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1c54a5>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정령지정도시 | |||
현청 오카야마시(▶ 하위 행정구역) | ||||
시 | ||||
아카이와시 | 아사쿠치시 | |||
이바라시 | 카사오카시 | 쿠라시키시 | 세토우치시 | |
소자시 | 타카하시시 | 다마노시 | 츠야마시 | |
니미시 | 비젠시 | 마니와시 | 미마사카시 | |
⬛︎ : 중핵시 | ||||
정 | ||||
사토쇼초 | 야카게초 | 와케초 | 하야시마초 | |
가쓰타군 | 구메군 | |||
쇼오초 | 나기초 | 구메난초 | 미사키초 | |
카가군 | 도마타군 | |||
기비츄오초 | 카가미노초 | |||
촌 | ||||
마니와군 | 아이다군 | |||
신조손 | 니시아와쿠라손 |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fff,#1f2023> [[일본|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ruby(倉敷市, ruby=くらしきし)] 쿠라시키시 / Kurashiki City | |
시기(市旗) | |
위치 | |
국가 | 일본 |
지방 | 주고쿠 지방 산요 지방 |
도도부현 | 오카야마현 |
면적 | 355.63km² |
인구 | 468,468명[1] |
시제 시행년도 | 1928년 |
중의원 | 하시모토 가쿠(자유민주당, 오카야마현 제4구) 가토 가쓰노부(자유민주당, 오카야마현 제5구) |
상징 | |
시화 | 등나무꽃(フジ) |
시목 | 녹나무(クスノキ) |
시조 | 물총새(カワセミ) |
쿠라시키시 홈페이지 |
[clearfix]
1. 개요
오카야마현의 도시. 현청 소재지인 오카야마시에 이어 현내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다.2. 상세
쿠라시키 미관 지구가 있어 관광객들이 꽤 많다. 오카야마현에서 가장 밀어주는 관광지이기도 하다. 그 외에도 시코쿠로 향하는 길목인 세토대교 인근 지역인 고지마-와슈잔 일대도 구라시키시 인지라 이쪽의 관광수요도 내국인을 중심으로 많다.
생각보다 행정구역이 크기때문에 인구도 주고쿠에서 3번째로 많으며, 인접한 오카야마시와 연담화되어 오카야마 광역권을 따지면 주고쿠 최대도시인 히로시마시의 광역권보다 인구가 많다고 보기도 한다. 특히 시 남서부 미즈시마 일대에는 미쓰비시 화학, ENEOS 등 대규모 석유화학 공단들이 밀집해 있어 이쪽에 종사하는 인구들도 많다. 미즈시마 일원에 수많은 비즈니스 호텔들이 있는건 이런 상용수요들 때문. 그 외에도 구라시키역과 이 일대를 잇는 미즈시마 임해철도는 공단에 들어가는 화물과 통근수요가 메인이며, 덕분에 JR화물과 주요 공단들이 출자하여 운영하고 있다.
쿠라시키시에서 쿠라레이, 쿠라보우[2]를 창업한 오하라 마고사부로는 노동자 복지와 사회사업을 중요시한 사업가로 유명했으며, 경영자의 모범으로 추앙받고 있는 중. 미관지구에 위치한 오하라 미술관의 설립자이기도 하다.
3. 교통
| |||
<colbgcolor=#996cac><colcolor=#ffffff> 철도 | <colbgcolor=#996cac><colcolor=#ffffff> 고속 철도 | | 신쿠라시키역 |
JR 서일본 | | 나카쇼역, 쿠라시키역, 니시아치역, 신쿠라시키역, 마츠나가역 | |
| 쿠라시키역, 키요네역 | ||
| 차야마치역, 키미역, 카미노쵸역, 코지마역 | ||
| 차야마치역 | ||
미즈시마 임해철도 | 미즈시마 본선 | 쿠라시키시역, 큐죠마에역, 니시토미이역, 후쿠이역, 우라다역, 야요이역, 사카에역, 토키와역, 미즈시마역, 미츠비시지코마에역, 쿠라시키 화물터미널역(화물) | |
코토선 | 미즈시마역(화물), 히가시미즈시마역(화물) | ||
이바라 철도 | 이바라선 | 키요네역, 카와베주쿠역, 키비노마키비역, 빗츄쿠레세역 | |
도로 | 고속 도로 | | |
국도 | 2번 국도, 492번 국도, 430번 국도, 486번 국도 | ||
항만 | 미즈시마항 |
신쿠라시키역이 시가지 서쪽으로 멀리 위치해 있고 코다마밖에 서지 않으므로 실제 이용할 때에는 오카야마역에서 환승하는 쪽이 편하다. 신쿠라시키역이 쓸만할 때는 후쿠야마역에서 히가시히로시마역 사이에서 이동할 때 정도. 중심역 구라시키역에서 오카야마역은 15.9km, 신쿠라시키역은 9.3km 떨어져 있다.
4. 비고
이름 때문에 한국어로 욕 같이 들리는 일본어 문장 만들기에 활용되기도 한다. *5. 대중매체
1993년에 방영된 MBC 드라마 파일럿에서 주인공 강민기의 어머니(박정수 역)가 홀로 유치원을 꾸리며 살아가는 곳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강민기(최수종 역)가 항공기 조종사가 되고서 어머니를 찾기 위해 오카야마 행 비행을 마치고서 오카야마역에서 전철을 타고 찾아와 도시 곳곳을 돌아다니는 장면이 나온다.[3]6. 출신 인물
- 호시노 센이치 (전 프로야구 선수, 감독)
- 카네모토 히사코 (성우)
- 안영학(재일 조선인, 축구인)
- 히라오 아우리(최애가 부도칸에 가 준다면 난 죽어도 좋아의 저자)
- 오오야마 야스하루(쇼기 15세명인)
7. 사건 사고
- 2014년 구라시키 초5여아 유괴사건이 발생했다.
- 2012년에는 해저 터널 사고가 발생되었다.
- 1946년에서 1949년에 걸쳐 오카다 갱생관 사건이 발생했다.[4]
[1] 추계인구 2024년 2월 1일 기준[2] 쿠라시키 레이온, 쿠라시키 방적[3] 오카야마 공항의 김포 노선은 1991년에 개통했고 이후 1993년에 국제선 터미널이 확충되었다.[4] 사건 당시는 키비군 오카무라촌으로, 현재 행정구역으로는 쿠라시키시 마비초 오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