1970 1971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디릭 바턴 오드 하셀 루이스 페데리코 를루아르 게르하르트 헤르츠베르크
<rowcolor=#cd9f51> 1972 197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크리스천 베이커 안핀센 스탠퍼드 무어 윌리엄 하워드 스타인 에른스트 오토 피셔
<rowcolor=#cd9f51> 1973 1974 1975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제프리 윌킨슨 폴 플로리 존 콘포스 블라디미르 프렐로그
<rowcolor=#cd9f51> 1976 1977 1978 197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 립스컴 일리야 프리고진 피터 데니스 미첼 허버트 찰스 브라운
<rowcolor=#cd9f51> 1979 1980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게오르크 비티히 폴 버그 월터 길버트 프레더릭 생어
<rowcolor=#cd9f51> 1981 1982 1983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후쿠이 겐이치 로알드 호프만 에런 클루그 헨리 타우버
<rowcolor=#cd9f51> 1984 1985 1986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로버트 브루스 메리필드 허버트 애런 하우프트먼 제롬 칼 더들리 로버트 허슈바크
<rowcolor=#cd9f51> 1986 1987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리위안저 존 찰스 폴라니 장 마리 렌 찰스 피더슨
<rowcolor=#cd9f51> 1987 1988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도널드 J. 크램 요한 다이젠호퍼 로베르트 후버 하르트무트 미헬
<rowcolor=#cd9f51> 1989 1990 199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시드니 올트먼 토머스 로버트 체크 일라이어스 제임스 코리 리하르트 로베르트 에른스트
<rowcolor=#cd9f51> 1992 1993 1994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루돌프 마커스 캐리 멀리스 마이클 스미스 조지 앤드루 올라
<rowcolor=#cd9f51> 1995 1996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울 크뤼천 프랭크 셔우드 롤런드 마리오 호세 몰리나 로버트 컬
<rowcolor=#cd9f51> 1996 1997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해럴드 크로토 리처드 스몰리 존 워커 폴 보이어
<rowcolor=#cd9f51> 1997 1998 1999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옌스 스코우 월터 콘 존 포플 아메드 즈웨일
<rowcolor=#cd9f51> 2000 200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앨런 히거 앨런 맥더미드 시라카와 히데키 윌리엄 S. 놀스
<rowcolor=#cd9f51> 2001 2002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노요리 료지 배리 샤플리스 다나카 고이치 존 B. 펜
<rowcolor=#cd9f51> 2002 2003 2004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쿠르트 뷔트리히 피터 아그리 로더릭 매키넌 어윈 로즈
<rowcolor=#cd9f51> 2004 2005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아브람 헤르슈코 아론 치에하노베르 이브 쇼뱅 로버트 그럽스
<rowcolor=#cd9f51> 2005 2006 2007 2008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리처드 R. 슈록 로저 콘버그 게르하르트 에르틀 로저 첸
<rowcolor=#cd9f51> 2008 200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마틴 챌피 시모무라 오사무 벤카트라만 라마크리슈난 토머스 스타이츠
<rowcolor=#cd9f51> 2009 201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아다 요나트 스즈키 아키라 네기시 에이이치 리처드 헥
<rowcolor=#cd9f51> 2011 2012 201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단 셰흐트만 브라이언 코빌카 로버트 레프코위츠 마이클 레빗
<rowcolor=#cd9f51> 2013 2014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마르틴 카르플루스 아리에 와르셸 에릭 베치그 슈테판 헬
<rowcolor=#cd9f51> 2014 2015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윌리엄 머너 토마스 린달 폴 모드리치 아지즈 산자르
<rowcolor=#cd9f51> 2016 2017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장피에르 소바주 프레이저 스토더트 베르나르트 L. 페링하 자크 뒤보셰
<rowcolor=#cd9f51> 2017 2018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요아힘 프랑크 리처드 헨더슨 조지 스미스 그레고리 윈터
<rowcolor=#cd9f51> 2018 201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프랜시스 아널드 요시노 아키라 존 굿이너프 스탠리 휘팅엄
<rowcolor=#cd9f51> 2020 202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제니퍼 다우드나 에마뉘엘 샤르팡티에 베냐민 리스트 데이비드 맥밀런
<rowcolor=#cd9f51> 2022 202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튀니지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캐럴린 버토지 모르텐 멜달 배리 샤플리스 문지 바웬디
<rowcolor=#cd9f51> 202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루이스 E. 브러스 알렉세이 예키모프 }}}}}}}}}}}}}}}

2.1. 1900년대

연도 수상자(국적) 수상 내역 교과서 수록
1901 야코뷔스 헨드리퀴스 판트호프(네덜란드)화학동역학 법칙 및 삼투압 발견반트 호프의 법칙
1902 헤르만 에밀 피셔(독일)퓨린 합성에 관한 연구피셔 투영식[1], 피셔 증명[2]
1903 스반테 아레니우스(스웨덴)전기해리 이론염기의 정의[3]
1904 윌리엄 램지 경(영국)비활성 기체 원소 및 주기율표에서의 위치 발견[4]비활성 기체
1905 아돌프 폰 바이어(독일)[5]유기염료, 히드로방향족화합물에 관한 연구
1906 앙리 무아상(프랑스[6][7])플루오린 화합물 : 무아상로(爐) 도입
1907 에두아르트 부흐너(독일)비세포적 발효 발견부흐너 깔때기[8]
1908 어니스트 러더퍼드(뉴질랜드/영국)원소 붕괴 및 방사성 물질의 화학에 관한 연구알파입자 산란실험을 통한 원자핵의 발견과 행성모형
1909 빌헬름 오스트발트(독일)촉매, 화학평형과 반응속도에 대한 선구적 연구오스트발트 희석률(Law of dillution)
1910 오토 발라흐(독일)지방족 화합물의 결합에 관한 선구적 연구

2.2. 1910년대

연도 수상자(국적) 수상 내역 교과서 수록
1911 마리 퀴리(폴란드/프랑스)[9]라듐 및 폴로늄 발견 : 라듐 분리라듐 폴로늄[10]
1912 빅토르 그리냐르(프랑스)
폴 사바티에(프랑스)
그리냐르 시약(試藥) 발견
유기화합물의 수소화반응 방법
그리냐르 탄소결합 형성반응[11]
1913 알프레드 베르너(스위스)분자 내에서의 원자의 결합 연구배위수(coordination number)
1914 시어도어 윌리엄 리처즈(미국)[12]많은 원소의 원자량의 정밀 측정화학양론(stoichiometry)[13]
1915 리하르트 빌슈테터(독일)식물 색소, 특히 클로로필에 대한 선구적 연구
1916 수상자 없음
1917
1918 프리츠 하버(독일)암모니아 합성하버-보쉬법[14]
1919 수상자 없음
1920 발터 헤르만 네른스트(독일)열화학 분야에 관한 연구열역학 제3법칙, 네른스트 식(Nernst equation)

