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8 10:38:53

서울대학교/관악캠퍼스/시설 목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서울대학교/관악캠퍼스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의 캠퍼스
관악캠퍼스 (시설 목록) 연건캠퍼스 (시설 목록)
시흥캠퍼스 (구)상록캠퍼스 종합화 이전 캠퍼스

1. 개요2. 시설 목록
2.1. 정문 (고유번호 A 115)2.2. 주요시설
2.2.1. 행정관 (고유번호 C 60)2.2.2. 중앙도서관 본관 (고유번호 C 62)2.2.3. 중앙도서관 관정관 (고유번호 C 62-1)2.2.4. 문화관 (고유번호 C 73)2.2.5. 잔디광장
2.3. 대학(원)
2.3.1. 인문대학
2.3.1.1. 교육·연구시설
2.3.1.1.1. 인문관 1 (고유번호 H 1)2.3.1.1.2. 인문관 2 (고유번호 H 2)2.3.1.1.3. 인문관 3 (고유번호 H 3)2.3.1.1.4. 신양인문학술정보관 (고유번호 H 4)2.3.1.1.5. 인문관 4 (고유번호 H 5)2.3.1.1.6. 인문관 5 (고유번호 H 6)2.3.1.1.7. 인문관 6 (고유번호 H 7)2.3.1.1.8. 두산인문관 (고유번호 H 8)2.3.1.1.9. 인문관 7 (고유번호 H 14)
2.3.1.2. 인근 편의시설
2.3.1.2.1. 자하연식당 (고유번호 H 109)2.3.1.2.2. 자하연2.3.1.2.3. 아방궁2.3.1.2.4. 해방터
2.3.2. 사회과학대학
2.3.2.1. 교육·연구시설
2.3.2.1.1. 사회과학관 (고유번호 B 16)2.3.2.1.2. 신양사회과학학술정보관 (고유번호 B 16-1)
2.3.3. 자연과학대학
2.3.3.1. 교육·연구시설
2.3.3.1.1. 자연과학관 1 (고유번호 G 18)2.3.3.1.2. 자연과학관 2 (고유번호 G 19)2.3.3.1.3. 자연과학관 4 (고유번호 C 22)2.3.3.1.4. 자연과학관 5 (고유번호 C 23)2.3.3.1.5. 자연과학관 6 (고유번호 C 24)2.3.3.1.6. 자연과학관 7 (고유번호 C 25)2.3.3.1.7. 자연대강의및실험연구동 (고유번호 C 25-1)2.3.3.1.8. 기초과학실험교육동 (고유번호 C 26)2.3.3.1.9. 자연과학관 9 (고유번호 C 27)2.3.3.1.10. 자연대 대형 강의동 (고유번호 C 28)2.3.3.1.11. 자연과학관 10 (고유번호 C 56)2.3.3.1.12. 김철수물리관 (고유번호 C 56-1)2.3.3.1.13. 상산수리과학관 (고유번호 C 129)2.3.3.1.14. 자연과학대학 (고유번호 D 500)
2.3.3.2. 인근 편의시설
2.3.3.2.1. 신림 계곡
2.3.4. 경영대학
2.3.4.1. 교육·연구시설
2.3.4.1.1. SK경영관 (고유번호 I 58)2.3.4.1.2. LG경영관 (고유번호 I 59)2.3.4.1.3. 매니지먼트센터 (고유번호 I 59-1)
2.3.4.2. 인근 편의시설
2.3.4.2.1. 동원생활관 (고유번호 I 113)
2.3.5. 공과대학
2.3.5.1. 교육·연구시설
2.3.5.1.1. 공학관 1 (고유번호 E 30)2.3.5.1.2. 공학관 2 (고유번호 E 31)2.3.5.1.3. 가속기제작실 (고유번호 E 31-1)2.3.5.1.4. 공학관 3 (고유번호 E 32)2.3.5.1.5. 해동학술문화관 (고유번호 E 32-1)2.3.5.1.6. 공학관 4 (고유번호 E 33)2.3.5.1.7. 공학관 5 (고유번호 E 34)2.3.5.1.8. 공학관 6 (고유번호 E 35)2.3.5.1.9. 공학관 7 (고유번호 E 36)2.3.5.1.10. 공학관 8 (고유번호 E 37)2.3.5.1.11. 글로벌공학교육센터 (고유번호 E 38)2.3.5.1.12. 대학원연구동(1단계) (고유번호 E 39)2.3.5.1.13.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및 공과대학 강의동 (고유번호 E 43)2.3.5.1.14.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및 공과대학 강의동 2 (고유번호 E 43-2)2.3.5.1.15. 신양학술정보관 (고유번호 G 44-1)2.3.5.1.16. 유회진학술정보관 (고유번호 F 300)2.3.5.1.17. 제1공학관 (고유번호 F 301)2.3.5.1.18. 제2공학관 (고유번호 F 302)2.3.5.1.19. 해동첨단공학관 (고유번호 F 303)
2.3.5.2. 인근 편의시설
2.3.5.2.1. 공대간이식당 (고유번호 E 30-2)2.3.5.2.2. 붉은광장2.3.5.2.3. 하유재2.3.5.2.4. 공대 폭포
2.3.6. 농업생명과학대학
2.3.6.1. 교육·연구시설
2.3.6.1.1. 농업생명과학대학 (고유번호 D 200)2.3.6.1.2. 농업생명과학대학환경관 (고유번호 D 201)2.3.6.1.3. SPC농생명과학 및 기초과학연구동 (고유번호 D 203)
2.3.6.2. 인근 편의시설
2.3.6.2.1. 제3학생식당 (고유번호 D 75-1)
2.3.7. 미술대학 및 음악대학
2.3.7.1. 교육·연구시설
2.3.7.1.1. 예술관연구동 (고유번호 I 49)2.3.7.1.2. 예술관(미대) 1 (고유번호 I 50)2.3.7.1.3. 예술관(미대) 2 (고유번호 I 51)2.3.7.1.4. 예술관(미대) 3 (고유번호 I 52)2.3.7.1.5. 미대교양실습동 (고유번호 I 52-1)2.3.7.1.6. 야외조각실습장 (고유번호 I 52-2)2.3.7.1.7. 예술관(음대) 1 (고유번호 I 53)2.3.7.1.8. 예술관(음대) 2 (고유번호 I 54)2.3.7.1.9. 예술관(음대) 3 (고유번호 I 55)2.3.7.1.10. 예술복합연구동 (고유번호 I 74)
2.3.8. 사범대학
2.3.8.1. 교육·연구시설
2.3.8.1.1. 사범관 1 (고유번호 H 9)2.3.8.1.2. 사범관 2 (고유번호 H 10)2.3.8.1.3. 사범대교육정보관 (고유번호 H 10-1)2.3.8.1.4. 사범관 3 (고유번호 H 11)2.3.8.1.5. 사범교육협력센터 (고유번호 H 12)2.3.8.1.6. 과학교육관 (고유번호 C 13)
2.3.8.2. 인근 편의시설
2.3.8.2.1. 제4식당 (고유번호 H 76)2.3.8.2.2. 주차건물 (고유번호 H 76-1)2.3.8.2.3. 카페 파스쿠찌 (고유번호 H 111)2.3.8.2.4. 사범대 옥상정원
2.3.9. 생활과학대학
2.3.9.1. 교육·연구시설
2.3.9.1.1. 생활과학대학 (고유번호 I 222)
2.3.10. 수의과대학
2.3.10.1. 교육·연구시설
2.3.10.1.1. 수의대부속 동물병원 (고유번호 A 80)2.3.10.1.2. 수의대부속 동물병원 (고유번호 A 80-1)2.3.10.1.3. 생명공학연구동 (고유번호 A 81)2.3.10.1.4. 수의과대학 (고유번호 A 85)2.3.10.1.5. 수의생명자원연구동 (고유번호 A 85-1)
2.3.11. 약학대학
2.3.11.1. 교육·연구시설
2.3.11.1.1. 약학관 3 (고유번호 C 20)2.3.11.1.2. 약학관 1 (고유번호 C 21)2.3.11.1.3. 약학관 2 (고유번호 G 29)2.3.11.1.4. 약학관 4 (고유번호 G 141)2.3.11.1.5. 약학관 5 (고유번호 G 142)2.3.11.1.6. 약대신약개발연구센터 (고유번호 G 143)
2.3.12. 자유전공학부
2.3.12.1. 교육·연구시설
2.3.12.1.1. 종합교육연구동 (고유번호 I 220)
2.3.13. 보건대학원
2.3.13.1. 교육·연구시설
2.3.13.1.1. 보건대학원 (고유번호 I 221)
2.3.14. 행정대학원
2.3.14.1. 교육·연구시설
2.3.14.1.1. 행정대학원 1 (고유번호 I 57)2.3.14.1.2. 행정대학원 2 (고유번호 I 57-1)
2.3.15. 환경대학원
2.3.15.1. 교육·연구시설
2.3.15.1.1. 환경대학원 (고유번호 I 82)
2.3.15.2. 인근 편의시설
2.3.15.2.1. 하늘마당
2.3.16. 국제대학원
2.3.16.1. 교육·연구시설
2.3.16.1.1. 국제대학원 1 (고유번호 I 140)2.3.16.1.2. 국제대학원 2 (고유번호 I 140-1)2.3.16.1.3. 국제대학원 3 (고유번호 I 140-2)
2.3.17. 치의학대학원
2.3.17.1. 교육·연구시설
2.3.17.1.1. 치의학대학원 첨단복합연구단지 및 의료센터 (고유번호 A 86)
2.3.18. 법학전문대학원
2.3.18.1. 교육·연구시설
2.3.18.1.1. 법학관 1 (고유번호 B 15)2.3.18.1.2. 우천법학관 (고유번호 B 15-1)2.3.18.1.3. 법학관 2 (고유번호 B 17)2.3.18.1.4. 법학도서관 (고유번호 B 72)2.3.18.1.5. 근대법학교육100주년기념관 (고유번호 84)
2.4. 문화시설
2.4.1. IBK커뮤니케이션센터 (고유번호 B 64)2.4.2. NH농협두레문예관 (고유번호 B 67)2.4.3. 박물관 (고유번호 I 70)2.4.4. 체육관 (고유번호 A 71)2.4.5. 체육문화교육연구동 (고유번호 A 71-1)2.4.6. 포스코스포츠센터 (고유번호 A 71-2)2.4.7. 융합관 (고유번호 D 75)2.4.8. 버들골 풍산마당 (고유번호 H 100)2.4.9.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고유번호 C 103)2.4.10. 미술관 (고유번호 A 151)2.4.11. 버들골2.4.12. 종합운동장2.4.13. 보조운동장(기숙사)2.4.14. 보조운동장(학군단)2.4.15. 야구장2.4.16. 잔디 테니스코트(경영대)2.4.17. 클레이 테니스코트(경영대)2.4.18. 클레이 테니스코트(공대)2.4.19. 농구장(공대)2.4.20. 농구장(기숙사삼거리)2.4.21. 풋살장2.4.22. 인공암벽
2.5. 행정시설
2.5.1. 환경안전원 (고유번호 A 97)2.5.2. 환경안전원 (고유번호 A 98)2.5.3. 정보화본부 (고유번호 C 102)2.5.4. 입학본부 (고유번호 A 150)2.5.5. 우정원글로벌사회공헌센터 (고유번호 A 153)
2.6. 교육시설
2.6.1. 이공계멀티미디어강의동 (고유번호 E 43-1)2.6.2. 기초교육원 (고유번호 H 61)2.6.3. 학군단 (고유번호 G 66)2.6.4. 인문사회계멀티미디어강의동 (고유번호 B 83)2.6.5. 언어교육원 (고유번호 A 137)2.6.6. CJ어학관 (고유번호 A 137-1)2.6.7. 대림국제관 (고유번호 A 137-2)2.6.8. CJ인터내셔널센터 (고유번호 A 152)2.6.9. 롯데국제교육관 (고유번호 A 152-1)2.6.10. 백학어린이집 (고유번호 K 941)2.6.11. 느티나무어린이집 (고유번호 K 941-1)
2.7. 연구시설
2.7.1. 풍동실험동 1 (고유번호 E 40)2.7.2. 선체구조실험동 (고유번호 G 41)2.7.3. 선형수조실험동 (고유번호 G 42)2.7.4. 슬로싱실험동 (고유번호 G 42-1)2.7.5. 풍동실험동 2 (고유번호 G 44)2.7.6. 천문대 (고유번호 G 45)2.7.7. 천문관측소 (고유번호 G 46)2.7.8. 기상관측소 (고유번호 F 47)2.7.9. 지진관측소 (고유번호 G 48)2.7.10. 전파천문대 (고유번호 G 48-1)2.7.11. 실험동물자원관리원 (고유번호 G 69)2.7.12. 아시아연구소 (고유번호 B 101)2.7.13. 반도체공동연구소 (고유번호 G 104)2.7.14. 반도체교육관 (고유번호 G 104-1)2.7.15. 유전공학연구소 (고유번호 G 105)2.7.16. 유전공학연구소 신관 (고유번호 G 105-2)2.7.17. 기초전력연구소 (고유번호 E 130)2.7.18. 신소재공동연구소 (고유번호 E 131)2.7.19. 뉴미디어통신공동연구소 (고유번호 G 132)2.7.20. 자동화시스템공동연구소 (고유번호 E 133)2.7.21. 에너지신기술연구동 (고유번호 G 135)2.7.22. 컴퓨터연구소 (고유번호 G 138)2.7.23. 공동기기원 (고유번호 G 139)2.7.24. 기초과학공동기기원 (고유번호 G 139-1)2.7.25. 우석경제관 (고유번호 A 223)2.7.26. 화학공정신기술연구소 (고유번호 F 311)2.7.27. 정밀기계연구소실험연구동 (고유번호 F 312)2.7.28. 정밀기계공동연구소 (고유번호 F 313)2.7.29. 차세대자동차신기술연구소 (고유번호 F 314)2.7.30. 건설환경종합연구소 (고유번호 F 316)2.7.31. 연구공원지원시설 (고유번호 K 940)2.7.32. 942동 (구 LG연구동) (고유번호 K 942)2.7.33. SK텔레콤 (고유번호 K 943)2.7.34. 삼성전자공동연구소 (고유번호 K 944)2.7.35. 코웨이R&D센터 (고유번호 K 945)2.7.36. 국제백신연구소 (고유번호 K 950)
2.8. 편의시설
2.8.1. 회관 및 외부인 숙박시설
2.8.1.1. 학생회관 (고유번호 C 63)2.8.1.2. 교수회관 (고유번호 G 65)2.8.1.3. 호암교수회관 (고유번호 K 125)2.8.1.4. 삼성컨벤션센터 (고유번호 K 125-1)2.8.1.5. SK게스트하우스 (고유번호 K 125-2)2.8.1.6. 호암동관 (고유번호 K 126)2.8.1.7. 호암서관 (고유번호 K 127)2.8.1.8. 엔지니어하우스 (고유번호 F 310)
2.8.2. 기숙사 및 교직원 아파트
2.8.2.1. 공관 (고유번호 K 121)2.8.2.2. 교수아파트 1~9 (고유번호 K 122-A~I)2.8.2.3. 관악사 대학원 생활관 (고유번호 J 900)2.8.2.4. 관악사 대학원 생활관 (고유번호 J 901)2.8.2.5. 관악사 대학원 생활관 (고유번호 J 902)2.8.2.6. 관악사 대학원 생활관 (고유번호 J 903)2.8.2.7. 관악사 대학원 생활관 (고유번호 J 904)2.8.2.8. 관악사 대학원 생활관 (고유번호 J 905)2.8.2.9. 관악사 대학원 생활관 (고유번호 J 906)2.8.2.10. 관악사 글로벌 생활관 (고유번호 K 915)2.8.2.11. 관악사 글로벌 생활관 (고유번호 K 916)2.8.2.12. 관악사 글로벌 생활관 (고유번호 K 917)2.8.2.13. 관악사 대학원 생활관 (고유번호 J 918)2.8.2.14. 관악사 학부 생활관 (고유번호 J 919)2.8.2.15. 관악사 후생관 (고유번호 J 920)2.8.2.16. 관악사 학부 생활관 (고유번호 J 921)2.8.2.17. 관악사 학부 생활관 (고유번호 J 922)2.8.2.18. 관악사 학부 생활관 (고유번호 J 923)2.8.2.19. 관악사 학부 생활관 (고유번호 J 924)2.8.2.20. 관악사 학부 생활관 (고유번호 J 925)2.8.2.21. 관악사 학부 생활관 (고유번호 J 926)2.8.2.22. 가족생활관 1 (고유번호 K 931)2.8.2.23. 가족생활관 2 (고유번호 K 932)2.8.2.24. 가족생활관 3 (고유번호 K 933)2.8.2.25. 가족생활관 4 (고유번호 K 934)2.8.2.26. 가족생활관 5 (고유번호 K 935)2.8.2.27. 교직원아파트 (고유번호 K 936)2.8.2.28. BK국제관 (고유번호 K 946)
2.9. 기타 시설
2.9.1. 제1파워플랜트 (고유번호 A 68)2.9.2. 신림변전소 (고유번호 A 68-1)2.9.3. 제2파워플랜트 (고유번호 F 330)2.9.4. 차량정비고 (고유번호 F 331)
2.10. 후문수위실 (고유번호 K 144)

