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3 01:57:30

MOA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팬클럽에 대한 내용은 MOA(투모로우바이투게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러시아의 준군사조직에 대한 내용은 말로로시야 해방군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각도
1.1. 총기의 명중률
2. 군 작전 구역 (Military Operation Area)3. 약어

1. 각도

Minute of Angle(MOA)

각도의 60분법으로 분을 나타낸다. 더 작은 단위로는 Second of Arc가 있다. 도-분-초 에서 '초'에 해당하는 개념으로 MOA를 60분할 한다.

1.1. 총기의 명중률

총기의 명중률을 MOA 단위로 표현하기도 한다. 명중률이 중요한 장거리 교전을 상정하는 저격소총이나 지정사수소총의 명중률을 표시할 때 자주 사용한다.

1MOA, 즉 1분의 각도 오차는 100야드 거리에서 1인치(정확히는 1.047″)의 오차(Spread)가 된다(미터법으로 설명하면 91m 거리에서 1cm의 오차). 총기 명중률을 나타낼 때 1 MOA는 100야드 거리에서 지름 1인치의 원 안에 탄착군이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명중률의 단위로서 사용하는 MOA 수치는 작을수록 탄착군이 좁아 명중률이 높다.

파일:moa.jpg

MOA 단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링크 참조. How to Understand Minute of Angle

이는 총열의 정밀성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발생하는 오차이기 때문에 동일한 지점을 조준하더라도 MOA 값이 있는 이상 동일한 곳에 총알이 명중하지 않는다. 총기 제조업체에서는 아예 프레스로 총기를 고정한 상태에서 총알을 발사해 MOA 값을 측정하는데, 단단히 고정되어 단 1 mm도 움직이지 않는 총기에서도 MOA 값에 따라 총알이 원형으로 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당연히 MOA가 작은 총기의 가격은 그 차이에 비해 가격이 훨씬 더 비싸다. 예를 들면 한국의 제식소총으로 일반 부대에서 사용하는 K2 소총의 MOA는 4.9인 반면[1] 해군 특수전전단에서 사용하는 H&K HK416의 MOA는 모델에 따라 상이하지만 2.0 내외로 나타난다. 같은 돌격소총이지만 오히려 총열이 훨씬 짧은 HK416의 기계적인 명중률이 5배 이상 높으며,[2] 총기의 가격 또한 5배 가깝게 차이가 난다. 국군 K14 저격소총은 800 m 거리까지 1 MOA의 명중률이 유지된다. 이걸 미터법으로 환산하면 800m 거리에서 약 지름 8.8인치, 22.3cm의 원 안에 탄이 모두 명중하는 것으로, 대략 사람의 머리까지 노릴 수 있는 정도이다.

참고 문헌

2. 군 작전 구역 (Military Operation Area)

파일:PEN-MOA.jpg
한반도에 설정된 MOA 공역.

공역(Airspace)의 구분 중 하나로, 군사작전을 위하여 설정된 공역으로서 계기비행 항공기로부터 분리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 공역을 말한다. 항공기의 비행 시 조종사의 특별한 주의·경계·식별 등이 필요한 공역인 '주의공역'으로 분류된다.

3. 약어

미국 미네소타 블루밍턴에 있는 쇼핑몰 '몰 오브 아메리카(Mall of America)'의 약자.

필리핀에 있는 쇼핑몰 '몰 오브 아시아(Mall of Asia)'의 약자.

홍콩에 있는 미술관 '홍콩 예술관(Hong Kong "M"useum "O"f "A"rt)'의 약자.
[1] 100야드(91.44m) 거리에서 사격하면 4.9인치(12.6cm)의 원 안에 총알이 전부 들어간다.[2] MOA 차이는 3이지만 탄착군 원의 넓이(r²π)로 명중률을 비교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