2.3. 1920년대

연도 수상자(국적) 수상 내역 교과서 수록
1921 프레더릭 소디(영국)방사성 물질의 화학:동위원소의 산출과 성질동위원소
1922 프랜시스 윌리엄 애스턴(영국)질량분석사진기를 이용한 연구:원자량 정수의 법칙원자량[15]
1923 프리츠 프레글(오스트리아/유고슬라비아)유기물질의 미량분석법원소 정량법[16]
1924 수상자 없음
1925 리하르트 아돌프 지그몬디(독일/헝가리)콜로이드 용액의 불균일 특성의 설명
1926 테오도르 스베드베리(스웨덴)분산계 연구초원심분리기[17]
1927 하인리히 오토 빌란트(독일)담즙산의 조성에 관한 연구
1928 아돌프 오토 라인홀트 빈다우스(독일)스테롤의 구조 및 비타민으로 전환될 수 있는 스테롤에 관한 연구
1929 아서 하든(영국)
한스 폰 오일러켈핀(스웨덴/독일)
당의 발효와 이 반응에 관여하는 효소작용에 대한 연구
1930 한스 피셔[18](독일)헤민, 클로르필 연구 : 헤민 합성

2.4. 1930년대

연도 수상자(국적) 수상 내역 교과서 수록
1931 카를 보슈(독일)
프리드리히 베르기우스(독일)
화학적 고압방법의 발명과 개발하버-보쉬법[19]
1932 어빙 랭뮤어(미국)[20]표면 화학에서의 발견과 연구Langmuir Isotherm
1933 수상자 없음
1934 해럴드 클라이턴 유리(미국)중수소 발견원자탄[21]
1935 장 프레데리크 졸리오퀴리(프랑스)
이렌 졸리오퀴리(프랑스)
새로운 방사성 원소 합성핵반응을 통한 원소 전환[22]
1936 페트뤼스 요세퓌스 빌헬뮈스 데베이에(네덜란드)[23]기체 속의 X선전자쌍극자 모멘트회절에 관한 연구쌍극자 모멘트
1937 월터 노먼 호어스(영국)
파울 카러(스위스)
탄수화물비타민 C 연구 / 카로티노이드, 플라빈, 비타민 연구
1938 리하르트 쿤[24](독일)카로티노이드 및 비타민 연구
1939 아돌프 부테난트[25](독일)
레오폴드 루지치카(유고슬라비아/스위스)
성 호르몬 연구, 폴리메틸렌 및 고테르펜 연구
1940 수상자 없음

2.5. 1940년대

연도 수상자(국적) 수상 내역 교과서 수록
1941 수상자 없음
1942
1943 조르주 드 헤베시(헝가리)화학 연구에 방사성 동위원소를 추적자로 이용Isotope labeling[26]
1944 오토 한(독일)[27]중핵분열 발견핵분열[28]
1945 아르투리 일마르 비르타넨(핀란드)사료[29]보존법 개발
1946 제임스 B. 섬너(미국)
효소가 결정화 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단백질 정제 및 결정화[30]
존 하워드 노스럽(미국)
웬들 매러디스 스탠리(미국)
순수한 형태로 효소와 바이러스 단백질을 준비
1947 로버트 로빈슨 경(영국)알칼로이드 및 기타 식물 생성물 연구모르핀, 스트리크닌 구조[31]
1948 아르네 티셀리우스(스웨덴)전기이동 및 흡착 분석법 연구 : 혈청 단백질전기영동법[32]
1949 윌리엄 지오크(미국)극저온에서의 물질의 운동
1950 오토 딜스(서독)
쿠르트 알더(서독)
디엔 합성 발견 및 개발딜스-알더(Diels-Alder) 반응[33]

2.6. 1950년대

연도 수상자(국적) 수상 내역 교과서 수록
1951 에드윈 맥밀런(미국)
글렌 T. 시보그[34](미국)
초우라늄 요소의 발견과 연구
1952 아처 마틴(영국)
리처드 싱(영국)
분배 크로마토그래피 개발크로마토그래피
1953 헤르만 슈타우딩거(서독)거대분자 연구Staudinger reaction(?) [35]
1954 라이너스 폴링(미국)[36]화학적 결합의 특성 연구전기 음성도, 혼성 오비탈
1955 빈센트 뒤비뇨(미국)폴리펩티드 호르몬 합성옥시토신, 바소프레신[37]
1956 시릴 노먼 힌셜우드 경(영국)
니콜라이 세묘노프(소련)
화학반응의 동역학 연구Lindermann-Hinshelwood 메커니즘
1957 알렉산더 R. 토드 남작(영국)뉴클레오티드류와 뉴클레오티드 조효소에 관한 연구
1958 프레더릭 생어(영국)인슐린 분자의 구조 결정Protein sequencing (Sanger's reagent, DNFB)[38]
1959 야로슬라프 헤이로프스키(체코슬로바키아)폴라로그래피의 발견과 개발
1960 윌러드 리비(미국)방사성 탄소 연대측정법 개발동위원소 반감기[39]

2.7. 1960년대

연도 수상자(국적) 수상 내역 교과서 수록
1961 멜빈 캘빈(미국)광합성 중에 발생하는 화학적 단계 연구캘빈 회로
1962 존 켄드루(영국)
막스 페루츠(영국)
헴단백질(hemoprotein)의 구조 결정phase problem 해결(?)[40]
1963 줄리오 나타(이탈리아)
카를 치글러(서독)
플라스틱 분야에서 중합체의 구조와 그 합성치글러-나타(Ziegler-Natta) 중합촉매[41]
1964 도러시 호지킨(영국)[42]악성빈혈 퇴치에 꼭 필요한 생화학적 화합물의 구조 결정X-ray 회절 결정 구조분석법(?)[43][44]
1965 로버트 번스 우드워드(미국)과거 생물에 의해서만 산출된다고 여겼던 스테롤, 클로로필의 합성천연화합물 전합성[45]
1966 로버트 샌더슨 멀리컨(미국)[46]분자의 화학결합 및 전기적 구조에 관한 연구멀리컨 전기 음성도
1967 만프레트 아이겐(서독)
로널드 조지 레이퍼드 노리시(영국)
조지 포터(영국)
초고속 화학반응에 관한 연구반응속도론[47]
1968 라르스 온사게르(미국/노르웨이)비가역과정의 열역학 이론 연구
1969 디릭 바턴(영국)
오드 하셀(노르웨이)
특정 유기화합물의 3차원적 형태결정에 대한 연구Cyclohexane conformation[48]
1970 루이스 페데리코 를루아르(아르헨티나)[49]탄수화물의 생합성(生合成)에서 당(糖) 뉴클레오티드와 그 역할 발견

