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5 20:12:01

라이너스 폴링

라이너스 폴링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e90606> 파일:타임지 로고 화이트.svg 올해의 인물 (1960년대)
Time Person of the Year 1960's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attachment/Time1960.jpg파일:attachment/time_1961.jpg파일:attachment/time_1962.jpg파일:attachment/time_1963.jpg파일:attachment/time_1964.jpg
<rowcolor=#fff> 1960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1961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1962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1963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1964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파일:Person Of The Year 1965.jpg파일:Person Of The Year 1966.jpg파일:attachment/time_1967.jpg파일:attachment/time_1968.jpg파일:attachment/time_1969.jpg
1965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1966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1967년
1968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1969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파일:Time_Inc_white.png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노벨상 다회 수상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cd9f5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단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국제적십자위원회
(평화)
유엔난민기구
(평화)
개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마리 퀴리
(물리학, 화학)
프레더릭 생어
(화학)
라이너스 폴링
(화학, 평화)
존 바딘
(물리학)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배리 샤플리스
(화학)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역대 노벨화학상 수상자
{{{#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word-break: normal"
{{{#555,#aaa
<rowcolor=#cd9f51> 1901 1902 1903 1904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야코뷔스 헨리퀴스 판트호프 헤르만 에밀 피셔 스반테 아레니우스 윌리엄 램지
<rowcolor=#cd9f51> 1905 1906 1907 190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아돌프 폰 바이어 앙리 무아상 에두아르트 부흐너 어니스트 러더퍼드
<rowcolor=#cd9f51> 1909 1910 1911 1912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빌헬름 오스트발트 오토 발라흐 마리 퀴리 빅토르 그리냐르
<rowcolor=#cd9f51> 1912 1913 1914 1915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폴 사바티에 알프레드 베르너 시어도어 윌리엄 리처즈 리하르트 빌슈테터
<rowcolor=#cd9f51> 1918 1920 1921 1922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프리츠 하버 발터 네른스트 프레더릭 소디 프랜시스 윌리엄 애스턴
<rowcolor=#cd9f51> 1923 1925 1926 1927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프리츠 프레글 리하르트 아돌프 지그몬디 테오도르 스베드베리 하인리히 오토 빌란트
<rowcolor=#cd9f51> 1928 1929 1930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아돌프 오토 라인홀트 빈다우스 아서 하든 한스 폰 오일러켈핀 한스 피셔
<rowcolor=#cd9f51> 1931 1932 1934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카를 보슈 프리드리히 베르기우스 어빙 랭뮤어 해럴드 클라이턴 유리
<rowcolor=#cd9f51> 1935 1936 1937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장 졸리오퀴리 이렌 졸리오퀴리 피터 디바이 월터 호어스
<rowcolor=#cd9f51> 1937 1938 1939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울 카러 리하르트 쿤 아돌프 부테난트 레오폴드 루지치카
<rowcolor=#cd9f51> 1943 1944 1945 1946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조르주 드 헤베시 오토 한 아르투리 일마르 비르타넨 제임스 B. 섬너
<rowcolor=#cd9f51> 1946 1947 1948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존 하워드 노스럽 웬들 매러디스 스탠리 로버트 로빈슨 아르네 티셀리우스
<rowcolor=#cd9f51> 1949 1950 1951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윌리엄 지오크 오토 딜스 쿠르트 알더 에드윈 맥밀런
<rowcolor=#cd9f51> 1951 1952 1953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글렌 시보그 아처 마틴 리처드 싱 헤르만 슈타우딩거
<rowcolor=#cd9f51> 1954 1955 1956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라이너스 폴링 빈센트 뒤비뇨 시릴 노먼 힌셜우드 니콜라이 세묘노프
<rowcolor=#cd9f51> 1957 1958 1959 1960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알렉산더 R. 토드 프레더릭 생어 야로슬라프 헤이로프스키 윌러드 리비
<rowcolor=#cd9f51> 1961 1962 196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멜빈 캘빈 존 켄드루 막스 페루츠 줄리오 나타
<rowcolor=#cd9f51> 1963 1964 1965 1966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카를 치글러 도러시 호지킨 로버트 번스 우드워드 로버트 샌더슨 멀리컨
<rowcolor=#cd9f51> 1967 1968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만프레트 아이겐 로널드 조지 레이퍼드 노리시 조지 포터 라르스 온사게르
<rowcolor=#cd9f51> 1969 1970 1971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디릭 바턴 오드 하셀 루이스 페데리코 를루아르 게르하르트 헤르츠베르크
<rowcolor=#cd9f51> 1972 197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크리스천 베이커 안핀센 스탠퍼드 무어 윌리엄 하워드 스타인 에른스트 오토 피셔
<rowcolor=#cd9f51> 1973 1974 1975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제프리 윌킨슨 폴 플로리 존 콘포스 블라디미르 프렐로그
<rowcolor=#cd9f51> 1976 1977 1978 197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 립스컴 일리야 프리고진 피터 데니스 미첼 허버트 찰스 브라운
<rowcolor=#cd9f51> 1979 1980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게오르크 비티히 폴 버그 월터 길버트 프레더릭 생어
<rowcolor=#cd9f51> 1981 1982 1983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후쿠이 겐이치 로알드 호프만 에런 클루그 헨리 타우버
<rowcolor=#cd9f51> 1984 1985 1986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로버트 브루스 메리필드 허버트 애런 하우프트먼 제롬 칼 더들리 로버트 허슈바크
