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word-break:normal" {{{#555,#aaa | <rowcolor=#cd9f51> 1901 | 1902 | ||
앙리 뒤낭 | 프레데리크 파시 | 엘리 뒤코묑 | 샤를 알베르 고바 | |
<rowcolor=#cd9f51> 1903 | 1904 | 1905 | 1906 | |
- | ||||
윌리엄 랜들 크리머 | 국제법학회 | 베르타 폰 주트너 | 시어도어 루스벨트 | |
<rowcolor=#cd9f51> 1907 | 1908 | |||
에르네스토 모네타 | 루이 르노 | 클라스 아르놀드손 | 프레드리크 바예르 | |
<rowcolor=#cd9f51> 1909 | 1910 | 1911 | ||
- | ||||
데스투르넬 드 콩스탕 | 오귀스트 베르나르트 | 국제평화국 | 알프레트 프리트 | |
<rowcolor=#cd9f51> 1911 | 1912 | 1913 | 1917 | |
토비아스 아서르 | 엘리후 루트 | 앙리 라퐁텐 | 국제적십자위원회 | |
<rowcolor=#cd9f51> 1919 | 1920 | 1921 | ||
우드로 윌슨 | 레옹 부르주아 | 얄마르 브란팅 | 크리스티안 랑에 | |
<rowcolor=#cd9f51> 1922 | 1925 | 1926 | ||
프리드쇼프 난센 | 오스틴 체임벌린 | 찰스 G. 도스 | 아리스티드 브리앙 | |
<rowcolor=#cd9f51> 1926 | 1927 | 1929 | ||
구스타프 슈트레제만 | 페르디낭 뷔송 | 루트비히 크비데 | 프랭크 켈로그 | |
<rowcolor=#cd9f51> 1930 | 1931 | 1933 | ||
나탄 셰데르블롬 | 제인 애덤스 | 니컬러스 버틀러 | 노먼 에인절 | |
<rowcolor=#cd9f51> 1934 | 1935 | 1936 | 1937 | |
아서 헨더슨 | 카를 폰 오시에츠키 | 카를로스 라마스 | 로버트 세실 | |
<rowcolor=#cd9f51> 1938 | 1944 | 1945 | 1946 | |
난센 국제난민 사무국 | 국제적십자위원회 | 코델 헐 | 에밀리 그린 볼치 | |
<rowcolor=#cd9f51> 1946 | 1947 | 1949 | 1950 | |
존 모트 | 퀘이커 봉사협회 | 존 보이드 오어 | 랠프 번치 | |
<rowcolor=#cd9f51> 1951 | 1952 | 1953 | 1954 | |
레옹 주오 | 알베르트 슈바이처 | 조지 마셜 | 유엔난민기구 | |
<rowcolor=#cd9f51> 1957 | 1958 | 1959 | 1960 | |
레스터 피어슨 | 도미니크 피르 | 필립 노엘베이커 | 앨버트 루툴리 | |
<rowcolor=#cd9f51> 1961 | 1962 | 1963 | 1964 | |
다그 함마르셸드 | 라이너스 폴링 | 국제적십자위원회 | 마틴 루터 킹 | |
<rowcolor=#cd9f51> 1965 | 1968 | 1969 | 1970 | |
유니세프 | 르네 카생 | 국제노동기구 | 노먼 볼로그 | |
<rowcolor=#cd9f51> 1971 | 1973 | 1974 | ||
빌리 브란트 | 헨리 키신저 | 레득토 (수상 거부) | 사토 에이사쿠 | |
<rowcolor=#cd9f51> 1974 | 1975 | 1976 | ||
숀 맥브라이드 | 안드레이 사하로프 | 베티 윌리엄스 | 메어리드 코리건 | |
<rowcolor=#cd9f51> 1977 | 1978 | 1979 | ||
국제앰네스티 | 안와르 사다트 | 메나헴 베긴 | 마더 테레사 | |
<rowcolor=#cd9f51> 1980 | 1981 | 1982 | ||
아돌포 에스키벨 | 유엔난민기구 | 알바 뮈르달 | 알폰소 로블레스 | |
<rowcolor=#cd9f51> 1983 | 1984 | 1985 | 1986 | |
- | ||||
레흐 바웬사 | 데즈먼드 투투 | 핵전쟁방지국제의사회 | 엘리 비젤 | |
<rowcolor=#cd9f51> 1987 | 1988 | 1989 | 1990 | |
오스카르 아리아스 | 유엔 평화유지군 | 달라이 라마 14세 | 미하일 고르바초프 | |
<rowcolor=#cd9f51> 1991 | 1992 | 1993 | ||
아웅 산 수 치 | 리고베르타 멘추 | 넬슨 만델라 | 프레데리크 빌럼 데 클레르크 | |
<rowcolor=#cd9f51> 1994 | 1995 | |||
이츠하크 라빈 | 시몬 페레스 | 야세르 아라파트 | 조지프 로트블랫 | |
<rowcolor=#cd9f51> 1995 | 1996 | 1997 | ||
