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word-break: normal" {{{#555,#aaa | <rowcolor=#cd9f51> 1901 | 1902 | 1903 | 1904 |
야코뷔스 헨리퀴스 판트호프 | 헤르만 에밀 피셔 | 스반테 아레니우스 | 윌리엄 램지 | |
<rowcolor=#cd9f51> 1905 | 1906 | 1907 | 1908 | |
아돌프 폰 바이어 | 앙리 무아상 | 에두아르트 부흐너 | 어니스트 러더퍼드 | |
<rowcolor=#cd9f51> 1909 | 1910 | 1911 | 1912 | |
빌헬름 오스트발트 | 오토 발라흐 | 마리 퀴리 | 빅토르 그리냐르 | |
<rowcolor=#cd9f51> 1912 | 1913 | 1914 | 1915 | |
폴 사바티에 | 알프레드 베르너 | 시어도어 윌리엄 리처즈 | 리하르트 빌슈테터 | |
<rowcolor=#cd9f51> 1918 | 1920 | 1921 | 1922 | |
프리츠 하버 | 발터 네른스트 | 프레더릭 소디 | 프랜시스 윌리엄 애스턴 | |
<rowcolor=#cd9f51> 1923 | 1925 | 1926 | 1927 | |
프리츠 프레글 | 리하르트 아돌프 지그몬디 | 테오도르 스베드베리 | 하인리히 오토 빌란트 | |
<rowcolor=#cd9f51> 1928 | 1929 | 1930 | ||
아돌프 오토 라인홀트 빈다우스 | 아서 하든 | 한스 폰 오일러켈핀 | 한스 피셔 | |
<rowcolor=#cd9f51> 1931 | 1932 | 1934 | ||
카를 보슈 | 프리드리히 베르기우스 | 어빙 랭뮤어 | 해럴드 클라이턴 유리 | |
<rowcolor=#cd9f51> 1935 | 1936 | 1937 | ||
장 졸리오퀴리 | 이렌 졸리오퀴리 | 피터 디바이 | 월터 호어스 | |
<rowcolor=#cd9f51> 1937 | 1938 | 1939 | ||
파울 카러 | 리하르트 쿤 | 아돌프 부테난트 | 레오폴드 루지치카 | |
<rowcolor=#cd9f51> 1943 | 1944 | 1945 | 1946 | |
조르주 드 헤베시 | 오토 한 | 아르투리 일마르 비르타넨 | 제임스 B. 섬너 | |
<rowcolor=#cd9f51> 1946 | 1947 | 1948 | ||
존 하워드 노스럽 | 웬들 매러디스 스탠리 | 로버트 로빈슨 | 아르네 티셀리우스 | |
<rowcolor=#cd9f51> 1949 | 1950 | 1951 | ||
윌리엄 지오크 | 오토 딜스 | 쿠르트 알더 | 에드윈 맥밀런 | |
<rowcolor=#cd9f51> 1951 | 1952 | 1953 | ||
글렌 시보그 | 아처 마틴 | 리처드 싱 | 헤르만 슈타우딩거 | |
<rowcolor=#cd9f51> 1954 | 1955 | 1956 | ||
라이너스 폴링 | 빈센트 뒤비뇨 | 시릴 노먼 힌셜우드 | 니콜라이 세묘노프 | |
<rowcolor=#cd9f51> 1957 | 1958 | 1959 | 1960 | |
알렉산더 R. 토드 | 프레더릭 생어 | 야로슬라프 헤이로프스키 | 윌러드 리비 | |
<rowcolor=#cd9f51> 1961 | 1962 | 1963 | ||
멜빈 캘빈 | 존 켄드루 | 막스 페루츠 | 줄리오 나타 | |
<rowcolor=#cd9f51> 1963 | 1964 | 1965 | 1966 | |
카를 치글러 | 도러시 호지킨 | 로버트 번스 우드워드 | 로버트 샌더슨 멀리컨 | |
<rowcolor=#cd9f51> 1967 | 1968 | |||
만프레트 아이겐 | 로널드 조지 레이퍼드 노리시 | 조지 포터 | 라르스 온사게르 | |
<rowcolor=#cd9f51> 1969 | 1970 | 1971 | ||
디릭 바턴 | 오드 하셀 | 루이스 페데리코 를루아르 | 게르하르트 헤르츠베르크 | |
<rowcolor=#cd9f51> 1972 | 1973 | |||
크리스천 베이커 안핀센 | 스탠퍼드 무어 | 윌리엄 하워드 스타인 | 에른스트 오토 피셔 | |
<rowcolor=#cd9f51> 1973 | 1974 | 1975 | ||
제프리 윌킨슨 | 폴 플로리 | 존 콘포스 | 블라디미르 프렐로그 | |