<rowcolor=#cd9f51> 1986 1987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리위안저 존 찰스 폴라니 장마리 렌 찰스 피더슨
<rowcolor=#cd9f51> 1987 1988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도널드 J. 크램 요한 다이젠호퍼 로베르트 후버 하르트무트 미헬
<rowcolor=#cd9f51> 1989 1990 199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시드니 올트먼 토머스 로버트 체크 일라이어스 제임스 코리 리하르트 로베르트 에른스트
<rowcolor=#cd9f51> 1992 1993 1994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루돌프 마커스 캐리 멀리스 마이클 스미스 조지 앤드루 올라
<rowcolor=#cd9f51> 1995 1996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울 크뤼천 프랭크 셔우드 롤런드 마리오 호세 몰리나 로버트 컬
<rowcolor=#cd9f51> 1996 1997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해럴드 크로토 리처드 스몰리 존 워커 폴 보이어
<rowcolor=#cd9f51> 1997 1998 1999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옌스 스코우 월터 콘 존 포플 아메드 즈웨일
<rowcolor=#cd9f51> 200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앨런 히거 앨런 맥더미드 시라카와 히데키
}}}
}}}}}}}}}
[ 21세기 ]
##
||<-3><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2001 || 2002 ||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역대 노벨평화상 수상자
{{{#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word-break:normal"
{{{#555,#aaa
<rowcolor=#cd9f51> 1901 1902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앙리 뒤낭 프레데리크 파시 엘리 뒤코묑 샤를 알베르 고바
<rowcolor=#cd9f51> 1903 1904 1905 1906
파일:영국 국기.svg -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
윌리엄 랜들 크리머 국제법학회 베르타 폰 주트너 시어도어 루스벨트
<rowcolor=#cd9f51> 1907 1908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에르네스토 모네타 루이 르노 클라스 아르놀드손 프레드리크 바예르
<rowcolor=#cd9f51> 1909 1910 1911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데스투르넬 드 콩스탕 오귀스트 베르나르트 국제평화국 알프레트 프리트
<rowcolor=#cd9f51> 1911 1912 1913 1917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적십자 기.svg
토비아스 아서르 엘리후 루트 앙리 라퐁텐 국제적십자위원회
<rowcolor=#cd9f51> 1919 1920 1921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우드로 윌슨 레옹 부르주아 얄마르 브란팅 크리스티안 랑에
<rowcolor=#cd9f51> 1922 1925 1926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리드쇼프 난센 오스틴 체임벌린 찰스 G. 도스 아리스티드 브리앙
<rowcolor=#cd9f51> 1926 1927 1929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구스타프 슈트레제만 페르디낭 뷔송 루트비히 크비데 프랭크 켈로그
<rowcolor=#cd9f51> 1930 1931 1933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영국 국기.svg
나탄 셰데르블롬 제인 애덤스 니컬러스 버틀러 노먼 에인절
<rowcolor=#cd9f51> 1934 1935 1936 1937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아서 헨더슨 카를 폰 오시에츠키 카를로스 라마스 로버트 세실
<rowcolor=#cd9f51> 1938 1944 1945 1946
파일:국제연맹기(1939).svg 파일:적십자 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svg
난센 국제난민 사무국 국제적십자위원회 코델 헐 에밀리 그린 볼치
<rowcolor=#cd9f51> 1946 1947 1949 1950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Quaker_star-T.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존 모트 퀘이커 봉사협회 존 보이드 오어 랠프 번치
<rowcolor=#cd9f51> 1951 1952 1953 1954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UN기.svg
레옹 주오 알베르트 슈바이처 조지 마셜 유엔난민기구
<rowcolor=#cd9f51> 1957 1958 1959 1960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레스터 피어슨 도미니크 피르 필립 노엘베이커 앨버트 루툴리
<rowcolor=#cd9f51> 1961 1962 1963 1964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적십자 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다그 함마르셸드 라이너스 폴링 국제적십자위원회 마틴 루터 킹
<rowcolor=#cd9f51> 1965 1968 1969 1970
파일:유니세프 로고.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국제노동기구 로고.svg 파일:미국 국기.svg
유니세프 르네 카생 국제노동기구 노먼 볼로그
<rowcolor=#cd9f51> 1971 1973 1974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빌리 브란트 헨리 키신저 레득토
(수상 거부)
사토 에이사쿠
<rowcolor=#cd9f51> 1974 1975 1976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숀 맥브라이드 안드레이 사하로프 베티 윌리엄스 메어리드 코리건
<rowcolor=#cd9f51> 1977 1978 1979
파일:국제앰네스티 로고.svg 파일:이집트 국기(1972-1984).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국제앰네스티 안와르 사다트 메나헴 베긴 마더 테레사
<rowcolor=#cd9f51> 1980 1981 1982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UN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아돌포 에스키벨 유엔난민기구 알바 뮈르달 알폰소 로블레스
<rowcolor=#cd9f51> 1983 1984 1985 1986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 파일:미국 국기.svg
레흐 바웬사 데즈먼드 투투 핵전쟁방지국제의사회 엘리 비젤
<rowcolor=#cd9f51> 1987 1988 1989 1990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파일:UN기.svg 파일:티베트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오스카르 아리아스 유엔 평화유지군 달라이 라마 14세 미하일 고르바초프
<rowcolor=#cd9f51> 1991 1992 1993
파일:미얀마 국기(1974-2010).svg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아웅 산 수 치 리고베르타 멘추 넬슨 만델라 프레데리크 빌럼 데 클레르크
<rowcolor=#cd9f51> 1994 1995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이츠하크 라빈 시몬 페레스 야세르 아라파트 조지프 로트블랫
<rowcolor=#cd9f51> 1995 1996 1997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퍼그워시 회의 카를로스 벨로 조제 하무스오르타 조디 윌리엄스
<rowcolor=#cd9f51> 1997 1998 1999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국경없는의사회의 로고.svg
지뢰금지국제운동 존 흄 데이비드 트림블 국경없는의사회
<rowcolor=#cd9f51> 20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대중
}}}
}}}}}}}}}
[ 21세기 ]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2> 2001 || 2002 || 2003 ||