1. 개요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의 시설들을 정리한 문서.

2. 시설 목록

A~K로 캠퍼스의 구역이 나뉘어져 있으나, 캠퍼스 대확장으로 인해 한 단과대학의 시설이 여러 구역에 걸쳐 세워진 경우가 많다. 특히 자연과학대학, 공과대학 등은 세 구역 이상에 흩어져 있는데, 이를 같은 목차 안에 다룰 필요가 있다. 따라서, 비슷한 목적의 시설들은 한 목차 안에 정리하고, 해당 목차 안에서 동번호에 따라 오름차순으로 나열하였다. 각 시설의 구역(A~K)은 동번호 앞에 병기하여 고유번호로 표기하였다.

2.1. 정문 (고유번호 A 115)

파일:서울대정문.jpg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정문
정문의 '샤'자 조형물은 서울대의 트레이드 마크. "학교"의 초성 ㄱ, ㅅ, ㄷ에서 따왔다.[1] "진리를 찾기 위한 열쇠"를 상징한다.

1975년 서울대가 관악캠퍼스로 이전하게 되자 정문의 필요성과 디자인에 관한 논의가 제기됐고, 1977년 3가지 시안이 상정되어 학생 여론을 조사하였으나 모두 긍정적인 지지를 받지 못했다. 결국 모든 안을 폐기하고, 미대, 공대, 환경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의 전문가 교수 9명으로 구성된 자문위원회에서 휘장에 들어있는 '샤'마크를 활용하기로 합의를 보아 1978년에 지금의 정문이 탄생되었다.# 이를 두고 학생 여론을 존중하지 않은 것에 항의하는 등 문제 제기가 이어지기도 하였고, 이 철제 구조물에 대해 “교문이 기발한 면만 강조돼 전체적으로 천박한 느낌을 풍긴다”거나 “독창적이고 참신한 맛이 나며 개방적인 이미지를 살린 것”이라는 등 당시 교수진과 학생들의 의견도 분분하게 나뉘었다. 관악의 수문장, '샤'대문 지금은 교표와 함께 가장 많이 쓰이고 애용하는 서울대의 상징이 되어버렸고[2] 샤라는 글자 자체가 서울대 내에서는 서울대를 상징하는 글자로 취급받는다.[3]

이 상징물 아래로는 차도가 지나갔는데 양쪽 끝은 높이가 낮아 실제 진입로는 왕복 2차로에 불과, 정문 도로는 통학 시간에 항상 만원이었다. 또 입학식이나 졸업식에는 정문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기 위해 도로 한복판에서 포즈를 취해야 했었다. 2022년 8월 진입로를 한쪽으로 이설하고 오른쪽으로 왕복 4차선 진출입로를 설치한 다음 정문 주변으로 널찍한 광장을 조성했는데 특히 포토존에는 지식인 의자라고 불리는 돌의자가 마련돼 명소가 되기도 했다.# 정문 안쪽에는 수경 구간이 있는데 구도를 맞춰 사진을 찍으면 정문이 수면에 반사해 그럴 듯한 풍경이 나온다.(예시) 이 덕분에 입학식과 졸업식이 열리면 진입로 통제를 하지 않고 많은 인원들이 사진을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예전에는 누구나 쉽게 손잡이를 잡고 올라갈 수 있었으며, 실제로 새벽에 술먹고 이 조형물 꼭대기 위에 올라가 기타를 치며 아침이슬을 부른 사람도 있었다. 요즘엔 감시를 해서 올라가기 힘들다. 특히 2011년에 정문 법인화 반대 고공시위 이후, 철탑 측면 틈을 막아버려 올라갈 수 없게 되었다. 기사
파일:서울대학교 정문 광장.jpg
서울대학교 정문 광장
서울대학교 정문이 샤 모양인 이유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07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07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2. 주요시설

2.2.1. 행정관 (고유번호 C 60)

파일:서울대행정관.jpg
서울대학교 행정관
총장실 등의 대학 본부가 있는 곳으로, 서울대의 사실상 본관 역할을 하는 곳이며, 학생들은 흔히 '대학 본부'라고도 부른다. 지난 2019년 리모델링을 거친 바 있다.

