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if top2 != null
, [[]][[]]}}}{{{#!if top3 != null
, [[]][[]]}}}{{{#!if top4 != null
, [[]][[]]}}}{{{#!if top5 != null
, [[]][[]]}}}{{{#!if top6 != null
,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레오파르트 2]]{{{#!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Pz 87| | [[Pz 87|Panzer 87{{{#!wiki style="font-size:1.15em"]]관련 문서 | }}} | ||||
|
Panzer 87 Char 87 Carro armato 87 |
1. 개요
제14기갑대대의 판처 87 WE 훈련 영상 |
2. 제원
| |||
<colbgcolor=#da291c><colcolor=white> 형식 | Pz 87 | Pz 87 WE | |
제조사 | 크라우스-마파이 베그만 스위스 오드넌스 엔터프라이즈 툰 | ||
전장[1] | 10.12m | 10.38m | |
전폭[2] | 3.72m | 3.74m[3] | |
전고[4] | 3.5m | ||
전투중량 | 55톤 | 56.5톤[5] | |
엔진 | MTU MB 873 Ka 501 (1,500hp) | ||
속력 | -31km/h ~ +68km/h | ||
등판각 | 31.0° / 60% | ||
장갑재 | B형 장갑재[6] C형 장갑재[7] | C형 장갑재 | |
주무장 | 1 × 12cm Pz Kan 87 | ||
탄종 | <colbgcolor=#da291c><colcolor=white> 물리탄 | Pfeil PAT 87 Lsp (APFSDS-T) Pfeil PAT 90 Lsp (APFSDS-T) Pfeil PAT 98 Lsp (APFSDS-T) | |
화학탄 | HL PAT 87 Lsp (HEAT-MP-T) | ||
부무장 | 1 × 7,5mm Pz Mg 87 (공축) 2 × 7,5mm Kuppel Mg 87 (상부) | ||
개인화기 | 26,5mm Raketenpietole 78 1정 (18발) 9 × HG43 수류탄 (~90) 12 × HG85 수류탄 (90~) |
3. 역사
3.1. 배경
|
Panzer 57 mit Panzerkanone 60 |
| |
판처 68의 현대화 개수형 Panzer 68ET[8] | NKPZ 프로젝트 실물 크기 목업 |
3.2. 전차 도입 사업
스위스가 고려한 3세대 전차는 레오파르트 2, M1 에이브람스[9], 챌린저 1, AMX-40이었다. 하지만 챌린저 1과 AMX-40은 서류 심사 끝에 탈락했는데 이유는 다음과 같다. 우선 챌린저 1의 가장 큰 문제는 기동성이었다. 챌린저 1은 1,200마력짜리 디젤 엔진을 장착했는데, 이는 62톤에 달하는 무게를 감당하기에는 출력이 너무 적었다. 또한 포탑의 무게가 너무 무거워 산악 지형에서의 기동성을 중시했던 스위스군에게는 적합하지 않았다. 또 다른 경쟁자인 AMX-40이 탈락한 가장 큰 이유는 전차 자체가 미완성이었기 때문이다.[10] 게다가 프랑스군에서 운용하지 않는 전차였기에 유지 보수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고, 이것 이외에도 낮은 방호력 및 기동성 문제가 제기되어 탈락하였다. 이렇게 두 후보가 서류 심사에서 탈락하고 경쟁은 레오파르트와 에이브람스의 2파전으로 흘러간다.3.2.1. 레오파르트 vs 에이브람스
|
스위스에서 테스트받는 XM1 |
레오파르트는 MTU MB 873 Ka-501 1,500마력 디젤 엔진을 탑재하였다. 이 엔진은 높은 신뢰성과 강력한 토크를 제공해, 험난한 알프스 산악 지형에서도 뛰어난 기동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사격 안정화 장치가 매우 우수해, 주행 중에도 움직이는 목표를 정확히 조준, 높은 명중률을 기록했다. 장갑은 모듈화된 구조 덕분에 유지보수가 용이했고, 장기 운용 비용 측면에서도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에이브람스는 하니웰 AGT1500 가스터빈 엔진을 탑재하여 뛰어난 초기 가속력과 높은 최고 속도를 자랑했다. 특히 평지나 완만한 지형에서는 민첩하고 빠른 반응성을 보였다. 그러나 이 가스터빈 엔진은 연료 소비량이 매우 많았고, 장거리 작전에서 보급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또한 정비 측면에서도 가스터빈 엔진의 복잡성 때문에 특수 장비와 고급 정비 인력이 필요했으며, 엔진 내구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었다. 에이브람스는 화력 면에서 나쁘지 않은 평가를 받았지만, 레오파르트와 비교했을 때 이동 사격시 안정성과 명중률이 다소 열세였다.