}}}}}} ||
<colbgcolor=#000><colcolor=#fff,#ddd> 라이너스 칼 폴링
Linus Carl Pauling
파일:external/www.wikitree.co.kr/img_20100817171819_5c294cd6.jpg
출생 1901년 2월 28일
오리건주 포틀랜드
사망 1994년 8월 19일 (향년 93세)
캘리포니아주 빅서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직업 화학자
학력 오리건 주립대학교 (화학공학 / 1922년 학사)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물리화학 · 수리물리학 / 1925년 박사)
지도학생 마르틴 카르플루스
가족 에바 헬렌 밀러(1903년 12월 24일생, 1923년 결혼 ~ 1981년 12월 7일 사별)
장남 라이너스 칼 폴링 주니어(1925~2023년)
차남 피터 제프리 폴링(1931~2003년)
장녀 린다 캄브[1](1932년생)
삼남 에드워드 크렐린 폴링(1937~1997년)
수상 ACS 순수 화학 상 (1931)
어빙 랭뮤어 상 (1931)
국립과학원 회원 (1933)
데이비 메달 (1947)
노벨화학상 (1954)
노벨평화상 (1962)
로블링 메달 (1967)
레닌평화상 (1968–69)
국가과학 메달 (1974)
로모노소프 황금 메달 (1977)
NAS 화학 과학 상 (1979)
프리스틀리 메달 (1984)
버니바 부시(1989)
서명 파일:Linus Pauling signature.png