2.2.2. 중앙도서관 본관 (고유번호 C 62)

파일:서울대 중앙도서관.jpg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본관
관악캠퍼스 조성 당시 지어진 건물이다. 도서관이 소유한 장서는 모두 본관에 있으나 여전히 열람실 공간도 존재한다.

2.2.3. 중앙도서관 관정관 (고유번호 C 62-1)

파일:서울대 관정관.jpg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관정관
기존 본관의 노후화 및 협소화로 인해 건립된 별관이다. 건설 당시 최고 금액을 기부했던 관정 이종환 선생의 호를 따 별관의 이름이 지어졌다.[4] 2015년 완공되었고 내부에는 대형 열람실, 멀티미디어실, 세미나실 등 학생을 위한 각종 편의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2.2.4. 문화관 (고유번호 C 73)

파일:서울대 문화관 조감도.jpg
서울대학교 문화관 조감도
기존 문화관을 증·개축하여 여러 규모의 공연 시설이 들어선다. 2024년 7월 석면 해체 작업을 시작으로 2024년 9월 시공사를 선정해 착공할 예정이었으나 # 2025년 1월 기준으로도 시공사 선정 공지나 착공 소식이 없다.
현재 사진 [ 펼치기 · 접기 ]
파일:서울대문화관.jpg

2.2.5. 잔디광장

파일:서울대학교 본부 앞 잔디광장.jpg
서울대학교 잔디광장
역사적으로 '총장잔디'라는 유구한 이름을 가진 장소이다. 원래 그냥 잔디광장이었으나 학생들이 잔디를 밟고 지나가다가 총장에게 직접 혼나는 이벤트[5]가 발생하여 '총장잔디'라는 별칭이 생겼다. 잔디 지하에는 주차장이 있으며, 주차장 공사 기간에는 폐쇄되어 있었다. 2023년 기준으로 잔디광장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다시 잔디가 조성되었다. 또한 잔디광장 밑엔 메가커피가 입점해 많은 학생들이 모이는 장소가 되었다.

2.3. 대학(원)

2.3.1. 인문대학

2.3.1.1. 교육·연구시설
2.3.1.1.1. 인문관 1 (고유번호 H 1)
파일:서울대 인문관 1.jpg
서울대학교 인문관 1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의 1번 건물이라는 상징적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와 중어중문학과가 사용한다. 자하연에 인접하여 있다.[6] 1~8동은 각기 다른 건물이지만 모두 내부 통로를 통해 이동이 가능하다. 즉, 인문대는 14동을 제외하면 모두 연결되어 있는 것.
2.3.1.1.2. 인문관 2 (고유번호 H 2)
파일:서울대 인문관 2.jpg
서울대학교 인문관 2
2.3.1.1.3. 인문관 3 (고유번호 H 3)
파일:서울대 인문관 3.jpg
서울대학교 인문관 3
2.3.1.1.4. 신양인문학술정보관 (고유번호 H 4)
파일:서울대 신양인문학술정보관.jpg
서울대학교 신양인문학술정보관
2.3.1.1.5. 인문관 4 (고유번호 H 5)
파일:서울대 인문관 4.jpg
서울대학교 인문관 4

5, 6, 7동은 각각 1층씩 증축 예정이다
2.3.1.1.6. 인문관 5 (고유번호 H 6)
파일:서울대 인문관 5.jpg
서울대학교 인문관 5
2.3.1.1.7. 인문관 6 (고유번호 H 7)
파일:서울대 인문관 6.jpg
서울대학교 인문관 6
2.3.1.1.8. 두산인문관 (고유번호 H 8)
파일:서울대 두산인문관.jpg
서울대학교 두산인문관
2.3.1.1.9. 인문관 7 (고유번호 H 14)
파일:서울대 14동.jpg
서울대학교 인문관 7
2.3.1.2. 인근 편의시설
2.3.1.2.1. 자하연식당 (고유번호 H 109)
파일:서울대 자하연식당.jpg
서울대학교 자하연식당
2층은 학생 식당, 3층은 교수 식당으로 운영되고 있다. 1층에는 농협이 있다.
2.3.1.2.2. 자하연
파일:서울대 자하연 수정본.jpg
서울대학교 자하연
의외로 관악캠퍼스 건립 이전부터 현 위치에 존재했던 연못이었다.
2.3.1.2.3. 아방궁
파일:서울대 아방궁.jpg
서울대학교 아방궁
2.3.1.2.4. 해방터
파일:서울대 해방터.jpg
서울대학교 해방터

2.3.2. 사회과학대학

2.3.2.1. 교육·연구시설
2.3.2.1.1. 사회과학관 (고유번호 B 16)
파일:서울대 사회과학관.jpg
서울대학교 사회과학관
건물 구조가 복잡해 16동 안에서도 구역이 나눠져 있다. 사진에서 오른쪽 부분이 16동 본 건물이다. 왼쪽 구석의 원형 부분이 사회과학대학 도서관(통칭 "사도")로 16-A동이다.[7] 16-M동은 이 사진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사진 기준으로 왼쪽 끝으로 가면 나온다. 16-M동은 층 배열이 달라 16동과 엊갈리게 중간층 형태로 되어 있다. M동에는 대학원생들의 공간들이 주로 있다. 대부분의 수업은 16동 본 건물에서 열린다.

2024년 3월 기준 본동, M동, 도서관 모두 리모델링 공사 중이며, 16-1동 앞 주차장 부지에도 이 공사를 하면서 건물이 같이 증축되는 것 같다.
2.3.2.1.2. 신양사회과학학술정보관 (고유번호 B 16-1)
파일:서울대 신양사회과학학술정보관.jpg
서울대학교 신양사회과학학술정보관

2.3.3. 자연과학대학

2.3.3.1. 교육·연구시설
2.3.3.1.1. 자연과학관 1 (고유번호 G 18)
파일:서울대 자연과학관 1.jpg
서울대학교 자연과학관 1
2.3.3.1.2. 자연과학관 2 (고유번호 G 19)
파일:서울대 자연과학관 2.jpg
서울대학교 자연과학관 2
2.3.3.1.3. 자연과학관 4 (고유번호 C 22)
파일:서울대 자연과학관 4jpg.jpg
서울대학교 자연과학관 4
2.3.3.1.4. 자연과학관 5 (고유번호 C 23)
파일:서울대 자연과학관 5.jpg
서울대학교 자연과학관 5
2.3.3.1.5. 자연과학관 6 (고유번호 C 24)
파일:서울대 자연과학관 6.jpg
서울대학교 자연과학관 6
2.3.3.1.6. 자연과학관 7 (고유번호 C 25)
파일:서울대 자연과학관 7.jpg
서울대학교 자연과학관 7
통계학과가 사용하고 있다.
2.3.3.1.7. 자연대강의및실험연구동 (고유번호 C 25-1)
파일:서울대 자연대강의및실험연구동.jpg
서울대학교 자연대강의및실험연구동
2.3.3.1.8. 기초과학실험교육동 (고유번호 C 26)
파일:서울대 26동.jpg
서울대학교 기초과학실험교육동
2.3.3.1.9. 자연과학관 9 (고유번호 C 27)
파일:서울대 자연과학관 9.jpg
서울대학교 자연과학관 9
2.3.3.1.10. 자연대 대형 강의동 (고유번호 C 28)
파일: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대형강의동 28동.jpg
서울대학교 자연대 대형 강의동

[ 과거 사진 ]
파일:서울대학교 28동 과거 모습.jpg

서울대 내에서 시설이 낙후되어 있기로는 제일 유명한 동이 28동이었다. 물 새는 것은 기본이고, 의자에 내장된 고정식 책상 또한 너무 작아 혹여나도 이곳에서 수업을 듣거나 시험을 볼 때에는 볼멘소리가 터져나오고는 했다.

2020년 4월 재건축에 들어가 2022년 12월 15일 개관식을 가졌다. 새롭게 지어진 건물은 250여명을 수용할 수 있는 대형강의실 2개, 150여명을 수용할 수 있는 중형 강의실 4개, 학생 자치 공간 7개, 직경 13m 돔의 천체투영관, 업사이클 아트프로젝트 작품 전시 및 기부자 예우를 위한 다목적/전시라운지, 행정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3.3.1.11. 자연과학관 10 (고유번호 C 56)
파일:서울대 자연과학관 10.jpg
서울대학교 자연과학관 10
2.3.3.1.12. 김철수물리관 (고유번호 C 56-1)
56동 옆의 계단과 공터 부지에 지어지고 있으며 2025년 8월에 완공될 예정이라고 한다.
2.3.3.1.13. 상산수리과학관 (고유번호 C 129)
파일:서울대 수리과학연구동.jpg
서울대학교 상산수리과학관
2.3.3.1.14. 자연과학대학 (고유번호 D 500)
파일:서울대 자연과학대학.jpg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500동, 501동, 502동, 503동, 504동이 연결된 건물로 서울대 내 시설 중 가장 넓은 부지에 걸쳐 지어졌다. 500동 옆으로 신림 계곡으로 통하는 통로가 있다.
2.3.3.2. 인근 편의시설
2.3.3.2.1. 신림 계곡
파일:신림 계곡.jpg
신림 계곡

2.3.4. 경영대학

2.3.4.1. 교육·연구시설
2.3.4.1.1. SK경영관 (고유번호 I 58)
파일:서울대 58동.jpg
서울대학교 SK경영관
1990년 SK의 후원을 받아 건립한 6층 규모의 건물.

ㄷ자 형태로 된 건물로, 크게 구관과 신관으로 나뉘어 있다.

구관은 58동 중 붉은색 벽돌 부분으로, SK의 후원을 받아 1990년 10월에 6층 규모로 개관했다. 구관 행정대학원 방면(동측)은 지하 1층 포함 총 7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1층에 교학/서무행정실, 학생회실, 과방, 전산실, 2~6층에는 교수연구실이 있다. 그 외 2층에 경영대학 상담실 및 농협은행 경영대출장소, 6층에 학장실, 지하1층에 동아리방 및 학생 휴게실이 있다.

구관 동측과 서측 사이, 1층 중앙현관 옆에 경영대도서관이 있다. 지하1층과 2층은 서고, 1층은 열람실로 구성되어 있다. 2층은 자료실과 그룹스터디룸이 있다.