2.8. 1970년대

연도 수상자(국적) 수상 내역 교과서 수록
1971 게르하르트 헤르츠베르크(캐나다/서독)분자 구조에 대한 연구자유 라디칼 화학
1972 크리스천 베이커 안핀센(미국)
스탠퍼드 무어(미국)
윌리엄 하워드 스타인(미국)
효소 화학에 기초 공헌단백질 접힘[50]
1973 에른스트 오토 피셔(서독)
제프리 윌킨슨(영국)
유기금속 화학윌킨슨(Wilkinson) 로듐 수소화촉매[51]
1974 폴 플로리(미국)긴 사슬을 가진 분자에 관한 연구플로리-허긴스 이론
1975 존 콘포스(호주/영국)
블라디미르 프렐로그(유고슬라비아/스위스)
입체화학 연구Cahn-Ingold-Prelog 시스템(작용기 우선순위 결정법)
1976 윌리엄 립스컴(미국)보란의 구조B2H6(...)[52]
1977 일리야 프리고진(벨기에)[53]열역학의 영역 확대비평형 열역학[54]
1978 피터 데니스 미첼(영국)생물계에서 에너지 이동과정 이론을 공식화ATP, NAD, FAD
1979 허버트 찰스 브라운(미국)
게오르크 비티히(서독)
유기물질의 합성에서 붕소(硼素)와 (燐) 화합물 도입비티히(Wittig) 시약[55]
1980 폴 버그(미국)
월터 길버트(미국)
프레더릭 생어(영국)[56]
핵산 염기서열 분석 방법 고안Sanger DNA sequencing[57]

2.9. 1980년대

연도 수상자(국적) 수상 내역 교과서 수록
1981 후쿠이 겐이치(일본)
로알드 호프만(미국/폴란드)
화학반응의 궤도함수 대칭 해석방향족 분자 오비탈[58]
1982 에런 클루그(영국/남아공)생물학적 물질의 구조 결정cryo-EM(?)[59]
1983 헨리 타우버(미국)전자이동 연구
1984 로버트 브루스 메리필드(미국)폴리펩티드 합성방법 개발메리필드 고체상 폴리펩티드 합성법[60]
1985 허버트 애런 하우프트먼(미국)
제롬 칼(미국)
작은 분자의 화학구조를 추론하는 수학적 방법 개발phase problem 해결[61]
1986 더들리 로버트 허슈바크(미국)
리위안저(대만/미국)[62]
존 찰스 폴라니(캐나다/헝가리)
기초 화학반응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 개발화학동역학[63]
1987 도널드 J. 크램(미국)
장 마리 렌(프랑스)
찰스 J. 피더슨(미국)[64]
다른 분자와 결합할 수 있는 분자 개발Host-guest chemistry[65]
1988 요한 다이젠호퍼(서독)
로베르트 후버(서독)
하르트무트 미헬(서독)
광합성에 필요한 단백질 구조 발견
1989 시드니 올트먼(캐나다/미국)
토머스 로버트 체크(미국)
RNA의 기본적 성질 발견RNA WORLD[66]
1990 일라이어스 제임스 코리(미국)복잡한 분자를 합성하기 위한 역합성 분석법 개발역합성 전체[67]

2.10. 1990년대

연도 수상자(국적) 수상 내역 교과서 수록
1991 리하르트 로베르트 에른스트(스위스)핵자기 공명 분광학 개발NMR 분석법[68]
1992 루돌프 아서 마커스(미국/캐나다)분자 간 전자이동에 대한 설명
1993 캐리 멀리스[69](미국)
마이클 스미스(캐나다)
유전자 연구와 조작기술 고안PCR
1994 조지 앤드루 올라(헝가리/미국)탄화수소 분자의 연구기술 개발5배위 탄소[70][71]
1995 파울 크뤼천(네덜란드)
마리오 J. 몰리나(멕시코)
프랭크 셔우드 롤런드(미국)
대기 화학, 특히 오존의 형성과 분해에 관한 그들의 업적오존층 파괴 메커니즘(...)[72]
1996 로버트 컬(미국)
해럴드 크로토(영국)
리처드 스몰리(미국)
새로운 탄소화합물인 풀러렌의 발견풀러렌[73][74]
1997 존 어니스트 워커(영국)
폴 보이어(미국)
옌스 스코우(덴마크)[75]
ATP 합성효소 발견ATP 합성효소[76]
1998 월터 콘(미국)
존 포플(영국)
컴퓨터를 사용한 분자반응 연구방법 고안[77]GAUSSIAN 98
1999 아메드 즈웨일(이집트/미국)초고속 레이저 분광학 기술을 이용한 화학반응 연구펨토초 레이저 분광학[78]
2000 앨런 J. 히거(미국)
앨런 맥더미드(미국/뉴질랜드)
시라카와 히데키(일본)
전도성 플라스틱 개발[79]

2.11. 2000년대

연도 수상자(국적) 수상 내역 교과서 수록
2001 윌리엄 S. 놀스(미국)
노요리 료지(일본)
카이랄성 촉매 수소화 반응에 대한 연구Sharpless Epoxidation[80]
K. 배리 샤플리스(미국)카이랄성 촉매 산화 반응에 대한 연구
2002 존 B. 펜(미국)
다나카 고이치[81](일본)
생물학적 거대 분자(macromolecule)의 질량 분석을 위한 연성 탈착 이온화 방법의 개발ESI, MALDI[82]
쿠르트 뷔트리히(스위스)용액에 있는 생물학적 고분자의 3차원 구조를 결정하기 위한 핵자기 공명 분광법의 개발
2003 피터 아그리(미국)물 통로들(Water Channels)의 발견
로더릭 매키넌(미국)이온 통로들(Ion Channels)의 구조 및 기계론적 연구
2004 어윈 로즈(미국)
아브람 헤르슈코(이스라엘)[83]
아론 치에하노베르(이스라엘)
단백질 분해를 조절하는 세포 내 메커니즘 발견유비퀴틴화(Ubiquitination)[84]
2005 이브 쇼뱅[85](프랑스)
로버트 그럽스(미국)
리처드 R. 슈록(미국)
유기합성에의 메타텍스 방법의 개발Grubbs 촉매(Olefin Metathesis)[86]
2006 로저 콘버그(미국)[87]유전자 정보 전사과정연구
2007 게르하르트 에르틀(독일)표면 화학 분야에 대한 새로운 연구표면화학[88]
2008 로저 첸[89](미국)
마틴 챌피(미국)
시모무라 오사무[90](일본)
녹색 형광 단백질인 GFP의 발견과 개발녹색 형광 단백질 [91][92]
2009 벤카트라만 라마크리슈난(인도/영국/미국)
토머스 스타이츠(미국)
아다 요나트(이스라엘)[93]
리보솜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연구리보솜 구조
2010 리처드 헥(미국)
네기시 에이이치(일본)
스즈키 아키라(일본)
팔라듐 촉매교차결합 연구팔라듐 관여 C-C결합 형성반응[94]