1. 개요2. 반핵운동3. 비타민C 메가도즈 요법4. DNA에 관련된 일화5. 준결정 부정

[clearfix]

1. 개요

오로지 나는 인류를 위해 봉사하고,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행동을 할 뿐입니다.

미국의 화학자로 노벨화학상노벨평화상을 단독으로 수상한, 그리고 소련 레닌 평화상까지 수상한 위대한 과학자다. 공동 수상 없이 개인 단독 수상[2]으로만 노벨상을 2회 이상 받은 유일한 인물이며, 아울러 현재까지 세계에서 유일하게 노벨 과학상과 평화상을 모두 받은 인물이기도 하다.

20세기 과학사의 위대한 인물 가운데 한 명으로 언급되는 인물이다. 화학결합론의 기초를 구축한 천재 과학자이자 반핵운동, 평화운동에 앞장섰던 사회운동가로 굉장히 다대한 활동을 해왔었다. 노벨화학상은 전기 음성도 연구로 탔다.

1901년 미국 오리건주 포틀랜드에서 태어나, 1918년 오리건 주립대학교에 입학하여 1922년 화학공학과 학사과정을 졸업하였다. 그는 당시 학생 신분임에도 강의 조교를 할 만큼 화학에 우수한 두각을 나타냈다. 대학을 졸업한 후에는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대학원에 입학해 1925년 물리화학수리물리학 분야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받고 28살에 조교수로 임명되었다. 20대에 양자물리학을 복잡한 분자 연구에 응용하면서 세계적인 과학자 반열에 올랐으며 화학결합에 관한 그의 이론은 현대 과학에 중요한 부분으로 반드시 거론된다.

현대에 가장 많이 쓰이는 OS중 하나인 리눅스와도 관련이 있는데 리눅스는 개발자 리누스 토르발스 이름에서 따왔고 토르발스의 이름은 라이너스 폴링에서 따왔다.

2. 반핵운동

과학자로서의 업적도 뛰어나지만 이 사람을 더 돋보이게 하는 것은 반핵운동, 평화운동에 앞장나섰던 점이다. 그가 느꼈던 사회와 인류에 대한 도의적 책임은 핵무기 반대와 핵실험의 위험성을 주장하는 데 평생을 헌신케 만들었다. 그 때문에 당시 미국 내에서 매카시즘 열풍이 불었을때, 그는 오펜하이머와 같이 '매카시즘의 희생양'이 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핵실험 반대 운동을 벌여 전 세계 1만명이 넘는 과학자들로부터 핵실험 반대 서명을 받아내기도 했다. 이후 1963년 미국과 소련의 핵협정이 맺어진 이후, 반핵운동에 활동한 공로가 인정되어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다.