종합적으로 스위스군은 레오파르트가 산악 지형 대응력, 장기 운용성, 유지보수 효율, 경제성 등에서 에이브람스보다 우수하다고 평가했다. 1983년 8월, 레오파르트가 경쟁에서 승리했고, 이에 따라 1984년, 스위스 연방의회는 레오파르트 2A4 380대의 도입을 공식 승인했다.
3.2.1.1. 테스트
1. 고속 기동 및 급제동 테스트
* 시험 목표
레오파르트는 더 낮은 속력으로 진입했지만 더 짧은 제동거리와 더 나은 안정성을 보여줬고, 에이브람스는 브레이크 성능은 우수했지만 제동 시 앞쪽으로 차체가 쏠리는 현상이 심해서 이 부분에서 감점당했다. 결과적으로 레오파르트가 더 나은 대응 능력을 가졌다고 평가받았다.
* 시험 목표
* 전차의 제동 거리를 측정하고, 제동력, 현가장치 안정성, 차체 제어 능력을 평가한다.
* 시험 조건* 장소: 평지, 포장도로
* 기상: 건조, 기온 약 10℃~15℃
* 탑승 인원: 표준 인원 (4명)
* 탑재량: 최대 탄약 및 연료
* 방법: 정속주행 후 지시에 따라 제동
* 결과* 기상: 건조, 기온 약 10℃~15℃
* 탑승 인원: 표준 인원 (4명)
* 탑재량: 최대 탄약 및 연료
* 방법: 정속주행 후 지시에 따라 제동
<colbgcolor=#f00><colcolor=#fff><rowcolor=#fff> | Leopard 2AV | XM1 Abrams |
최고 속력 | 약 68km/h | 약 72km/h |
제동 거리 | 약 32m | 약 39m |
차체 흔들림 | 작음 | 큼(전방 쏠림) |
2. 기동 사격 중 명중률 테스트
* 시험 목표
레오파르트는 포신의 완벽한 안정화로 매끄럽게 기동 사격을 수행했지만, 에이브람스는 초기 저율 생산분이었기 때문에 FCS가 아직 완벽하지 않아 스위스 기준보다 약간 느렸고, 포신이 미세하게 흔들려 명중률이 약간 저하됐다. 이 시험은 위의 제동 시험과 함께 레오파르트가 채택되는데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 시험 목표
* 주행 중 이동하는 표적에 대한 명중률과 주포 안정 능력을 평가
* 시험 조건* 장소: 비포장 험지 코스(진흙 + 자갈)
* 속력: 25km/h~30km/h
* 표적: 1.5km 밖에서 15km/h 속력으로 이동 중인 차량
* 사격 횟수: 1대당 10발
* 탄종: 훈련용 연습탄
* 방법: 10발씩 사격하는 것을 수 회 반복
* 결과* 속력: 25km/h~30km/h
* 표적: 1.5km 밖에서 15km/h 속력으로 이동 중인 차량
* 사격 횟수: 1대당 10발
* 탄종: 훈련용 연습탄
* 방법: 10발씩 사격하는 것을 수 회 반복
<colbgcolor=#f00><colcolor=#fff><rowcolor=#fff> | Leopard 2AV | XM1 Abrams |
10발 중 명중 | 8발 | 6발 |
초탄 명중률 | 90% | 70% |
포신 안정성 | 매우 높음 | 약간 흔들림 |
사통 속도 | 빠름 | 약간 지연 |
3. NBC 방호 능력 테스트
* 시험 목표
레오파르트는 NBC 모드 전환이 빠르고, 필터 작동이 즉각적이었다. 하지만 에이브람스는 양압 시스템 가동에 약간의 지연이 있었고, 시험 중 1대에서는 경미한 누출이 발생했다.
* 시험 목표
* 전차가 NBC(화생방) 공격에 노출되었을 때 얼마나 빠르게 NBC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지를 측정한다.