2.12. 2010년대

연도 수상자(국적) 수상 내역 교과서 수록
2011 단 셰흐트만[95][96](이스라엘/미국)준결정 발견
2012 브라이언 코빌카(미국)
로버트 레프코위츠(미국)[97]
G 단백질 연결 수용체(GPCR)[98] 연구GPCR[99]
2013 마르틴 카르플루스(오스트리아/미국)
마이클 레빗(미국/영국/이스라엘/남아공)
아리에 와르셸(이스라엘/미국)
복잡한 화학 시스템을 위한 멀티스케일 모델의 개발[100]Karplus equation[101]
2014 에릭 베치그(미국)
슈테판 헬(독일/루마니아)
윌리엄 머너(미국)
초고해상도 형광 현미경 개발
2015 토마스 린달(스웨덴/영국)
폴 모드리치(미국)
아지즈 산자르(터키/미국)[102]
DNA 수선 메커니즘 연구
2016 장피에르 소바주(프랑스)
프레이저 스토더트 (영국/미국)
베르나르트 L. 페링하(네덜란드)
기계적으로 맞물린 분자 구조(MIMs)의 설계 및 합성초분자화학[103]
2017 자크 뒤보셰(스위스)
요아힘 프랑크(독일/미국)
리처드 헨더슨(영국)
용액 내 생체 분자의 고해상도 구조 결정을 위한 극저온-전자 현미경 개발Cryo-EM[104]
2018 프랜시스 아널드(미국)
효소의 유도 진화(directed evolution) 발견
조지 P. 스미스(미국)
그레고리 윈터(영국)
펩타이드와 항체의 파지 제시법(phage display) 발견
2019 존 B. 굿이너프[105](미국)
스탠리 휘팅엄(영국/미국)
요시노 아키라(일본)
리튬-이온 전지 개발[106]
2020 에마뉘엘 샤르팡티에(프랑스)
제니퍼 A. 다우드나(미국)
유전자 편집(genome editing) 방법론 개발[107]

2.13. 2020년대

연도 수상자(국적) 수상 내역 교과서 수록
2021 베냐민 리스트(독일)
데이비드 맥밀런(영국/미국)
비대칭적 유기 촉매 개발
2022 캐럴린 R. 버토지(미국)
모르텐 멜달(덴마크)
K. 배리 샤플리스(미국)[108]
클릭 화학과 생물 직교 화학의 개척
2023 문지 바웬디(프랑스/튀니지/미국)
루이스 E. 브러스(미국)
알렉세이 예키모프(러시아/미국)
양자점의 발견 및 합성