3. 비타민C 메가도즈 요법

노벨상 수상자의 이상한 믿음 - 비타민 C 요법과 진실 게임

말년에 '비타민C가 암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주장해 이게 논쟁의 중심에 있어 물의를 빚기도 했다.

라이너스의 의견에 의하면, 영장류를 제외한 대부분의 동물들은 체내에서 비타민C 합성이 가능했고 그러한 동물들이 체내 합성해내는 비타민C의 양을 사람의 몸무게를 대입해 계산했더니 상식적인 권장량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양의 비타민C가 인간에게는 필요할 것이라는 결론이 나왔다.

실제로 그는 메가도스로 비타민C를 매일 과량으로 섭취했다. 그냥 탁자 위에 비타민C 통을 두고 보이는 대로 집어먹었다고 한다. 하루에 수–수십g(mg이 아니다. 보통 일일권장량은 80–100mg = 0.08–0.1g 정도로 책정한다.)[3]을 복용했다고 하는데, 실제로 비타민C 효과를 봤는지 아닌지는 알 수 없으나 본인은 90이 넘도록 장수했으며 죽기 2주 전까지 대학에서 열성으로 강의를 했다고 한다. 현재 기준이라도 꽤 오래 산 것이며,[4] 당시 기준으로는 이론의 여지 없는 장수다.[5] 뭣보다 오래 살기도 했지만 건강하게 살았다는 얘기다. 그러다가 1994년 8월 19일 향년 94세로 전립선암으로 사망했다.[6]

4. DNA에 관련된 일화

거기다 생화학에도 일가견이 있어 DNA의 구조를 연구했다. 그때 당시 라이너스 폴링은 화학 결합에 대한 이론을 완성시킨 최고의 화학자였으므로 분자구조에 대해서는 그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했다. 폴링이 사용한 시료는 손상된 DNA 시료였기 때문에 그는 제대로된 DNA 구조를 밝혀내지 못했다. 게다가 매카시즘의 희생양이 된 탓에 출국이 금지되어 해외에서 열린 세미나에 참석할 수 없었고, 결국 DNA 구조를 밝혀내는 데 결정적인 단서인 DNA X선 회절 사진을 볼 수 없었다. 게다가 자기 자신이 세운 이론에 위배되는 구조를 만들고 발표하는 실수를 저질렀다. 그가 주장하던 DNA는 삼중나선 구조였는데 이 구조로는 염기가 어떻게 정보를 갖는지 알 수가 없었고, 또 원자들이 너무 가깝게 붙어있다는 단점(이러면 DNA가 불안정해져 존재할 수가 없었을 것이다)이 있었다. RNA의 일부분에선 삼중나선이 나타날 수 있긴 한데 폴링이 생각하던 삼중나선과는 조금 다르다. 그런데 이에 관해서 최근에는 다른 설이 등장했다. 비록 라이너스 폴링은 로절린드 프랭클린의 회절 사진을 볼 수 없었지만, 그의 조교가 영국에 가서 사진을 보고 왔고, 또한 폴링도 얼마 뒤에 출국 금지가 풀려 영국에 갔다고 한다.

결국 DNA 구조를 밝혀낸 공로는 제임스 듀이 왓슨프랜시스 크릭에게 돌아가게 되었고, 폴링의 DNA 구조는 놀림거리가 되었다. 만약 폴링이 그 단서(DNA X선 회절 사진)를 볼 수 있었다면 그는 자신의 실수를 눈치챘을 것이고, 생리의학상까지 수상하며 세상에서 가장 많이 노벨상을 받은 사람이 되었을 수도 있다. 재밌는 것은 사실 제임스 왓슨도 폴링과 같이 DNA를 삼중나선구조로 생각하였는데 폴링의 가설을 가지고 월킨스를 찾아갔다가 우연히 폴링이 못봤던 위의 그 결정적인 단서인 X선 회절 사진을 보았고 이중나선임을 확신하게 되었던 것이다.