구관 서측은 3층까지 있다. 1층 중앙현관 앞은 경영대 로비로, 모임 혹은 학습을 위한 탁자ㆍ의자들이 비치되어 있다. 2021년에 대대적으로 리모델링을 진행했으며 퍼시스가 인테리어 조성을 위해 일부 기부를 했다. 중앙현관에서 오른편으로 가면 진로설계센터와 경영대학 기부자들을 기리는 Wall of Honor가 있다. 2층과 3층에도 공부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3층에는 교수 휴게실이 위치한다. 나머지 공간은 강의실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신관은 구관의 남측으로 증축한 건물로, 2009년 8월에 개관했으며, 대형 강의실 및 세미나실이 모여 있다. 구관에 비해 층고가 높으며, 총 4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1층에는 경영대 최대 규모 강의실인 SUPEX홀이 위치한다.[8] 2~4층에는 남학생 및 여학생 휴게실, 소규모 모임을 위한 세미나실과 계단식 중대형 강의실이 있다. 2, 3층은 구름다리를 통해 59-1동으로 연결된다.

강의실과 교수연구실, 경영도서관, 국제회의장, 행정실 등을 갖추고 있다. 이후 몇 차례의 내부 리모델링을 거쳤으며, 가장 최근에는 2020년 매니지먼트 센터 확장 공사를 계기로 다시 한번 정비됐다.

1998년 LG경영관이 건립된 이후에는 주로 경영대학 학부 수업 중심으로 사용된다.
2.3.4.1.2. LG경영관 (고유번호 I 59)
파일:서울대 59동.jpg
서울대학교 LG경영관
행정대학원(57동, 57-1동), 생활과학대학(222동) 옆에 위치한 건물로, LG의 후원을 받아 1998년 3월에 총 7층 규모로 개관했다. 첨단강의실과 교수연구실 등으로 구성돼 있다.

LG경영관이 건립되면서 일반대학원 및 전문대학원(MBA 등) 수업을 전담하게 됐고
당시 포화 상태이던 SK경영관은 학부 수업을 전담하면서 강의실 부족 사태가 크게 줄었다.

인테리어에 상당히 공을 들인 건물이며, 1층 로비에는 그랜드피아노가 있다.

1층은 59-1동과 직결되어 있다.
2.3.4.1.3. 매니지먼트센터 (고유번호 I 59-1)
파일:서울대 매니지먼트센터 수정본.jpg
서울대학교 매니지먼트센터
2019년 LG경영관의 서측에 6층 규모로 신축된 건물이다. SK경영관의 애드온 개념이라고 보면 된다.

1층에는 행정실이 있고, 2층에는 카페 및 라운지가 있다.[9]

연합전공 벤처경영학 학생들을 위한 공간이 위치해 있다.[10]

2층과 3층은 구름다리를 통해 58동 신관과 연결되어 있다.
2.3.4.2. 인근 편의시설
2.3.4.2.1. 동원생활관 (고유번호 I 113)
파일:서울대 동원생활관.jpg
서울대학교 동원생활관
학식인 '동원관식당'과 피자, 파스타 등을 판매하는 음식점 '라운지오'가 위치해 있으며, 경영대 동아리의 동방이 다수 위치해 있다.

2.3.5. 공과대학

2.3.5.1. 교육·연구시설
2.3.5.1.1. 공학관 1 (고유번호 E 30)
파일:서울대 공학관 1.jpg
서울대학교 공학관 1
과거에는 공업화학·섬유공학·화학공학과군(공섬화군)이 사용하던 건물이었으나, 윗공대 준공 후 화학공학, 공업화학과는 302동으로 이사하여 현재의 화학생물공학부가 되었고, 섬유공학 계열이 30동에 남아서 금속공학과, 무기재료공학과와 통합하여 재료공학부가 창설되어 30동을 사용하고 있다. 현 위치에 가장 오래 머물러 있었던 섬유공학과의 영향인지는 알 수 없으나 30, 31, 32, 33동이 둘러싸고 있는 광장은 과거에는 '섬유광장'으로 불렸었다.
2.3.5.1.2. 공학관 2 (고유번호 E 31)
파일:서울대 공학관 2.jpg
서울대학교 공학관 2
2.3.5.1.3. 가속기제작실 (고유번호 E 31-1)
파일:서울대 가속기제작실.jpg
서울대학교 가속기제작실
2.3.5.1.4. 공학관 3 (고유번호 E 32)
파일:서울대 공학관 3.jpg
서울대학교 공학관 3
2.3.5.1.5. 해동학술문화관 (고유번호 E 32-1)
파일:서울대 해동학술문화관.jpg
서울대학교 해동학술문화관
2.3.5.1.6. 공학관 4 (고유번호 E 33)
파일:서울대 공학관 4 수정본.jpg
서울대학교 공학관 4
2.3.5.1.7. 공학관 5 (고유번호 E 34)
파일:서울대 공학관 5 수정본.jpg
서울대학교 공학관 5
2.3.5.1.8. 공학관 6 (고유번호 E 35)
파일:서울대 공학관 6.jpg
서울대학교 공학관 6
2.3.5.1.9. 공학관 7 (고유번호 E 36)
파일:서울대 공학관 7.jpg
서울대학교 공학관 7
2.3.5.1.10. 공학관 8 (고유번호 E 37)
파일:서울대 공학관 8.jpg
서울대학교 공학관 8
2.3.5.1.11. 글로벌공학교육센터 (고유번호 E 38)
파일:서울대 글로벌공학교육센터.jpg
서울대학교 글로벌공학교육센터
2.3.5.1.12. 대학원연구동(1단계) (고유번호 E 39)
파일:서울대 공과대학.jpg
서울대학교 대학원연구동(1단계)
산업공학과와 건축학과가 입주해 있다.
2.3.5.1.13.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및 공과대학 강의동 (고유번호 E 43)
파일:서울대 43동.jpg
서울대학교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및 공과대학 강의동
기존 공대 대형 강의동을 재건축하여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과 공대 강의동으로 사용 중이다.
재건축 이전 모습 [ 펼치기 · 접기 ]
파일:구 서울대 43동.png
2.3.5.1.14.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및 공과대학 강의동 2 (고유번호 E 43-2)
파일:서울대 43-2동.jpg
서울대학교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및 공과대학 강의동 2
43동 재건축과 함께 신축되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이자리에 공대간이식당(공깡)이 있었으나 맞은편 건물로 이전하였고 오랜기간 어정쩡한 빈터로 방치되다가 2021년에 새로운 건물이 들어서게 되었다.
2.3.5.1.15. 신양학술정보관 (고유번호 G 44-1)
파일:서울대 신양학술정보관.jpg
서울대학교 신양학술정보관
1층에 봉구스밥버거, 세븐일레븐 등이 입점해 있다.
2.3.5.1.16. 유회진학술정보관 (고유번호 F 300)
파일:유회진학술정보관.jpg
서울대학교 유회진학술정보관
300~303동은 흔히 '윗공대'라 불리는 지역으로 다른 공과대학 캠퍼스와 떨어져 산 중턱을 올라가야 한다.
2.3.5.1.17. 제1공학관 (고유번호 F 301)
파일:서울대 제1공학관.jpg
서울대학교 제1공학관
301동의 옥상은 해발고도 258 m로 서울대에서 가장 높은 곳이고[11], 남산이나 63빌딩의 해발고도와도 맞먹어 서울의 전경을 볼 수 있는 장소이다. CU퀴즈노스가 있으며, 삼성웰스토리가 운영하는 교직원식당이 있다. 기계공학부, 전기정보공학부, 항공우주공학과가 주로 사용한다. 최초 윗공대 플랜은 301동, 302동, 303동을 지어서 각각 전기, 기계, 화공이 사용하는 것이었으나, 실행 상의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한 계획변경으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윗공대에서 유일하게 301동에만 지하주차장이 있는데, 이는 관악산 중턱의 기반암이 전부 고강도 화강암이라 301동만 주차장 지하화를 가까스로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2.3.5.1.18. 제2공학관 (고유번호 F 302)
파일:서울대 제2공학관.jpg
서울대학교 제2공학관
301동의 옥상이 서울대에서 제일 높은 곳이라면, 302동은 서울대에서 가장 높은 지반에 건설되어 있다. 건물이 세워진 땅의 해발고도가 거의 260m로 남산 정상과 맞먹는다.[12] 저층부(7층)와 고층부(10층)로 나뉘어 있고, 1층에는 서울대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학생식당이 있다. 화학생물공학부와 컴퓨터공학부가 주로 사용한다.
2.3.5.1.19. 해동첨단공학관 (고유번호 F 303)
파일:해동첨단공학관.jpg
서울대학교 해동첨단공학관
301동 맞은 편 주차장 부지에 2022년 3월 기공하여 2024년 4월 준공하였다. 연면적 1만 ㎡(3024평), 7층 규모로 인공지능 대학원과 체화 인공지능, AI로봇, 범용 인공지능(AGI) 컴퓨팅 등 미래기술 연구와 관련 스타트업이 입주할 예정이다. #
2.3.5.2. 인근 편의시설
2.3.5.2.1. 공대간이식당 (고유번호 E 30-2)
파일:서울대 공대간이식당.jpg
서울대학교 공대간이식당
현재 교내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간이식당'이다. 약칭으로 '공간'이라고 부르곤 한다.[13] 중화요리를 위주로 판매하며 한때 폐지 위기에 있었으나 학생들이 페이스북 페이지까지 만들며 항의한 끝에 존치되게 되었다. 맛은 이전과는 다르다는게 중평.
2.3.5.2.2. 붉은광장
파일:서울대 붉은광장 수정본.jpg
서울대학교 붉은광장
33, 34, 36, 37동에 둘러싸인 공간. 지금은 리모델링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지만, 과거에는 붉은 보도블럭으로 바닥이 마감되어 있어 문자 그대로 '붉은광장'이었다. 보도블럭의 품질이 특히 저조하여 학생들의 신발 깔창이 붉은 돌가루로 물드는 경우가 다반사였다. 인근에 30, 31, 32, 33동으로 둘러싸인 광장은 과거 섬유공학과(현 재료공학부의 일부)가 위치하여서 '섬유광장'이라 불렸다. 공대 학생들의 팩차기의 성지와도 같은 곳이었다.
2.3.5.2.3. 하유재
파일:서울대 하유재 수정본.jpg
서울대학교 하유재

건축학과 학생들이 2008~2009년에 수업의 일환으로(???) 만든 곳이다. 출처
2.3.5.2.4. 공대 폭포
파일:서울대 공대 폭포.jpg
서울대학교 공대 폭포

2.3.6. 농업생명과학대학

2.3.6.1. 교육·연구시설
2.3.6.1.1. 농업생명과학대학 (고유번호 D 200)
파일: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학.jpg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상록관과 생명관이 凹 모양으로 연결되어있다.(입구기준, 왼쪽이 상록관, 오른쪽이 생명관이다.) 둘을 연결하는 중앙관은 4층까지있으며 옥상에는 공원[14]이 조성되어있다.