퍼그워시 회의 | 카를로스 벨로 | 조제 하무스오르타 | 조디 윌리엄스 | |
<rowcolor=#cd9f51> 1997 | 1998 | 1999 | ||
- | ||||
지뢰금지국제운동 | 존 흄 | 데이비드 트림블 | 국경없는의사회 | |
<rowcolor=#cd9f51> 2000 | ||||
김대중 | ||||
}}}}}}}}}
- [ 21세기 ]
-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2> 2001 || 2002 || 2003 ||
}}}}}} ||
노벨상 다회 수상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cd9f5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단체 | |||
국제적십자위원회 (평화) | 유엔난민기구 (평화) | |||
개인 | ||||
마리 퀴리 (물리학, 화학) | 프레더릭 생어 (화학) | 라이너스 폴링 (화학, 평화) | 존 바딘 (물리학) | |
배리 샤플리스 (화학) | }}}}}}}}}}}} |
국제적십자위원회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
| | | | |
[clearfix]
1. 개요
전쟁 시 상병자(傷病者) 등의 구호를 목적으로 앙리 뒤낭이 설립한 인도적 기구. 본부는 스위스 제네바에 있다.2. 상세
국제적십자위원회는 스위스의 사업가 앙리 뒤낭(1828~1910)의 주도로 창설되었는데, 그는 1859년에 사업 관계로 북부 이탈리아를 방문했다. 한편 그와 같은 때에 북이탈리아의 롬바르디아에서는 이탈리아 통일 전쟁의 일환으로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과 프랑스가 오스트리아 제국에 맞서 솔페리노 전투를 벌였는데, 어쩌다 전투가 끝난 현장을 목격하게 된 앙리는 부상병들이 전장에 그대로 방치되어 있는 광경에 큰 충격을 받았다. 이에 그는 1863년 10월 26~29일에 제네바에서 적십자 창립회의를 주도하게 되는데, 이 회의에서는 전시상병자구호를 위하여 군위생부대의 보조기관으로서 스위스에 국제적십자위원회와 각국에 적십자사를 설립하며 적십자사와 그 소속 간호요원에게는 중립적 지위를 인정하고, 국제적 보호를 부여할 것을 결의했다. 의무병의 완장에 붙어있는 적십자 마크가 그것이다. 그러나 유럽과 기독교권 주도로 이뤄졌던 터라 이슬람 국가에서 반발이 컸고 로고도 따로 초승달을 쓰며 나라마다 다르게 하게 한다. 중국과 대만에서는 '홍십자(紅十字)'라고 한다.여기서 유의할 점은 각국 적십자사가 제기능을 못할 경우에는 국제적십자위원회에 도움을 청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외국인 신분으로 후진국을 여행하면서 정치적 분쟁에 휘말리는 불상사(인질, 납치, 감금, 포로 등등)를 겪는다고 가정하자. 각국 적십자사는 정부의 통제를 따르기 때문에 야전병원의 약품지원에 치중하거나 정치적 편파성을 띠기 때문에 아무 것도 못하는 처지로 전락하기 마련이다. 이런 형편에 처하게 되면, 국제적십자위원회에 요청해야 한다. 국제적십자위원회가 그런 경우에 대응하는 실무조직이니, 국적위 대표가 직접 달려와서 협상과 함께 석방을 도모하여 의료혜택을 제공한다. 동아시아에 비유하자면, 국경없는의사회와 대한법률구조공단의 기능을 동시에 실행한다고 생각해야지 이해가 되겠다.
국제적십자위원회는 20세기에 노벨평화상을 3회 받았는데, 1917년 제1차 세계 대전 활동 공로로 첫 번째 수상을, 1944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활동하며 두 번째로 수상하였다. 1963년에도 수상하며 노벨상을 3회를 수상한 유일한 단체 또는 인물[1]이 되었다. 사실 이뿐만 아니라 1901년에 앙리 뒤낭이 국제적십자위원회의 설립과 제네바 협약의 성립에 대한 공로로 초대 노벨평화상을 수상하였기에 실질적으로는 4회를 받았다고 판단해도 맞는 말이기는 하다.
3. 대중매체에서
문명 4에서 문명마다 하나씩 지을 수 있는 국가 불가사의로 등장한다. 효과는 위대한 과학자 점수와 문화를 매 턴 제공하고, 이 불가사의가 건설된 도시에서 생산되는 유닛에게 같은 타일에 위치한 유닛들의 체력을 보다 빠르게 회복시켜 주는 메딕 1 진급을 주는 것.[1] 다른 수상종목을 교차하는 것을 포함하더라도 노벨상을 2회 수상한 경우는 단 5번뿐이며, 3회 수상은 국제적십자위원회가 유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