<rowcolor=#cd9f51> 1976 | 1977 | 1978 | 1979 | |
윌리엄 립스컴 | 일리야 프리고진 | 피터 데니스 미첼 | 허버트 찰스 브라운 | |
<rowcolor=#cd9f51> 1979 | 1980 | |||
게오르크 비티히 | 폴 버그 | 월터 길버트 | 프레더릭 생어 | |
<rowcolor=#cd9f51> 1981 | 1982 | 1983 | ||
후쿠이 겐이치 | 로알드 호프만 | 에런 클루그 | 헨리 타우버 | |
<rowcolor=#cd9f51> 1984 | 1985 | 1986 | ||
로버트 브루스 메리필드 | 허버트 애런 하우프트먼 | 제롬 칼 | 더들리 로버트 허슈바크 | |
<rowcolor=#cd9f51> 1986 | 1987 | |||
리위안저 | 존 찰스 폴라니 | 장마리 렌 | 찰스 피더슨 | |
<rowcolor=#cd9f51> 1987 | 1988 | |||
도널드 J. 크램 | 요한 다이젠호퍼 | 로베르트 후버 | 하르트무트 미헬 | |
<rowcolor=#cd9f51> 1989 | 1990 | 1991 | ||
시드니 올트먼 | 토머스 로버트 체크 | 일라이어스 제임스 코리 | 리하르트 로베르트 에른스트 | |
<rowcolor=#cd9f51> 1992 | 1993 | 1994 | ||
루돌프 마커스 | 캐리 멀리스 | 마이클 스미스 | 조지 앤드루 올라 | |
<rowcolor=#cd9f51> 1995 | 1996 | |||
파울 크뤼천 | 프랭크 셔우드 롤런드 | 마리오 호세 몰리나 | 로버트 컬 | |
<rowcolor=#cd9f51> 1996 | 1997 | |||
해럴드 크로토 | 리처드 스몰리 | 존 워커 | 폴 보이어 | |
<rowcolor=#cd9f51> 1997 | 1998 | 1999 | ||
옌스 스코우 | 월터 콘 | 존 포플 | 아메드 즈웨일 | |
<rowcolor=#cd9f51> 2000 | ||||
앨런 히거 | 앨런 맥더미드 | 시라카와 히데키 | ||
}}}}}}}}}
- [ 21세기 ]
- ##
||<-3><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2001 || 2002 ||
}}}}}} ||
<colbgcolor=#00001b><colcolor=white> 본명 | 찰스 존 피더슨 (Charles John Pedersen) | |
출생 | 1904년 10월 3일 | |
경상남도 동래군(現 부산광역시) | ||
사망 | 1989년 10월 26일 (향년 85세) | |
미국 뉴저지 주 살렘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
학력 | 데이턴 대학교 (화학공학 / B.S.)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유기화학 / M.S.) | |
직업 | 유기화학자 |
[clearfix]
1. 개요
미국의 유기화학자. 1987년에 크라운 에테르의 발견 공로로 노벨화학상을 수상하였다.2. 생애
1904년 대한제국 경상남도 동래군에서 노르웨이인 아버지 브레데 피더슨과 일본인 어머니 야스이 타키노 사이에서 태어났다.[1]노벨위원회는 후보자의 국적을 고려하지 말고 상을 주라는 알프레드 노벨의 유지를 따라 노벨위원회 홈페이지에 수상자의 국적이 아닌 출생지와 소속기관 등을 명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피더슨 역시 한국에서 출생한 이유로 한국 출신으로 분류됐다. #
본인이 직접 작성한 일대기에 따르면 미국인 소유의 운산 금광[2] 근처에서 자랐으며 영어를 구어로 사용하며 자랐다. 8살 때 일본으로 건너가 초등과 중등 교육을 받으면서 처음으로 화학 과목을 수강하였다. 18세까지 일본에서 지내다가 대학에 들어갈 나이가 되자 아버지의 권유로 1922년에 미국 오하이오주 데이턴 대학교에 진학 후 화학공학 학사를 취득하였고, 이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MIT)에서 유기화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그는 그동안 "아버지가 부쳐준 돈으로 석사 과정까지 다녔다"며, "이제는 내가 직접 돈을 벌어야겠다"라고 생각해 듀폰이라는 화학회사의 연구원으로 취직했다.3. 공적