정문으로 들어가면 2층이며 많은 신입생이 실제 1층을 지하로 착각하곤한다. 1층엔 카페, 무선충전기 대여기가 있으며 2023년에 자유롭게 공부할 수 있는 시설이 확충되었다.[15]
2.3.6.1.2. 농업생명과학대학환경관 (고유번호 D 201)
파일: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학환경관.jpg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환경관
2.3.6.1.3. SPC농생명과학 및 기초과학연구동 (고유번호 D 203)
파일:서울대 SPC농생명과학 및 기초과학연구동.jpg
서울대학교 SPC농생명과학 및 기초과학연구동
2.3.6.2. 인근 편의시설
2.3.6.2.1. 제3학생식당 (고유번호 D 75-1)
파일:서울대 제3학생식당.jpg
서울대학교 제3학생식당
농생대 근처에 있어 '농식'이란 표현도 많이 쓰인다. 과거 농생대가 수원에 위치하고 윗공대가 존재하지 않아 아랫공대만 있었던 시절에는 '공식'이라고 불렸다.

2.3.7. 미술대학 및 음악대학

미술대학과 음악대학은 별도의 단과대학이나, 예술관의 최초 설계자인 김수근은 미대와 음대의 각 시설들을 유기적으로 설계하였으며, 이후에 지어진 건물들도 미대와 음대가 공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미대와 음대 시설을 한 문단에서 다루었다.
2.3.7.1. 교육·연구시설
2.3.7.1.1. 예술관연구동 (고유번호 I 49)
파일:서울대 예술관연구동.jpg
서울대학교 예술관연구동
2.3.7.1.2. 예술관(미대) 1 (고유번호 I 50)
파일:서울대 예술관(미대) 1 수정본.jpg
서울대학교 예술관(미대) 1
미대로 들어가는 실질적인 입구의 역할을 하고 있다.
2.3.7.1.3. 예술관(미대) 2 (고유번호 I 51)
파일:서울대 예술관(미대) 2 수정본.jpg
서울대학교 예술관(미대) 2
2.3.7.1.4. 예술관(미대) 3 (고유번호 I 52)
파일:서울대 예술관(미대) 3 수정본.jpg
서울대학교 예술관(미대) 3
2.3.7.1.5. 미대교양실습동 (고유번호 I 52-1)
파일:서울대 공예실습장.jpg
서울대학교 미대교양실습동
2.3.7.1.6. 야외조각실습장 (고유번호 I 52-2)
파일:서울대 미대교양실습동.jpg
서울대학교 야외조각실습장
2.3.7.1.7. 예술관(음대) 1 (고유번호 I 53)
파일:서울대 예술관(음대) 1.jpg
서울대학교 예술관(음대) 1
2.3.7.1.8. 예술관(음대) 2 (고유번호 I 54)
파일:서울대 예술관(음대) 2.jpg
서울대학교 예술관(음대) 2
2.3.7.1.9. 예술관(음대) 3 (고유번호 I 55)
파일:서울대 예술관(음대) 3.jpg
서울대학교 예술관(음대) 3
2.3.7.1.10. 예술복합연구동 (고유번호 I 74)
파일:서울대 예술복합연구동 수정본.jpg
서울대학교 예술복합연구동

2.3.8. 사범대학

2.3.8.1. 교육·연구시설
2.3.8.1.1. 사범관 1 (고유번호 H 9)
파일:서울대 사범관 1.jpg
서울대학교 사범관 1
사진은 리모델링 전의 것이다. 2015년 말 10동의 리모델링 이후 사범대학에서 마지막까지 남아있는 노후화된 건물이었지만 2020년 리모델링되어 현재에는 승강기도 설치되었다.
2.3.8.1.2. 사범관 2 (고유번호 H 10)
파일:서울대 사범관 2.jpg
서울대학교 사범관 2
2.3.8.1.3. 사범대교육정보관 (고유번호 H 10-1)
파일:서울대 사범대교육정보관.jpg
서울대학교 사범대교육정보관
2.3.8.1.4. 사범관 3 (고유번호 H 11)
파일:서울대 사범관 3.jpg
서울대학교 사범관 3
2.3.8.1.5. 사범교육협력센터 (고유번호 H 12)
파일:서울대 사범교육협력센터 수정본.jpg
서울대학교 사범교육협력센터
2.3.8.1.6. 과학교육관 (고유번호 C 13)
파일:서울대 과학교육관.jpg
서울대학교 과학교육관
2.3.8.2. 인근 편의시설
2.3.8.2.1. 제4식당 (고유번호 H 76)
파일:서울대 제4식당.jpg
서울대학교 제4식당
영업 종료 전에는 1층에 식당이 2층에는 매점과 두레미담 한식당이 있었다. 현재는 리모델링 후 나인온스버거가 들어왔다.
2.3.8.2.2. 주차건물 (고유번호 H 76-1)
파일:서울대 주차건물.jpg
서울대학교 주차건물
2.3.8.2.3. 카페 파스쿠찌 (고유번호 H 111)
파일:서울대 사범대학 간이식당.jpg
서울대학교 카페 파스쿠찌
기존에는 분식류를 파는 사범대 간이식당이 있었다. 해당 공간에는 을씨년한 자갈밭 공터에 컨테이너박스로 된 간이식당이 있었으며, 사범대 깡통식당, 줄여서 '사깡'이라 불렸었다. 학생들의 항의로 끝끝내 존치된 공대 깡통식당, '공깡'과는 달리 2010년 영업 종료되어 옛 모습은 영원히 사라지고 완전히 제대로된 건물로 다시 태어났다. 2022년 중부권 폭우 사태로 인해서 장기간 폐쇄 상태이다. 2023년 기준, 약간의 보수 이후 정상적인 영업을 하고있다.
2.3.8.2.4. 사범대 옥상정원
파일:서울대 사범대 옥상정원.jpg
서울대학교 사범대 옥상정원
사범대 10동(사범관2), 12동(사범교육협력센터)에는 옥상 정원이 마련되어 있다.

2.3.9. 생활과학대학

2.3.9.1. 교육·연구시설
2.3.9.1.1. 생활과학대학 (고유번호 I 222)
파일:서울대 생활과학대학.jpg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2.3.10. 수의과대학

2.3.10.1. 교육·연구시설
2.3.10.1.1. 수의대부속 동물병원 (고유번호 A 80)
파일:서울대 수의대부속 동물병원.jpg
서울대학교 수의대부속 동물병원
2.3.10.1.2. 수의대부속 동물병원 (고유번호 A 80-1)
파일:서울대 80-1동.jpg
서울대학교 수의대부속 동물병원
2.3.10.1.3. 생명공학연구동 (고유번호 A 81)
파일:서울대 생명공학연구동.jpg
서울대학교 생명공학연구동
2.3.10.1.4. 수의과대학 (고유번호 A 85)
파일:서울대 수의과대학.jpg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2.3.10.1.5. 수의생명자원연구동 (고유번호 A 85-1)
파일:서울대 85-1동.jpg
서울대학교 수의생명자원연구동
수의생명자원연구동이 재건축되기 이전에 해당 부지에는 생물공학연구소가 있었으며, 동 번호는 80-1동이었다. 그러나 동물병원 신축동의 동 번호로 80-1동을 부여하면서, 본 연구동은 재건축 후 85-1동이 되었다.

2.3.11. 약학대학

2.3.11.1. 교육·연구시설
2.3.11.1.1. 약학관 3 (고유번호 C 20)
파일:서울대 20동.jpg
서울대학교 약학관 3
2.3.11.1.2. 약학관 1 (고유번호 C 21)
파일:서울대 약학관 1.jpg
서울대학교 약학관 1
2.3.11.1.3. 약학관 2 (고유번호 G 29)
파일:서울대 약학관 2.jpg
서울대학교 약학관 2
2.3.11.1.4. 약학관 4 (고유번호 G 141)
파일:서울대 약학관 4.jpg
서울대학교 약학관 4
2.3.11.1.5. 약학관 5 (고유번호 G 142)
파일:서울대 약학관 5.jpg
서울대학교 약학관 5
2.3.11.1.6. 약대신약개발연구센터 (고유번호 G 143)
파일:서울대 약대신약개발연구센터 수정본.jpg
서울대학교 약대신약개발연구센터

2.3.12. 자유전공학부

2.3.12.1. 교육·연구시설
2.3.12.1.1. 종합교육연구동 (고유번호 I 220)
파일:서울대 종합교육연구동.jpg
서울대학교 종합교육연구동

2.3.13. 보건대학원

2.3.13.1. 교육·연구시설
2.3.13.1.1. 보건대학원 (고유번호 I 221)
파일:서울대 보건대학원.jpg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3.14. 행정대학원

2.3.14.1. 교육·연구시설
2.3.14.1.1. 행정대학원 1 (고유번호 I 57)
파일:서울대 행정대학원 1.jpg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1
2.3.14.1.2. 행정대학원 2 (고유번호 I 57-1)
파일:서울대 행정대학원 2.jpg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

2.3.15. 환경대학원

2.3.15.1. 교육·연구시설
2.3.15.1.1. 환경대학원 (고유번호 I 82)
파일:서울대 환경대학원.jpg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3.15.2. 인근 편의시설
2.3.15.2.1. 하늘마당
파일:서울대 하늘마당.jpg
서울대학교 하늘마당

2.3.16. 국제대학원

2.3.16.1. 교육·연구시설
2.3.16.1.1. 국제대학원 1 (고유번호 I 140)
파일:서울대 국제대학원.jpg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1
2.3.16.1.2. 국제대학원 2 (고유번호 I 140-1)
파일:서울대 국제대학원 2.jpg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2
2.3.16.1.3. 국제대학원 3 (고유번호 I 140-2)
파일:서울대 국제대학원 3.jpg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3

2.3.17. 치의학대학원

2.3.17.1. 교육·연구시설
2.3.17.1.1. 치의학대학원 첨단복합연구단지 및 의료센터 (고유번호 A 86)
파일:서울대 치의학대학원 첨단교육연구복합단지 및 의료센터.jpg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첨단복합연구단지 및 의료센터

2.3.18. 법학전문대학원

2.3.18.1. 교육·연구시설
2.3.18.1.1. 법학관 1 (고유번호 B 15)
파일: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jpg
서울대학교 법학관 1
2.3.18.1.2. 우천법학관 (고유번호 B 15-1)
파일:서울대 법학강의동 1.jpg
서울대학교 우천법학관
2.3.18.1.3. 법학관 2 (고유번호 B 17)
파일:서울대 법학강의동 2.jpg
서울대학교 법학관 2
2.3.18.1.4. 법학도서관 (고유번호 B 72)
파일:서울대 법학도서관.jpg
서울대학교 법학도서관
2.3.18.1.5. 근대법학교육100주년기념관 (고유번호 84)
파일:서울대 근대법학교육100주년기념관.jpg
서울대학교 근대법학교육100주년기념관

2.4. 문화시설

2.4.1. IBK커뮤니케이션센터 (고유번호 B 64)

파일:서울대 IBK커뮤니케이션센터.jpg
서울대학교 IBK커뮤니케이션센터
언론정보학과에서 전용하고 있는 건물이다. 이외에 서울대학교 견학 시 안내가 이루어지는 곳이기도 하다.