[1] 당의 입체배열을 표시하는 방법[2] 포도당의 공간 절대배열을 밝혔다.[3] 그 밖에도 반응속도론 분야에도 많은 공헌을 했다. 아레니우스 식([math(k=A e^{- \frac{E_a}{RT}})])가 그 예.[4] 노벨물리학상 수상은 같이 연구를 했던 J.W.S 라일리가 했다.[5] 인디고 염료 최초 합성으로 유명하다.[6] 이 해의 화학상 후보에는 주기율표로 유명한 멘델레예프도 있었으나 근소한 표차로 무아상에게 돌아갔다. 이 때만 해도 주기율표는 단순히 원소의 주기성을 파악하고 이를 기준으로 배열한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었고, 왜 주기성이 존재하는지는 증명하지 못한 상태여서 상대적으로 그 평가가 낮았다. 게다가 당시 플루오린의 정제는 대단히 어려워서 많은 과학자들이 부상을 입거나 죽기까지 했으며 무아상 본인도 한쪽 눈을 잃을 정도였다.[7] 의외라면 의외겠지만, 최초의 약사 출신 수상자이다. 파리 약학대학 졸업. 사실 이 당시에는 약사화학자 사이의 구분이 매우 모호했던 상황이었다. 하기야 "chemist"라는 단어가 뭘 의미하는 것이었는지를 생각해본다면 그리고 우연의 일치일지는 모르겠으나 무아상이 분리해 낸 플루오린은 실제로 제약업계의 신약개발에서 엄~청 자주, 그리고 유용하게 쓰인다. 생체 대사 경로를 회피하고(생물은 탄소-불소 결합을 대사할 수 있는 효소가 없다.), 약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유리하게 바꿀 때(높은 전기음성도에 기인함) 이만큼 좋은 물질이 없기 때문.[8] 이름을 보고 오해하기 쉬우나, 사실 이건 이름이 비슷한 독일의 화학자인 에른스트 부흐너(Ernst Büchner)가 개발한 것이다. 본인은 세포에서 분리한 효소가 세포 밖에서도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여 수상하였다.[9] 퀴리 부인이라는 이름으로 유명한 그 분. 1903년 남편 피에르 퀴리와 함께 노벨물리학상 수상. 노벨상을 여럿 받은 사람 및 단체는 꽤 있으나 서로 다른 과학분야에서 수상한 것으로는 유일하다.[10] 사실 화학 관련 교재보다는 오히려 위인전에서 훨씬 많이 나올 것이다.[11] 오늘날에는 2010년 수상 내용과 같이 많은 C-C coupling 반응이 개발되어 최신 연구에서는 다소 등한시되는 감이 있지만, 그래도 산업계에서는 엄연히 현역인 중요한 유기화학 반응이다.[12] 최초의 미국인 과학 분야 노벨상 수상자이다. 1907년 물리학상 수상자인 마이켈슨은 프로이센에서 태어난 폴란드계 유태인이다.[13] 화학분석에서 정량을 가능하게 해 준 원동력.[14] 하버는 이론을 만들었고, 보쉬는 그 이론에 맞추어 개발한 촉매 반응을 최적화하는 역할이었다. 이 때 탈락의 쓴 맛을 본 보쉬는 1931년에서야 베르기우스와 함께 수상하게 된다.[15] 원자량이 정수가 아니라 소수점으로 측정되는 이유가 여러 동위원소들이 섞여 있어서 그들의 평균값을 나타내기 때문임을 질량분석기를 통해 증명하였다.[16] 고등학교 화학에 단골로 나오는 미지물질 연소 후 나오는 CO2와 H2O를 포집하고 비율을 분석하여 분자식을 얻어낼 수 있었다 하는 그 방법의 창시자이다.[17] 분산계 연구를 위하여 초원심분리기를 개발하였다. 사실 원심분리기는 화학보다는 생명과학 연구에서 더 중요하게 사용되는 편이다.[18] 이름과는 달리 1902년 수상자인 헤르만 에밀 피셔와는 아무런 혈연관계가 없는 남남이다. 그러나 같은 연구실에서 일했으며, 둘 모두 자살로 생을 마감하였다.[19] 카를 보슈 한정. 베르기우스는 이와는 별개로 석탄을 이용한 인공석유 합성법을 개발하였기 때문에 수상하였다. 이렇게 좋은 기술을 하필이면 나치 독일전 세계에서 깽판치는 데에 가장 알차게 써먹었다는 것이 문제였다면 문제겠지만 이 사람이 없었다면 루프트바페에이스 신화는 존재할 수가 없었을 것이다.[20] 미국화학회에서 내는 랭뮤어(Langmuir) 저널은 이 화학자를 기념하기 위해 만들었다. 계면-표면공학에 대한 저널로 유명함.[21] 중수소로 구성되어 만들어지는 중수(D2O)는 훗날 원자탄 개발에 감속재로서 매우 중요하게 사용되었다. 나치 독일의 원자탄 개발을 저지하기 위해 대영제국에서 노르웨이의 중수 공장 파괴 작전을 벌인 것은 매우 유명하다. 지금도 중수소는 NMR과 화학반응 메커니즘 규명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22] 화학에서는 마이너하지만 지구과학에서는 중시되는 경향을 보인다. 지구 외핵내핵원소 구성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기 때문. 여담으로 이 핵반응을 통해 을 합성할 수 있다.강철의 연금술사 다만 합성에 드는 비용이 금값보다 더 비싸다는 게 문제지만...[23] 네덜란드 태생이나 국적은 미국이어서 이름이 좀 꼬인다. 영어식으로는 피터 조지프 윌리엄 디바이(Peter Joseph William Debye), 독일어식으로는 페터 요제프 빌헬름 데바이(Peter Joseph Wilhelm Debye).[24] 나치 독일의 방침에 의해서 수상을 거부할 수밖에 없었다.[25] 나치 독일의 방침에 의해서 수상을 거부할 수밖에 없었다.[26] 이론 교과목에서는 잘 다루지 않지만, 실험에서는 매우 중요한 테크닉이다. 화학동역학부터 시작해서 생화학, 무기화학에 이르기까지. 특히 fluorine-18이 방출하는 positron을 PET로 탐지하는 방법은 과학(!)에까지 적용되고 있다. Carbon-13을 이용한 약물 ADME 연구는 이제 고전적인(?) 테크닉으로 여겨질 정도.[27] 나치 독일의 방침과 전후 사정이 겹쳐 선정 2년 후에야 수상했다.[28] 고등학교에서는 물리 교과에서 다루지만, 일반화학에서는 핵화학 파트가 있다.[29] 역사에서 말하는 史料가 아니라 동물 먹이인 飼料를 말하는 것이다.[30] 단백질 정제에 대해서는 생화학 교재에서 언급되지만(size-exclusion chromatography 등), 결정화에 대해서는 대학원 수준의 구조생화학에서 나오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 결정화(=광선 회절 가능)를 통해 단백질을 X선 회절 구조결정법을 통해 분석할 수 있게 되었고, 구조생화학 연구자들이 노벨화학상을 무더기로 쓸어가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31] 유기화학을 배우다 보면 가끔 고난이도 예제에 이러한 복잡한 천연물이 등장하는 경우가 있다. 한가지 좀 쩌는 건 이 양반은 NMR 없이(!) 이 복잡한 구조들을 규명해냈다는 것. 궁금하면 당장 모르핀과 스트리크닌 구조를 구글에 검색해보기 바란다. 솔직히 NMR 있어도 풀기 힘들다[32] 초반에는 용액 상에서 전기영동을 진행하여 대중화되지 못했으나, gel이 도입되면서 생화학실험에서 빼놓을 수 없는 SDS-PAGE 및 각종 blotting(서던 블로팅 등)이 가능해지게 된다.[33] 고리화합물, 특히 Bridged된 복잡한 고리화합물의 합성에 필수적인 반응[34] 원자번호 106번 시보귬이 이 분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인명에서 유래한 원소 중 유일하게하지만 오가네손이 있다 당사자가 살아있을 때 명명되었다.[35] 이 반응 때문에 노벨상을 수상한 건 아니지만, 고분자 쪽에 종사하지 않는 대부분의 화학도들에게는 이 쪽이 더 익숙할 것이다. 