그는 듀폰의 잭슨 연구소 재직 시절인 1967년에 크라운 에테르라는 유기화합물을 발견하였고 그 공로로 발견 20년 후인 1987년에 노벨화학상을 도널드 크램, 장마리 렌[3]과 함께 공동 수상하였다.4. 노벨상 수상 관련
위에서 언급했듯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연구소에 들어가 일을 하였기 때문에 박사학위가 없는 최초의 노벨 과학상 수상자였다. 그가 현재의 부산에서 출생하였기 때문에 노벨위원회의 공식 기록에는 한국(Korea) 출생의 최초의 노벨상 수상자로 기록되어 있다. 이후의 한국 출생 노벨상 수상자는 김대중(2000년, 평화상), 한강(2024년, 문학상)이 있다. 노벨상은 알프레드 노벨이 직접 수상자의 국적을 고려하지 말라는 유언을 남겼기 때문에 수상자의 국적을 일절 기록하지 않고 오직 출생지, 사망자의 사망지만을 기록한다.자신이 직접 작성한 일대기에 한국에서의 어린 시절을 상세히 기술한 점을 보았을 때 그는 비록 한국에 돌아온 적은 없었지만 한국에서의 유년기를 소중한 추억으로 간직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은 편이다.[4] 다만 본인 일대기의 한국 부분 대다수를 운산 금광에서의 추억으로 채워넣고 부산은 출생지로만 언급한 점을 보았을 때 본인의 고향을 부산이 아닌 평안북도 운산군으로 여겼을 확률이 커 보인다.[5] 8살에 일본으로 이사를 가기 전까지 미국 소유였던 운산 광산촌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다. 당시 운산광산촌에는 한국인 노역자들을 제외하면 거의 외국인들만 살았기 때문에 이 시절에는 영어를 모국어로 습득 및 사용하며 지냈다고 한다.[6]
5. 여담
- 아버지 브레데 피더슨은 해양 기술자 출신으로 극동에 파견되어 대한제국의 운산 금광에서 기계공으로 일하던 와중에 가족과 같이 한국에 온 야스이 타키노와 만나 결혼했다. 그녀는 무역업을 하던 가족이 콩과 누에 무역을 위해 한국으로 이주할 때 같이 온 것이다.
- 누나와 피더슨이 태어나기 전에 병으로 사망한 형이 하나 있다고 한다.
- 어렸을 때는 어머니가 일본 이름으로 불렀으며, 일본 이름은 '야스이 요시오([ruby(安, ruby=やす)][ruby(井, ruby=い)][ruby(良, ruby=よし)][ruby(男, ruby=お)])'였다고 한다.
- 노벨상 수상 소감에서 "상업성이 없는 연구를 9년 동안 할 수 있게 해 준 듀폰社의 경영진에게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 듀폰은 그의 업적을 기려 우수한 과학자에게 수여하는 '피더슨 상'을 설립했다.
[1] 노벨위원회 공식 홈페이지 찰스 피더슨 일대기. 주어가 'I'로 되어 있다는 것을 통해 피더슨 본인이 직접 작성해 노벨위원회에 제출한 일대기임을 알 수 있다.[2] 학교 한국사 과목에서도 조선-대한제국이 열강에 이권을 넘긴 곳 중 하나로 자주 언급되는 곳이다.[3] 이들은 찰스 피더슨이 크라운 에테르를 발견한 후 이에 기반하여 후속 연구를 한 학자들이다.[4] 자신의 일대기에 부산과 운산이라는 지명을 정확히 언급하고 운산 금광이 지금의 북한 북서부에 위치한다는 사실까지 언급하고 넘어간 것이 그러한 가능성을 더욱 뒷받침한다.[5] 태어난 부산은 유아기에만 있었으니 기억이 있을 수가 없었을 것이다. 물론 아동기에 거주해 자신의 고향으로 여겼을 가능성이 높은 운산도 북한령이니 가고 싶어도 갈 수 없었다.[6] 일제강점기 시절, 특정 산업도시에서는 외국인/일본인/한국인(조선인)의 거주지 분리가 꽤 있었다. 원산시의 경우, 아예 장벽으로 분리되어 있었기 때문에 살면서 한국인/일본인이 서로 마주칠 일조차 거의 없었다고 하며, 소위 옥음방송 당시 일본거주구 주민들은 그제야 장벽 밖에서 쩌렁쩌렁 울리는 "만세!"소리를 듣고서야 자신들이 한반도에 살고 있었다는 사실을 실감했다고 구술했을 정도다.[7] 연도로 보아 일제강점기였던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