2.4.2. NH농협두레문예관 (고유번호 B 67)

파일:서울대 NH농협두레문예관.jpg
서울대학교 NH농협두레문예관
연습실과 공연장 등 동아리 공간 및 은행 사무소가 위치한다. 원래는 찻집인 '다향만당'도 운영했으나 현재는 폐업하였다.

2.4.3. 박물관 (고유번호 I 70)

파일:서울대 박물관.jpg
서울대학교 박물관

2.4.4. 체육관 (고유번호 A 71)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c3689 0%, #2c3689 19%, transparent 19%, transparent 20%, #e42e28 20%, #e42e28 80%, #fa9e15 80%, transparent 80%, transparent 81%, #fa9e15 81%, #fa9e15)"
{{{#!wiki style="margin:-12px 0"
<tablebordercolor=#e42e28>
파일:1988 서울 올림픽 심볼 화이트.svg
}}}}}}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c3689 0%, #2c3689 19%, transparent 19%, transparent 20%, #e42e28 20%, #e42e28 80%, #fa9e15 80%, transparent 80%, transparent 81%, #fa9e15 81%, #fa9e15)"
{{{#!wiki style="margin: 0px -10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서울특별시기(1946-1996) 정사각형.png 서울특별시
한강 서울올림픽주경기장 서울종합운동장 수영장
개회식 개회식
파일:1988 서울 올림픽 육상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육상 픽토그램 컬러.svg 육상
파일:1988 서울 올림픽 축구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축구 픽토그램 컬러.svg 축구
파일:1988 서울 올림픽 승마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승마 픽토그램 컬러.svg 승마
(장애물 개인전 결승)
폐회식
파일:1988 서울 올림픽 수영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수영 픽토그램 컬러.svg 수영
서울올림픽주경기장~마포대교[1] 서울종합운동장 실내체육관
파일:1988 서울 올림픽 마라톤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마라톤 픽토그램 컬러.svg 마라톤 파일:1988 서울 올림픽 농구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농구 픽토그램 컬러.svg 농구
파일:1988 서울 올림픽 배구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배구 픽토그램 컬러.svg 배구
서울특별시교육청 학생체육관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파일:1988 서울 올림픽 권투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권투 픽토그램 컬러.svg 권투 파일:1988 서울 올림픽 야구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야구 픽토그램 컬러.svg 야구
올림픽체조경기장 올림픽수영장 올림픽펜싱경기장
파일:1988 서울 올림픽 체조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체조 픽토그램 컬러.svg 체조
(기계체조, 리듬체조)
파일:1988 서울 올림픽 핸드볼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핸드볼 픽토그램 컬러.svg 핸드볼
(남자 결승전)
파일:1988 서울 올림픽 수영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수영 픽토그램 컬러.svg 수영
파일:1988 서울 올림픽 근대5종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근대5종 픽토그램 컬러.svg 근대 5종
(수영)
파일:1988 서울 올림픽 펜싱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펜싱 픽토그램 컬러.svg 펜싱
파일:1988 서울 올림픽 근대5종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근대5종 픽토그램 컬러.svg 근대 5종
(펜싱)
올림픽역도경기장 올림픽벨로드롬 올림픽테니스경기장
파일:1988 서울 올림픽 역도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역도 픽토그램 컬러.svg 역도 파일:1988 서울 올림픽 사이클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사이클 픽토그램 컬러.svg 사이클 파일:1988 서울 올림픽 테니스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테니스 픽토그램 컬러.svg 테니스
몽촌토성~88잔디마당 장충체육관 서울대학교 체육관
파일:1988 서울 올림픽 근대5종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근대5종 픽토그램 컬러.svg 근대 5종
(크로스컨트리)
파일:1988 서울 올림픽 유도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유도 픽토그램 컬러.svg 유도
파일:1988 서울 올림픽 태권도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태권도 픽토그램 컬러.svg 태권도
파일:1988 서울 올림픽 탁구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탁구 픽토그램 컬러.svg 탁구
파일:1988 서울 올림픽 배드민턴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배드민턴 픽토그램 컬러.svg 배드민턴
태릉국제사격장 동대문운동장[철거] 육군사관학교 화랑양궁장
파일:1988 서울 올림픽 사격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사격 픽토그램 컬러.svg 사격
파일:1988 서울 올림픽 근대5종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근대5종 픽토그램 컬러.svg 근대 5종
(사격)
파일:1988 서울 올림픽 축구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축구 픽토그램 컬러.svg 축구 파일:1988 서울 올림픽 양궁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양궁 픽토그램 컬러.svg 양궁
한양대학교 올림픽체육관 88체육관
파일:1988 서울 올림픽 배구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배구 픽토그램 컬러.svg 배구 파일:1988 서울 올림픽 배구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배구 픽토그램 컬러.svg 배구
로얄볼링장[3]
파일:1988 서울 올림픽 볼링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볼링 픽토그램 컬러.svg 볼링
파일:성남시 휘장(1973-1998) 화이트.png 경기도 성남시 파일:구 과천시 휘장 정사각형.png 경기도 과천시 파일:광주군 휘장.png 경기도 광주군[4]
성남공설운동장 과천승마공원 미사리 조정경기장
파일:1988 서울 올림픽 하키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하키 픽토그램 컬러.svg 하키 파일:1988 서울 올림픽 승마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승마 픽토그램 컬러.svg 승마
파일:1988 서울 올림픽 근대5종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근대5종 픽토그램 컬러.svg 근대 5종
(승마)
파일:1988 서울 올림픽 조정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조정 픽토그램 컬러.svg 조정
파일:1988 서울 올림픽 카누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카누 픽토그램 컬러.svg 카누
국군체육부대 상무체육관[철거]
파일:1988 서울 올림픽 레슬링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레슬링 픽토그램 컬러.svg 레슬링
파일:수원시 심볼(~2000).png 경기도 수원시 파일:고양군 CI(?-1992).svg 경기도 고양군[6] 파일:파주군 심볼.png 경기도 파주군[7]
수원실내체육관 원당종합마술경기장 통일로
(통일교공원~봉일천사거리)
파일:1988 서울 올림픽 핸드볼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핸드볼 픽토그램 컬러.svg 핸드볼 파일:1988 서울 올림픽 승마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승마 픽토그램 컬러.svg 승마 파일:1988 서울 올림픽 사이클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사이클 픽토그램 컬러.svg 사이클
(도로 경기)
파일:대전직할시 휘장 (1972-1995).svg 충청남도 대전시[8] 파일:대구광역시 휘장(1926-1996) 화이트.svg 대구직할시[광역시] 파일:광주광역시 휘장(1987~2000)_White.svg 광주직할시[광역시]
대전공설운동장[철거] 대구시민운동장 광주무등경기장[철거]
파일:1988 서울 올림픽 축구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축구 픽토그램 컬러.svg 축구 파일:1988 서울 올림픽 축구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축구 픽토그램 컬러.svg 축구 파일:1988 서울 올림픽 축구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축구 픽토그램 컬러.svg 축구
파일:부산직할시 휘장.svg 부산직할시[광역시]
구덕운동장 수영만 요트경기장
파일:1988 서울 올림픽 축구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축구 픽토그램 컬러.svg 축구 파일:1988 서울 올림픽 요트 픽토그램.svg파일:1988 서울 올림픽 요트 픽토그램 컬러.svg 요트
[ 각주 펼치기 · 접기 ]

[1] 출발 서울올림픽주경기장 → 올림픽로삼성교테헤란로 → 르네상스호텔사거리(현 센터필드교차로) → 언주로영동세브란스사거리(현 강남세브란스교차로) → 도곡로 → 뱅뱅사거리 → 강남대로제일생명사거리(현 교보타워사거리) → 사평로(현 사평대로) → 국립묘지 앞(현 국립서울현충원 앞) → 올림픽대로노들로 → 여의교 → 여의교교차로 → 의사당대로 → 여의도광장(현 여의도공원) → 여의대로마포대교 → 마포대교 북단 → 강변3~5로(현 강변북로) → 반포대교 북단 → 반포대교 → 반포대로신반포로고속터미널교차로 → 잠원로한남 나들목압구정로 → 성수대교남단교차로 → 언주로 → 올림픽대로 → 한가람로잠실로 → 잠실3사거리 → 서울올림픽주경기장 도착[철거] [3]중랑구 중화동 로얄스포츠센터로, 리모델링 이후 볼링장은 사라졌다.[4] 1989년광주군 동부읍이 하남시로 분리 승격[철거] [6] 1992년고양시로 승격[7] 1996년파주시로 승격[8] 1989년충청남도로부터 분리, 대전직할시(現 대전광역시)로 승격[광역시] 1995년, 직할시에서 광역시로 명칭 변경[광역시] [철거] [철거] [광역시]
}}}}}}}}}}}}
파일:서울대 체육관.jpg
서울대학교 체육관

2.4.5. 체육문화교육연구동 (고유번호 A 71-1)

파일:서울대 체육문화교육연구동 수정본.jpg
서울대학교 체육문화교육연구동

2.4.6. 포스코스포츠센터 (고유번호 A 71-2)

파일:서울대 포스코스포츠센터.jpg
서울대학교 포스코스포츠센터

2.4.7. 융합관 (고유번호 D 75)

파일:서울대 역사기록관.jpg
서울대학교 융합관
2024년 10월 10일 역사기록관이 입주하는 융합관이 완공되어 준공식을 가졌다. 대학신문 등이 사용하던 복지관 시설을 재건축한 건물로 역사기록관 외에 총동창회, 대학신문, 농업생명과학대학 등이 입주하기 때문에 명칭은 융합관으로 지어졌다. 지하 1층에 기록관 수장고가 마련되고 1층에 상설전시관이 들어선다. 2층에는 총동창회와 대학신문사, 3층에 농업생명과학대학과 대학신문사, 4층~6층은 농업생명과학대학이 사용한다.#

구 서울대 복지관 [ 펼치기 · 접기 ]
파일:구 서울대 75동.jpg

2.4.8. 버들골 풍산마당 (고유번호 H 100)

파일:서울대 버들골 풍산마당 수정본.jpg
서울대학교 버들골 풍산마당
관악 02 버스가 풍산마당 앞에 정차한다. 캠퍼스의 외곽 순환 도로가 아닌 내부까지 진입하는 정류소는 이 곳이 유일하다.