특히 유기화학 전공자들.[36] 반핵운동으로 노벨평화상 또한 수상하였다.[37] 아직 효율적인 폴리펩티드 합성법이 등장하지 않았을 때였기 때문에 엄청난 노가다와 정제과정을 거쳐 합성을 완료하게 된다. 사실 수상의 진정한 의의는 따로 있는데, 생체에서 발견되는 천연물에는 일종의 생명력(?)이 있어서 인공적으로는 천연물을 만들 수 없거나, 만들어도 생체 내에서 효과를 내지 못한다는 근거 없는 믿음이 팽배했던 시절이었다.(주로 베르셀리우스 등의 메이저 학자들이 이를 주장하는 바람에 사람들은 그렇게 믿을 수밖에 없었다. 아리스토텔레스데자뷰) 그러나 그 믿음은 이 발견으로 인해 깨졌고, 1965년 수상자인 로버트 우드워드에 의해 한번 더 깨지게 되며, 1984년 수상자인 메리필드에 의해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상황까지 오게 되었다.[38] 정확히 말하면 구조가 아니라 폴리펩티드 서열을 결정한 것이다. 구조는 1964년 수상자인 도로시 호지킨이 X선 구조결정법을 통해 완전히 분석하게 된다. 나중에 생어는 DNA sequencing도 개발하여 노벨화학상을 한번 더 수상하게 된다.[39] 의외로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서 많이 등장한다. 정작 화학 전공책에서는 잘 안 다루는 것이 함정이지만...[40] 학부 과정에서는 잘 안 나오고, 대학원 과정의 물리화학 및 구조생화학 부분에서 중요하게 다뤄진다. 밑의 도로시 호지킨 항목에서 X-ray crystallography에 대해서 언급되는데, 이 기술을 이용해서 복잡한 구조를 풀 때 산란된 x-ray의 phase를 측정할 수 없어서 정확한 구조 해석이 어렵다는 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은(!)을 단백질에 도입하는 등 갖은 실험적 노가다를 통해(좀 전문적인 표현으로는 anomalous dispersion 방법이라고 한다) phase를 비교적 정확하게 구해내어 hemoglobin의 구조를 규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너무 주먹구구식(...)이었기 때문에 큰 분자구조를 푸는 데에 본격적으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고(맥스 페루츠 본인도 이 구조를 푸는 데 무려 20년이나 걸렸다), 이는 1982년 수상자인 헤르트 하우푸트먼과 제롬 칼이 비약적으로 발달한 컴퓨터기술을 토대로 해결하게 된다.[41] 이 촉매를 사용하여 폴리에틸렌 중합을 완벽하게 컨트롤 할 수 있게 되었으며, 특히 폴리프로필렌은 이 촉매가 나오기 전엔 1000~3000기압이라는 엄청난 조건 하에서, 그것도 매우 저열한 품질로 생산되어 상용화될 수 없었지만 이 촉매의 개발 이후 PE와 함께 전 세계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플라스틱이 되었다.[42] 28년만의 여성 수상자.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이분이 옥스퍼드 대학교에 재직할 당시 X선 결정학을 이용한 항생제 구조 연구에 대해서 지도한 학부생 제자가 있었는데, 그 사람이 바로 마거릿 대처다. 영국 수상이었던 그분 맞다.[43] 이 분석법을 개발한 건 아니지만, 이 분석법이 생물에서 발견되는 복잡한 분자(콜레스테롤, 페니실린, Vitamin B12 등)의 구조를 해석할 수 있음을 최초로 구현 및 입증하였다.[109] 한마디로 입스타손스타로 만드신 분 이후의 과학자들이 이 방법을 발전시켜 단백질의 구조까지 규명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여 수많은 노벨상을 쓸어가게 된다. (GPCR, ATP 합성효소, RNA polymerase 등...)[44] 여담으로, 1962년 수상자인 맥스 퍼루츠, 1982년 수상자인 아론 클룩, 도로시 호지킨, 왓슨-크릭에게 DNA구조 업적을 도둑맞은 것(...)으로 유명한 로절린드 프랭클린은 모두 동일한 지도교수(존 버날)에게서 사사했다.[45] 코리(E.J.Corey, 1990년 노벨화학상 수상) 이전의 유기합성화학계의 본좌. NMR 없이도(!!!) 천연물을 뚝딱 합성해내던(NMR 분석법은 1960년대 후반에야 대중화되었다. NMR분석법은 1991년 노벨화학상 수상.), 유기화학자들에게 있어 가히 신선과 같은 존재였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도 어린 시절을 보면. 불과 만 20살에 MIT 박사학위를 취득하는 등출처, 여러모로 상식을 벗어난 비범한 커리어를 보여준다. 친구들은 아직 학부 재학 중 일 때(...)였다. 유기화학의 named reaction들에서 간혹 그의 이름이 붙은 반응들을 확인할 수 있다.[46] Robert S. Mulliken. 기름방울실험으로 알려진 리컨(Robert A. Millikan, 1923년 노벨물리학상 수상)과는 성의 철자부터 다른 전혀 관계없는 사람이다.[47] 화학동역학의 효시가 되는 부분으로, 에너지 펄스를 이용하여 매우 빠르게 일어나는 화학반응들의 반응속도상수 k를 측정하였다. 화학2에서 나오는 타임워치 사용하는 반응속도 측정법으로는 어림없다[48] 유기화학 초반부에 나오는 chair형 및 boat형 고리 구조 그거 맞다.[49] 내과 레지던트 수련 도중 생화학으로 진로를 변경[50] 생화학 교과서에는 아미노산 서열에 따라 단백질 구조가 특이적으로 접힌다고 아주 대충(...) 언급되어 있지만, 본격적인 문제는 여기서부터 시작된다. 안핀센 선생께서 아미노산 서열만 가지고 단백질 접힘 구조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할 것이다라는 무시무시한 떡밥을 던져놓고 가신 덕분에, 지금도 수많은 물리화학자(특히 계산화학자)들은 날밤을 지새며 컴퓨터와 씨름하고 있다. 지못미... 이거 해결하면 차기 노벨상은 기본이고, 수많은 바이오의약품 회사들이 기술 인수를 위해 shut up and take my money를 시전할 것이다. 그런데 최근(2020년 말)에 이쪽 분야에서 큰 진전이 일어났다. 오오 구글 인공지능 딥러닝 오오... 자세한 것은 알파폴드 참조[51] 윌킨슨 촉매는 이전 금속 촉매들과는 달리 리간드에 미리 붙여 착물을 형성시킨 것인데, 이렇게 함으로써 용매에 녹일 수 있다. 반응 용액 안에서의 거동이나 메커니즘을 추적하기 훨씬 쉬워졌고, 현대 유기금속화학 연구에서는 NMR 등 용액 상태의 메커니즘 연구가 기본이다.[52] 나름 일반화학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인기 소재이다. 그렇게 분자구조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hyperconjugation의 세계에 입문하게 된다.[53] 출생지는 러시아. 소련이 되기 몇달 전에 태어나, 1929년 일가가 벨기에로 이주하였다.[54] 대학원 수준 물리화학에서 맛볼 기회가 주어질 수도 있다. 복잡계 과학 또는 카오스 이론에 대한 연구로도 매우 유명한 사람이다.[55] 나중에 Horner-Wadsworth-Emmons가 이 반응을 개량함[56] 이로써 두 번째 수상[57] 생화학에서 시퀀싱 관련 대목이 나올 때 프로토타입으로서 자주 언급된다. 