왓슨과 크릭은 노벨상도 받은데다가, 그 위대한 폴링이 조롱거리가 되자 겁이 없어졌는지 DNA 구조를 밝히려고 노력한 다른 사람들을 조롱하는 책을 썼는데, 당연하지만 여기에는 폴링도 포함되어 있었다. 허나 폴링은 이들을 파티에 초대해서 자신의 실수를 일깨워준 둘을 칭송하는 성인군자에 필적하는 마음씨를 선보였다. 사실 왓슨과 크릭은 둘 다 우생학을 추종하는 인종차별주의자였다.

5. 준결정 부정

There is no such thing as quasicrystals, only quasi-scientists.
준결정이란 건 없고, 준과학자는 있다.
- 라이너스 폴링이 단 셰흐트만을 조롱한 말.

생전에 일정한 구조를 이루지만 규칙성은 없는 물질인 준결정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강력 부정하였다. 특히 단 셰흐트만이 준결정을 주장하자, 그에 대해 위의 발언으로 모욕을 준 사건이 있다. 쉽게 말해서 과학자 자격도 없다고 말한 것. 폴링을 중심으로 해서 화학계 전체에서도 셰흐트만 교수의 연구를 인정하지 않았다. 오늘날 보기에 논문은 굉장히 이해하기 쉽게 쓰여져 있지만, 그 저자인 셰흐트만 교수는 교과서(결정학 입문서)부터 다시 읽으라는 말까지 듣는 등 심각한 왕따를 당했다.[7]

그러나 수학을 통해 준결정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되고, 셰흐트만뿐 아니라 다른 과학자들도 잇달아 준결정을 발견하면서 폴링이 죽을 때까지 없다고 우기던 준결정이 마침내 학계에서 인정받았다. 결국 2011년, 노벨화학상 수상자로 단 셰흐트만이 선정되면서 사후에 그의 오류로 확정됐다. 준결정은 공학적으로 유용한 성질들을 갖고 있어, 신소재 개발에서 중요한 발견이므로, 준결정을 인정하지 않은 것은 폴링이 저지른 큰 실수 중 하나이다.

물론 준결정의 이론적 토대가 된 펜로즈 타일로저 펜로즈 또한 자연적으로 준결정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던 만큼, 자연에서 보기 힘들 거라 생각했던 것이 대다수였다.


[1] 결혼 전 이름: Linda Helen Pauling[2] 노벨상을 2회 이상 수상한 인물은 그 외에도 여럿 있지만, 모든 수상을 공동 수상자 없이 개인 단독으로 수상한 사람은 폴링 뿐이다.[3] 사먹는 비타민C 정제가 보통 한 알에 0.5g–2g이다. 1000mg 짜리 비타민C 정제에는 약 100mg정도의 고형제가 포함되어있다.[4] 여성보다 남성의 평균수명이 더 낮아서, 남성 90대 이상은 지금도 생각보다는 흔한 편은 아니다.[5] 1990년 경의 평균 기대 수명은 전세계 기준으로 남성 61세 정도였고, 비교적 보건 및 생활수준이 높았던 유럽과 북미로 한정해도 남성 69세 정도였다.[6] 정작 자신이 암으로 사망했으니 효과가 없지 않느냐는 얘기도 있지만, 그렇지 않다. 오히려 당시 평균연령보다 압도적으로 오래 생존(94세)한 것이 사실이고, 애당초 고령에서 암 발생률은 매우 높아지기 때문에 단순히 라이너스 폴링 개인의 결과만 보면 효과가 없었다는 추정보다는 효과가 있었다고 추정하는게 맞을 정도로 건강하게 살았다. 물론 장수의 결정적 이유가 비타민C 때문인지 다른 생활습관 때문인지 유전 때문인지 알 수는 없다.[7] 참고로 단 셰흐트만은 서울대 물리대학원 특강이 이스라엘 대통령 출마로 취소되었다는 그 사건의 주인공이다. 낙선된 이후 다시 서울대에서 특강을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