2.4.9.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고유번호 C 103)

파일:서울대학교규장각.jpg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규장각'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막대한 양의 고문헌을 확보하고 있다. 견학도 가능하다.

2.4.10. 미술관 (고유번호 A 151)

파일:서울대 미술관 수정본.jpg
서울대학교 미술관

2.4.11. 버들골

파일:서울대 버들골.jpg
서울대학교 버들골
관악캠퍼스가 과거 골프장(관악컨트리클럽)이었던 시절 1번홀이 위치한 곳이었다. 눈썰미가 좋은 사람은 전형적인 골프 코스의 형태를 하고 있다는 것을 눈치챌 수 있다.

2.4.12. 종합운동장

파일:서울대 종합운동장.jpg
서울대학교 종합운동장

2.4.13. 보조운동장(기숙사)

파일:서울대 운동장(기숙사).jpg
서울대학교 보조운동장(기숙사)

2.4.14. 보조운동장(학군단)

파일:서울대 운동장(학군단).jpg
서울대학교 보조운동장(학군단)

2.4.15. 야구장

파일:서울대 야구장 수정본.jpg
서울대학교 야구장

2.4.16. 잔디 테니스코트(경영대)

파일:서울대 잔디 테니스코트(경영대).jpg
서울대학교 잔디 테니스코트(경영대)

2.4.17. 클레이 테니스코트(경영대)

파일:서울대 클레이 테니스코트(경영대).jpg
서울대학교 클레이 테니스코트(경영대)

2.4.18. 클레이 테니스코트(공대)

파일:서울대 테니스코트(공대).jpg
서울대학교 클레이 테니스코트(공대)

2.4.19. 농구장(공대)

파일:서울대 농구장(공대).jpg
서울대학교 농구장(공대)

2.4.20. 농구장(기숙사삼거리)

파일:서울대 농구장(기숙사삼거리).jpg
서울대학교 농구장(기숙사삼거리)

2.4.21. 풋살장

파일:서울대 풋살장.jpg
서울대학교 풋살장

2.4.22. 인공암벽

파일:서울대 인공암벽.png
서울대학교 인공암벽

2.5. 행정시설

2.5.1. 환경안전원 (고유번호 A 97)

파일:서울대 환경안전원 1.jpg
서울대학교 환경안전원

2.5.2. 환경안전원 (고유번호 A 98)

파일:서울대 환경안전원 2.jpg
서울대학교 환경안전원

2.5.3. 정보화본부 (고유번호 C 102)

파일:서울대 정보화본부.jpg
서울대학교 정보화본부

2.5.4. 입학본부 (고유번호 A 150)

파일:서울대 입학본부.jpg
서울대학교 입학본부

2.5.5. 우정원글로벌사회공헌센터 (고유번호 A 153)

파일:서울대 우정원글로벌사회공헌센터.jpg
서울대학교 우정원글로벌사회공헌센터

2.6. 교육시설

2.6.1. 이공계멀티미디어강의동 (고유번호 E 43-1)

파일:서울대 이공계멀티미디어강의동.jpg
서울대학교 이공계멀티미디어강의동

2.6.2. 기초교육원 (고유번호 H 61)

파일:서울대 기초교육원.jpg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2.6.3. 학군단 (고유번호 G 66)

파일:서울대 학군단.jpg
서울대학교 학군단
서울대학교 제101학군단이 사용한다. 구름다리로 이어진 66동과 66-1동의 두 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생각보다 오래된 건물로 관악캠퍼스 준공 최초 단계부터 존재했으며, 윗공대가 존재하지 않았던 당시에는 관악캠퍼스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건물이었다. 학군단 연병장은 현재는 약학대학 등 연구동 건물들에 둘러싸여 있다.

2.6.4. 인문사회계멀티미디어강의동 (고유번호 B 83)

파일:서울대 인문사회계멀티미디어강의동.jpg
서울대학교 인문사회계멀티미디어강의동

2.6.5. 언어교육원 (고유번호 A 137)

파일:서울대 언어교육원.jpg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2.6.6. CJ어학관 (고유번호 A 137-1)

파일:서울대 CJ어학관.jpg
서울대학교 CJ어학관

2.6.7. 대림국제관 (고유번호 A 137-2)

파일:서울대 대림국제관.jpg
서울대학교 대림국제관

2.6.8. CJ인터내셔널센터 (고유번호 A 152)

파일:서울대 CJ인터내셔널센터.jpg
서울대학교 CJ인터내셔널센터

2.6.9. 롯데국제교육관 (고유번호 A 152-1)

파일:서울대 롯데국제교육관.jpg
서울대학교 롯데국제교육관

2.6.10. 백학어린이집 (고유번호 K 941)

파일:서울대 백학어린이집.jpg
서울대학교 백학어린이집
백학어린이집은 영아반(만 1~2세) 원아들을 위한 보육시설이다. 아래 느티나무어린이집과 함께 대부분의 학부생들에게는 큰 관련이 없는 시설이지만 어린 자녀를 둔 젊은 교수나 직원, 대학원생들에게는 교내 모든 시설을 통틀어 최중요 핵심시설이라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5시까지 기본보육을 제공하며, 오후 7시 30분까지 연장보육을 신청할 수 있다. 백학(白鶴)은 서울대학교의 교조(校鳥)이다.

2.6.11. 느티나무어린이집 (고유번호 K 941-1)

파일:서울대 느티나무어린이집.jpg
서울대학교 느티나무어린이집
느티나무어린이집은 유아반(만 3~5세) 원아들을 위한 보육시설이다. 느티나무는 서울대학교의 교목(校木)이다.

2.7. 연구시설

2.7.1. 풍동실험동 1 (고유번호 E 40)

파일:서울대 풍동실험동 1.jpg
서울대학교 풍동실험동 1

2.7.2. 선체구조실험동 (고유번호 G 41)

파일:서울대 선체구조실험동.jpg
서울대학교 선체구조실험동

2.7.3. 선형수조실험동 (고유번호 G 42)

파일:서울대 선형수조실험동.jpg
서울대학교 선형수조실험동

2.7.4. 슬로싱실험동 (고유번호 G 42-1)

파일:서울대 슬로싱실험동.jpg
서울대학교 슬로싱실험동

2.7.5. 풍동실험동 2 (고유번호 G 44)

파일:서울대 풍동실험동 2.jpg
서울대학교 풍동실험동 2

2.7.6. 천문대 (고유번호 G 45)

파일:서울대 천문대.jpg
서울대학교 천문대

2.7.7. 천문관측소 (고유번호 G 46)

파일:서울대 천문관측소 수정본.jpg
서울대학교 천문관측소

2.7.8. 기상관측소 (고유번호 F 47)

파일:서울대 기상관측소.jpg
서울대학교 기상관측소

2.7.9. 지진관측소 (고유번호 G 48)

파일:서울대 지진관측소.jpg
서울대학교 지진관측소

2.7.10. 전파천문대 (고유번호 G 48-1)

파일:서울대 전파천문대.jpg
서울대학교 전파천문대

2.7.11. 실험동물자원관리원 (고유번호 G 69)

파일:서울대 69동.jpg
서울대학교 실험동물자원관리원

2.7.12. 아시아연구소 (고유번호 B 101)

파일:서울대 아시아연구소.jpg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00년대 중반까지 후생관으로 쓰였던 건물이다. 연구소 건물에서 학식을 파는 것은 그때의 흔적.

2.7.13. 반도체공동연구소 (고유번호 G 104)

파일: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jpg
서울대학교 반도체공동연구소

2.7.14. 반도체교육관 (고유번호 G 104-1)

파일:서울대 반도체교육관.jpg
서울대학교 반도체교육관

2.7.15. 유전공학연구소 (고유번호 G 105)

파일:서울대 유전공학연구소.jpg
서울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2.7.16. 유전공학연구소 신관 (고유번호 G 105-2)

파일:서울대 유전공학연구소 신관.jpg
서울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신관

2.7.17. 기초전력연구소 (고유번호 E 130)

파일:서울대 기초전력연구소.jpg
서울대학교 기초전력연구소

2.7.18. 신소재공동연구소 (고유번호 E 131)

파일:서울대 신소재공동연구소.jpg
서울대학교 신소재공동연구소

2.7.19. 뉴미디어통신공동연구소 (고유번호 G 132)

파일:서울대 뉴미디어통신공동연구소.jpg
서울대학교 뉴미디어통신공동연구소

2.7.20. 자동화시스템공동연구소 (고유번호 E 133)

파일:서울대 자동화시스템공동연구소.png
서울대학교 자동화시스템공동연구소

2.7.21. 에너지신기술연구동 (고유번호 G 135)

파일:서울대 에너지신기술연구동.jpg
서울대학교 에너지신기술연구동

2.7.22. 컴퓨터연구소 (고유번호 G 138)

파일:서울대 컴퓨터연구소.jpg
서울대학교 컴퓨터연구소

2.7.23. 공동기기원 (고유번호 G 139)

파일:서울대 공동기기원 수정본.jpg
서울대학교 공동기기원

2.7.24. 기초과학공동기기원 (고유번호 G 139-1)

파일:서울대 139-1동.jpg
서울대학교 기초과학공동기기원

2.7.25. 우석경제관 (고유번호 A 223)

파일:서울대 우석경제관.jpg
서울대학교 우석경제관

2.7.26. 화학공정신기술연구소 (고유번호 F 311)

파일:서울대 화학공정신기술연구소.jpg
서울대학교 화학공정신기술연구소

2.7.27. 정밀기계연구소실험연구동 (고유번호 F 312)

파일:서울대 정밀기계연구소실험연구동.jpg
서울대학교 정밀기계연구소실험연구동

2.7.28. 정밀기계공동연구소 (고유번호 F 313)

파일:서울대 정밀기계공동연구소.jpg
서울대학교 정밀기계공동연구소

2.7.29. 차세대자동차신기술연구소 (고유번호 F 314)

파일:차세대자동차신기술연구소.jpg
서울대학교 차세대자동차신기술연구소

2.7.30. 건설환경종합연구소 (고유번호 F 316)

파일:서울대 316동.jpg
서울대학교 건설환경종합연구소
흔히 윗공대 뒷길로 불리는 끔찍한 경사로 상에 지어져 있다. 윗공대의 다른 건물들(300, 301, 302동)과는 약간 거리를 두고 고립되어 있으며, 관악캠퍼스에서 가장 남쪽에 위치하였고, 서울대 정문에서 가장 먼 건물이라는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다.