프레데릭 생어의 업적으로 인하여 휴먼 지놈 프로젝트의 실현이 가능해졌으며, 훗날 일루미나 등의 기업이 개발한 차세대 시퀀싱 기술(nanopore sequencing 등...)의 개발로 이어지게 된다.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과 맞춤의학(Individualized medicine)의 탄생도 이것 덕분에 가능했다.[58] 유기화학물리화학에서 방향족 화합물을 다룰 때 frontier orbital에 대한 개념을 들어본 일이 있었을 것이다. 지금이야 이러한 분자오비탈에 대한 개념이 학부생도 쉽게(?) 이해할 정도로 보편화되어있지만, 그 당시에는 뭐...[59] 구조생화학에 최초로 전자현미경을 동원하였다. 이 방법을 통해 바이러스의 핵산-단백질 복합체 구조를 규명한 공로로 수상하였다. 그러나 당시에는 기술의 한계로 전자현미경의 성능이 영 좋지 않았고+가격도 어마어마했기에 대중화된 분석법이 되지는 못했지만, 2010년대에 들어 전자현미경의 성능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면서 Cryo-EM등의 최첨단 구조분석법이 개발되는 등 뜨거운 관심을 얻고 있다. 그리고 2017년이 되면서...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60] 오늘날은 합성법이 많이 개량되어서 오리지날 버전 합성법은 잘 쓰이지 않지만 무엇보다 불산(HF)의 압박 폴리펩티드를 인공적으로 합성 가능하다는 개념을 최초로 구현했기에 수상하였다. 다만 아무리 개량되었어도 수율 및 순도 문제상 합성 가능한 최대 길이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단백질 합성에는 여전히 적용하기 어렵고, 유전공학이 이것을 보완한다. 리보솜의 위엄[61] 1962년 수상자인 존 켄드루 & 맥스 페루츠에서도 언급이 나오지만, 아직 이 문제의 해결은 불확실한 상태였다. 이들은 이 문제를 통계컴퓨터를 이용해서 파동함수를 근사하는 방법으로 해결하였다. 덕분에 구조 규명 연산에 걸리는 시간이 크게 단축되었다.[62] 중국계 최초 노벨화학상 수상자(두 번째는 2008년의 로저 첸(첸융젠)), 대만 출신의 유일한 노벨상 수상자(단, 대만에 일시 거주한 외성인을 포함한다면 하나 더 있긴 하다). 1974년에 미국 국적을 취득하였으나, 1994년에 미국 국적을 포기하여 현재는 대만 국적. 참고로 대만 본토(본섬) 출신이다.[63] 물리화학의 삼대장(양자역학,열역학,화학동역학)에 속하는 화학동역학에서 가장 중요한 연구방법론으로 꼽히는 교차분자빔을 이용한 반응 관측법을 개발하였다. 이거 덕분에 그동안 이론가설의 영역에 속했던 화학반응 메커니즘들이 실제로 규명되기 시작하였고, 기존에 잘못 알려져 있던 메커니즘들이 바로잡히는 계기가 되었다.[64] 재미있게도 이 사람은 아버지가 노르웨이인, 어머니가 일본인이고 대한제국 부산에서 태어난 뒤 부모의 직장인 평안북도 운산군 금광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기 때문에 노벨상 위원회 공식 기록에 출신지가 한국으로 기록되어 있다. 국적 규정이 대단히 복잡하기 때문에 이런 식으로 출생지를 기록하는 것. 이후 10세 때 일본에서 중등교육을 마치고 미국으로 유학한 이후에 최종적으로 미국 국적을 취득하였다.[65] 2016년 노벨상 수상자들이 연구한 기계적으로 맞물린 분자 구조의 효시쯤 되는 분야이다. 학부 유기화학에서 간혹 볼 수 있는, K+를 묶어두어 친핵체의 친핵성을 높이는 18-Crown-6 분자가 바로 그것. 장피에르 소바주가 합성한 Catenane에도 18-Crown-6가 쓰인다. 장마리 렌이 2016년 수상자 장피에르 소바주의 박사과정 지도교수이기도 했다.[66] 고등학교 생명과학 교재의 생명체의 탄생 부분에서 나온다. '생체분자들의 탄생은 RNA의 자가촉매반응으로 인한 것이다'는 대목에 나오는, 이른바 RNA WORLD 가설. 수상자들은 바로 이 RNA의 자가촉매 기능을 밝혀내었다.[67] 역시 유기합성화학계의 본좌. Synthon,Umpolung,FGI 등의 현대 유기전합성에서 필수적으로 쓰이고 있는 개념들을 창시. 그리고 그의 제자인 필 배런(Phil.S.Baran)이 학계에서 다음 세대 노벨화학상 유력 후보로 거론될 만큼 넘사벽의 포스를 흩뿌리는 중[68] 학부 수준은 물론이고, 대학원 과정에서 나오는 FT-NMR과 다차원 NMR 등의 고급 테크닉까지도 전부 이 분이 개발한 것이다. 여담으로, 2002년 다나카 고이치와 노벨화학상을 공동 수상한 쿠르트 뷔트리히는 이 FT-NMR 기술을 생체분자 분석에 응용한 공로를 인정받았기에 수상하였다.[69] LSD를 빨고 본 환각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PCR을 개발해서 벼락부자가 된 것으로 유명하다. 무슨 마약하시길래 이런생각을 했어요? 화려한 여성 편력으로도 유명한 인물.[70] 5배위 탄소라니 이게 무슨 소리야! 하겠지만, 유기화학 항목에도 5배위 탄소가 무기화학에서는 가능하다는 사실을 언급하고 있다. 실제로 무기화학 교과서의 초반부에서 저학년동안 유기화학에 찌든 가엾고 딱한 학부생들에게 충공깽을 선사할 목적으로 5배위 탄소에 대해서 예시를 드는 경우가 많다. 그게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한 사람이 바로 조지 앤드류 올라. 여담으로, 위의 앙리 무아상 각주에서 설명한 플루오린을 약물 분자에 도입하는 fluorine chemistry를 실제로 구현해낸 것으로도 유명하다. 입스타손스타로 구현하신 분 하나 추가요[71] 지금은 6배위 탄소까지 만들어냈다 흠좀무[72] 의외로 고등학교 교과서 및 일반화학에서 언급이 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교과서 후반부의 환경 관련 부분에서.[73] 워낙 구조가 특이하다보니 고등학교 교과서 및 학부 저학년 과목에서 동소체 관련 부분을 설명하면서 항상 언급된다. 재료공학에서는 이를 길게 연장한 구조인 탄소나노튜브가 더 메이저한 편.[74] 사실 진짜 처음으로 풀러렌을 구성한 사람은 오사와 에이지이지만, 해당 논문을 영어가 아닌 일본어로만 작성하는 바람에 주목받지 못해서 수상 후보에 오르지 못했다.토익 학원에서 광고 소재로 써도 좋을 듯 하다 이 사건의 전말에 대해서는 네이처 저널 제384호에도 자세히 소개되어 있다.[75] 코펜하겐 의대를 졸업, 의사면허가 있다.[76] 생화학 교과서에서 빠지지 않고 언급되며, 효소 구조가 매우 특이한 것으로 유명하다. 톱니바퀴처럼 생긴 구성요소가 있는 등 마치 나노머신을 생체에서 구현한 것처럼 정교하게 생겼다.[77] 분자의 구조, 성질을 계산하는 GAUSSIAN 프로그램 개발 공로[78] 물리화학에서 특정 반응의 메커니즘을 규명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분석법이다. 순식간에 일어나는 화학 반응을 관찰하기 위한 일종의 초고속 카메라라고 할 수 있다.[79] 시라카와 교수 연구실의 한 한국계 유학생이 실수로 적정량 1000배의 촉매를 쏟아부은 것에서 발견했다고 한다[80] 특정 반응에 첨가하는 카이랄 첨가제의 입체구조에 따라 생성물의 입체구조가 달라지는 것을 밝혀냄. 현대 의약품 비대칭 전합성의 핵심기법[81] 학사 출신으로는 최초이자 현재로서는 유일한 수상 사례. 회사에서 근무하다가 발명한 기술로 노벨상을 수상한 것으로 유명하다.