2.7.31. 연구공원지원시설 (고유번호 K 940)

파일:서울대 연구공원지원시설.jpg
서울대학교 연구공원지원시설

2.7.32. 942동 (구 LG연구동) (고유번호 K 942)

파일:서울대 942동.jpg
서울대학교 942동 (구 LG연구동)
LG전자에서 지어 기부채납한 건물로 2019년 LG전자 연구소는 철수하고 현재는 AI 연구원, Maker's Space,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연구실[16], 산학협력단 등이 입주해 있다.

2.7.33. SK텔레콤 (고유번호 K 943)

파일:서울대 SK텔레콤.jpg
서울대학교 SK텔레콤

2.7.34. 삼성전자공동연구소 (고유번호 K 944)

파일:서울대 삼성전자공동연구소.jpg
서울대학교 삼성전자공동연구소

2.7.35. 코웨이R&D센터 (고유번호 K 945)

파일:서울대 코웨이R&D센터.jpg
서울대학교 코웨이R&D센터

2.7.36. 국제백신연구소 (고유번호 K 950)

파일:서울대 국제백신연구소.jpg
서울대학교 국제백신연구소

2.8. 편의시설

2.8.1. 회관 및 외부인 숙박시설

2.8.1.1. 학생회관 (고유번호 C 63)
파일:서울대 학생회관.jpg
서울대학교 학생회관
2.8.1.2. 교수회관 (고유번호 G 65)
파일:서울대 교수회관.jpg
서울대학교 교수회관
2.8.1.3. 호암교수회관 (고유번호 K 125)
파일:서울대 호암교수회관.jpg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
2.8.1.4. 삼성컨벤션센터 (고유번호 K 125-1)
파일:서울대 삼성컨벤션센터.jpg
서울대학교 삼성컨벤션센터
2.8.1.5. SK게스트하우스 (고유번호 K 125-2)
파일:서울대 SK게스트하우스.jpg
서울대학교 SK게스트하우스
2.8.1.6. 호암동관 (고유번호 K 126)
파일:서울대 호암동관.jpg
서울대학교 호암동관
2.8.1.7. 호암서관 (고유번호 K 127)
파일:서울대 호암서관.jpg
서울대학교 호암서관
2.8.1.8. 엔지니어하우스 (고유번호 F 310)
파일:서울대 엔지니어하우스.jpg
서울대학교 엔지니어하우스

2.8.2. 기숙사 및 교직원 아파트

2.8.2.1. 공관 (고유번호 K 121)
파일:서울대 공관.jpg
서울대학교 공관
2.8.2.2. 교수아파트 1~9 (고유번호 K 122-A~I)
파일:서울대 교수아파트 A~I.jpg
서울대학교 교수아파트 1~9
2.8.2.3. 관악사 대학원 생활관 (고유번호 J 900)
파일:서울대 대학원 생활관 900.jpg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활관
2.8.2.4. 관악사 대학원 생활관 (고유번호 J 901)
파일:서울대 대학원 생활관 901.jpg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활관
2.8.2.5. 관악사 대학원 생활관 (고유번호 J 902)
파일:서울대 대학원 생활관 902.jpg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활관
2.8.2.6. 관악사 대학원 생활관 (고유번호 J 903)
파일:서울대 대학원 생활관 903.jpg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활관
2.8.2.7. 관악사 대학원 생활관 (고유번호 J 904)
파일:서울대 대학원 생활관 904.jpg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활관
2.8.2.8. 관악사 대학원 생활관 (고유번호 J 905)
파일:서울대 대학원 생활관 905.jpg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활관
2.8.2.9. 관악사 대학원 생활관 (고유번호 J 906)
파일:서울대 대학원 생활관 906.jpg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활관
2.8.2.10. 관악사 글로벌 생활관 (고유번호 K 915)
파일:서울대 915동.jpg
서울대학교 글로벌 생활관
2.8.2.11. 관악사 글로벌 생활관 (고유번호 K 916)
파일:서울대 916동.jpg
서울대학교 글로벌 생활관
2.8.2.12. 관악사 글로벌 생활관 (고유번호 K 917)
파일:서울대 917동.jpg
서울대학교 글로벌 생활관
2.8.2.13. 관악사 대학원 생활관 (고유번호 J 918)
파일:서울대 대학원 생활관 918.jpg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활관
2.8.2.14. 관악사 학부 생활관 (고유번호 J 919)
파일:서울대 학부 생활관 919.jpg
서울대학교 학부 생활관
A-D동까지 있으며, 2022년 현재 A-B동은 여학생 생활관이고 C-D동은 남학생 생활관이다.

2023년 11월 서울대가 밝힌 계획에 따르면 학부 생활관 7개동을 최고 40m로 재건축해 신입생 전원을 새 기숙사에 배치한다고 한다.#
2.8.2.15. 관악사 후생관 (고유번호 J 920)
파일:서울대 관악사후생관.jpg
서울대학교 관악사 후생관
2.8.2.16. 관악사 학부 생활관 (고유번호 J 921)
파일:서울대 학부 생활관 921.jpg
서울대학교 학부 생활관
2.8.2.17. 관악사 학부 생활관 (고유번호 J 922)
파일:서울대 학부 생활관 922.jpg
서울대학교 학부 생활관
2.8.2.18. 관악사 학부 생활관 (고유번호 J 923)
파일:서울대 학부 생활관 923.jpg
서울대학교 학부 생활관
2.8.2.19. 관악사 학부 생활관 (고유번호 J 924)
파일:서울대 학부 생활관 924.jpg
서울대학교 학부 생활관
2.8.2.20. 관악사 학부 생활관 (고유번호 J 925)
파일:서울대 학부 생활관 925.jpg
서울대학교 학부 생활관
2.8.2.21. 관악사 학부 생활관 (고유번호 J 926)
파일:서울대 학부 생활관 926.jpg
서울대학교 학부 생활관
2.8.2.22. 가족생활관 1 (고유번호 K 931)
파일:서울대 가족생활관 1.jpg
서울대학교 가족생활관 1
2.8.2.23. 가족생활관 2 (고유번호 K 932)
파일:서울대 가족생활관 2.jpg
서울대학교 가족생활관 2
2.8.2.24. 가족생활관 3 (고유번호 K 933)
파일:서울대 가족생활관 3.jpg
서울대학교 가족생활관 3
2.8.2.25. 가족생활관 4 (고유번호 K 934)
파일:서울대 가족생활관 4.jpg
서울대학교 가족생활관 4
2.8.2.26. 가족생활관 5 (고유번호 K 935)
파일:서울대 가족생활관 5.jpg
서울대학교 가족생활관 5
2.8.2.27. 교직원아파트 (고유번호 K 936)
파일:서울대 교직원아파트.jpg
서울대학교 교직원아파트
2.8.2.28. BK국제관 (고유번호 K 946)
파일:서울대 BK국제관.jpg
서울대학교 BK국제관

2.9. 기타 시설

2.9.1. 제1파워플랜트 (고유번호 A 68)

파일:서울대 제1파워플랜트 수정판.jpg
서울대학교 제1파워플랜트

2.9.2. 신림변전소 (고유번호 A 68-1)

파일:서울대 신림변전소 수정판.jpg
서울대학교 신림변전소

2.9.3. 제2파워플랜트 (고유번호 F 330)

파일:서울대 제2파워플랜트.jpg
서울대학교 제2파워플랜트

2.9.4. 차량정비고 (고유번호 F 331)

파일:서울대 차량정비고.jpg
서울대학교 차량정비고

2.10. 후문수위실 (고유번호 K 144)

파일:서울대 후문수위실.jpg
서울대학교 후문수위실

[1] 저 ㄱ, ㅅ, ㄷ를 합친 정문은 서울대 출신 유시민이 쓴 베스트셀러 중 하나인 <나의 한국현대사>에서 "ㄱ, ㅅ, ㄷ의 약자는 계집, 술, 담배"라는 농담의 소재가 되었다. 혹은 '계집, 술, 도박'이나 '권력, 술, 돈'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종종 담배 대신 '당구'를 넣기도 하고, 학생운동 전성기 때는 '공.산.당'의 이니셜이라는 농담도 있었다. 서울대의 등록금이 아주 쌌을 적에는 '가난한 사람들만 다니는 대학교'의 약자라는 말도 있었다는 듯 하다. 초기에는 경성제국대학의 ㄱㅅㄷ(경성대)라는 비판도 있었다.[2] 서울대 관련 물품에서 교표와 함께 제일 많이 쓰인다. 물론 간지는 교표가 더 나서 조금 밀리는 감이 없지 않지만. 연세대와 고려대는 오히려 각자의 상징동물인 독수리나 호랑이 같은 상징동물을 더 내세우는 편이라면 서울대는 상징인 백학을 거의 쓰지 않고, 교표, 샤, SNU로 정리된다.[3] 그래서 동아리 이름이나 학교 앱 등 학교 관련된 것에 유난히 자가 많이 쓰이게 되면서(ex. 서울대 자부심을 샤부심이라고 칭하는 등) 그런 부정적 여론은 없어졌다. 일종의 에펠 탑 효과라고 볼 수 있다.[4] 관정관 내부의 세미나실 또한 기부자들의 이름으로 되어 있다.[5] 최소한 30년은 넘은 과거로 추정[6] 큰 의미는 없지만 인문대학은 단과대학 중 비공식적으로 의전서열 1위(?)로 여겨진다. 인문대학-사회대학-자연과학대학-나머지 단과대 가나다순이다. 본 항목이 그 순서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졸업앨범에도 반영되어 있다.[7] 증축되어 붙인 형태이다. 16동 자체는 왼쪽에도 이어져 존재한다.[8] 약 200명 내외를 수용할 수 있으며, 대형 강의, 각종 행사 및 교수회의 등이 여기서 진행된다.[9] 카페를 이용하지 않아도 라운지를 이용할 수 있어 각종 팀플 및 스터디 장소로 인기가 많다.[10] 59-1동 준공 이전에는 58동 신관 4층에 있었다.[11] #[12] 서울에서 가장 높은 곳에 지어졌다고 흔히 오해되는 상명대학교가 해발 100~160m 정도인데, 그보다 무려 100m가 더 높다.[13] 과거에는 공대깡통식당, 약칭 '공깡'으로도 불렀으나, 20학번 이후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14] 농업생명과학대학의 조경시스템공학부가 설계했다. DIY 내 손으로 만드는 학교[15] 공부하는 분위기가 잘 조성되어있다.농대의 자랑 학생회실까지 밀어버렸다[16] 교수실 및 행정실은 43동에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4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4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