[82] ESI, MALDI는 거대분자를 이온화 할 수 있는 방법이다. 각각의 방법마다 장단점이 존재하며 현재 단백질 분석에 빠지지 않는 기술들이다. ESI(존 펜), MALDI(다나카 고이치)[83] 의사 출신의 생화학자다.[84] 세포 내의 필요 없거나 손상된 단백질을 분해시키기 위해 쓰레기통행 대상 딱지(...)를 붙이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세포내의 쓰레기통 역할을 하는 프로테아좀(Proteasome)이 이 딱지를 인식하고 분해를 수행하게 된다. 목적은 비슷하면서도 기전은 다른 것으로 자가포식(Autophagy)이 있는데, 이것 역시 중요성을 인정받아 2016년 오오스미 요시노리가 노벨상을 수상하였다. 단 노벨화학상은 아니고 노벨생리학·의학상.[85] 석유화학기업에서 근무하면서 아~주 오래 전에 수행했던 연구로 인하여 말년에 뜬금포(...)로 노벨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역시 노벨상 수상하려면 오래 살고 봐야[86] 기존의 방법으로는 합성이 어려운 고분자 및 거대고리화합물 합성에 절대로 빠져서는 안 되는 촉매[87] 1959년 노벨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아서콘버그의 아들[88] 물리화학 분과에서 매우 활발하게 연구된다. 번외로 화학공학과에서도 촉매 때문에 중요하게 다뤄지는 편이다. 이분은 자동차 백금 촉매 등에서 일어나는 고체 표면에서의 기체 분자 전환의 메커니즘을 규명하여 수상하였다.[89] 미국에서 로켓을 연구하다가 매카시즘 때문에 중국으로 쫓겨난 첸쉐썬의 5촌 조카이다. 중국식 이름은 첸융젠(錢永健, 전영건).[90] 앙리 무아상 이래로 102년 만의 약사 출신 수상자이다. 나가사키대학 약학부 졸업.[91] 미국 해안에 서식하는 해파리를 수없이 잡아 추출해서 얻은(...) 단백질이다. ???:해파리로 만든 것...이건 굉장히 귀하네요 생명과학 연구에서의 중요성은 두말할 필요도 없고, 유기화학 관련 종사자들에게 "형광 분자"의 중요성을 인지하게 하여 GFP를 보완할 small molecule dye 및 chemical probe의 설계 및 합성 방법에 대한 개발이 붐을 이루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길게 보면 의약화학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92] 시상식 때 마틴 챌피와 로저 첸은 자신들에게 아이디어를 제공한 사람을 시상식 자리에 직접 초대했는데, 특이하게도 그 사람은 셔틀 운전기사였다. 이름은 더글러스 프래셔로, 본래는 그 또한 화학자였고 해당 단백질 연구도 행했지만, 연구비 지원을 받지 못해서 연구를 포기하고 챌피와 첸에게 연구 자료를 승계해준 것. 이후 동료들의 설득으로 학계에 복귀했다고.[93] 46년만의 여성 수상자.[94] 이 세 사람의 이름을 딴 반응이 다 따로 있다! 이 반응으로 인해 기존의 방법으로는 연결이 곤란했던 분자들의 결합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 와중에 비슷한 반응 개발해 놓고도 수상 못 한 소노가시라 선생 지못미[95] 준결정 발견 주장 당시 다른 과학자들에게 준과학자(...)라는 조롱까지 들을 정도로 다굴을 당하며 고생했지만, 결국 자신의 이론이 옳다는 것이 입증되어 노벨상을 수상하였다. ㅅㅂ 내가 맞다고 했잖아 이 화알못들아![96] 인터넷 짤방으로 수업 폐강 사유 레전드 등으로 알려진 그 교수님 맞다. 대통령 선거 출마... 다만 낙선흠좀무[97] 코빌카와 레프코위츠 모두 의사 출신으로 내과전문의까지 취득하였다. 레프코위츠는 순환기내과 펠로우까지 마친 세부전문의다.[98] 세포막에서 호르몬이나 신경전달물질이 세포에 작용하도록 만든다.[99] 생화학 교과서의 신호전달 부분에서는 이것에 관한 내용이 절대로 빠지지 않는다. signal 보내 sign을 보내 당장 우리 몸을 관장하는 자율신경이 이 수용체에 의해서 작동하는 것임을 보면 그 중요성이 얼마나 심대한지를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벨생리학·의학상이 아니라 노벨화학상을 수상하게 된 이유는, 이 GPCR이 구조를 온전히 유지하면서 세포막에서 분리해내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보조제 사용법을 개발한 것에 대한 공로 또한 인정받았기 때문이다.[100] CHARMM이라는 프로그램 개발. 종전의 GAUSSIAN은 양자역학적 계산만 하지만 CHARMM은 작은 분자에는 양자역학을, 큰 분자에는 고전역학을 적용해 계산속도를 빠르게 하고 거대분자 계산도 가능하게 했다.[101] 역시 이것 때문에 노벨상을 수상한 건 아니지만, NMR을 이용한 분석을 해본 경험이 있는 사람은 이것이 훨씬 익숙할 것이다.[102] 의사면허 취득 이후 진료 경험이 있던 임상의사 출신이다.[103] 말그대로 분자적 스위치나 회로를 만든것으로 아직까지 나노머신 레벨에는 당연히(...) 미치지 못하지만 겁스 무한세계에서 나오는 그걸 떠올리면 곤란하다 나름 무기화학 분과에서 중요하게 언급되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다.[104] 35년 전의 수상 주제와 비슷하나, 그 때와 지금의 기술력 격차는 넘사벽이다. 원래 Cryo-EM이 기존 X선 회절법에 비해 고품질의 시료 결정 제작이 필요없다는 상당한 장점을 가지고 있었지만 푸대접을 받아왔는데, 용액을 저온으로 만들 때 얼음 결정이 생겨서 시료 구조를 엉망으로 만들어버리는 중대한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 사람들은 적절한 시료처리방법 및 컴퓨터로 전자빔 산란결과를 분석하는 방법을 개발해서 수상하게 되었다.[105] 1922년 7월 25일 출생, 현(現) 최고령 수상자. 2018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아서 애슈킨(1922년 9월 2일 출생)보다 39일 일찍 태어났다.[106] 휘팅엄은 처음으로 리튬을 활용한 이차 전지를 개발하였고, 굿이너프는 현 양극재의 기본 구조가 되는 세 가지 물질(LCO, LMO, LFP)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요시노는 현재 사용되는 흑연 음극재 등을 개발하여 상용화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 노벨물리학상의 청색 LED 발명처럼 간만에 나온 공학부문 상이다.[107]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CRISPR-Cas9), 유전공학의 혁신적인 발견이었기 때문에, 이레적으로 8년만에 노벨상을 수상했다.[108] 2001년에 이어 21년만에, 생애 2번째 수상이다.

[109] 수상은 맥스 페루츠가 먼저 했으나, X선 결정학을 생체분자에 적용한 것은 도로시 호지킨이 최초이다. 맥스 페루츠는 1960년대에야 헤모글로빈 구조를 밝혀냈지만, 도로시 호지킨은 1949년에 당시까지만 해도 쉽게 예측되지 못했던 페니실린의 beta-lactam 구조를 규명하여 매우 유명해진 상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