* 필터 작동 시간, 시스템 안정성, 승무원 대응 시간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 시험 조건* 시험 결과* 필터 작동 시간, 시스템 안정성, 승무원 대응 시간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colbgcolor=#f00><colcolor=#fff><rowcolor=#fff> | Leopard 2AV | XM1 Abrams |
소요 시간 | 약 35초 | 약 50초 |
작동 지연 | 없음 | 약간 있음 |
양압 유지 | 양호 | 미세한 누출 |
4. 극저온 환경에서의 시동 및 주행 능력 평가
* 시험 목표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시험 목표
* 극저온 환경에서 얼마나 빨리 시동이 걸리고 정상적인 주행이 가능한 지 확인.
* 엔진 시동 능력, 기동성, 주요 유압/연료계통의 안정성을 평가한다.
* 시험 조건* 엔진 시동 능력, 기동성, 주요 유압/연료계통의 안정성을 평가한다.
* 장소: 스위스 고산지대, 해발 고도 약 1,000km
* 기온: 약 -25℃
* 전차 상태: 12시간 동안 야외에 방치
* 시험 절차
* 시험 결과* 기온: 약 -25℃
* 전차 상태: 12시간 동안 야외에 방치
* 시험 절차
a. 시동 성공 여부 평가
a. 10분 내 주행 가능 여부 평가
a. 1km 주행 성능 평가
a. 10분 내 주행 가능 여부 평가
a. 1km 주행 성능 평가
{{{#!wiki style="word-break: keep-all"
<colbgcolor=#f00><colcolor=#fff><rowcolor=#fff> | Leopard 2AV | XM1 Abrams | ||
최초 시동 성공 | 1회 | 3회 | ||
시동 후 엔진 반응 | 양호 | RPM 불안정 | ||
1km 주행 | 안정적 | 첫 200m 출력 불안정 | }}} 레오파르트는 2대 다 안정적으로 시동을 걸고 주행할 수 있었지만 에이브람스는 1대만이 부분적으로 성공하고 나머지 1대는 시동이 걸리지 않아 외부 히터로 파워팩을 가열해주고 나서야 시동을 걸 수 있었다.3.3. 도입 | |
툰 공장의 판처 87 |
독일에서 납품된 35대의 판처 87은 1987년에 수령되었고, 최초의 판처 87 부대는 1988년에 창설되었다. 생산은 스위스 오드넌스 엔터프라이즈 툰[13]에서 연간 72대씩 이루어졌으며 최종 납품은 1993년에 이루어졌다.
3.4. 운용
스위스는 소련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판처 87을 도입했지만 10년도 지나지 않아 소련이 망했고, 더이상 위협이랄게 없음에도 계획대로 끝까지 380대 전부를 생산했다. 소련 해체 이후 군축 분위기 속에 스위스도 판처 87을 134대까지 줄였고, 퇴역한 분량은 보관소에서 보관중에 있다. 판처 87은 판처 87WE로 개량되기 전까지 스위스 기갑부대의 주력이었다.3.5. 개량
|
판처 87WE의 프로토타입 |
4. 레오파르트 2A4와의 차이점
|
독일 연방군 레오파르트 2A4 |
- 스위스제 SE-235/m2+ 무전기 및 기타 통신장비
- 7,5mm Pz Mg 87 공축기관총 및 7,5mm Kuppel MG 87 상부기관총
- 개량된 운전석 해치
- 아날로그 컴퓨터를 대신하는 디지털 컴퓨터
- Deugra 화재/폭발 감지 및 진압 시스템
- 개선된 NBC 방호장치
- 유압식 궤도 장력 조절 장치
- 조종수용 Baird 수동 야간 잠망경
- 조종수용 포탑 경고 장치[16]
5. 형식
5.1. Pz 87
|
Panzer 87 |
5.2. Pz 87 WE
|
Panzer 87 WE[17] |
5.3. Pz 87-140
|
Panzer 87-140 |
|
Neuer Panzerkanone-140 |
140mm 포의 성능은 출중했지만 반동이 너무 강해 포탑이 버텨내지 못했고, 결국 독일은 120mm 55구경장을, 스위스는 120mm 44구경장을 계속 사용하는 것으로 마무리되며 프로젝트는 취소된다.
5.4. Pz 87-140 WE
|
Panzer 87-140 WE |
6. 파생형
6.1. 조종훈련차량
|
Pz 87 Fahrschulpanzer |
6.2. 전투공병전차
|
Genie- und Minenräumpanzer Leopard Kodiak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EV 3 코디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EV 3 코디악#|]][[AEV 3 코디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독일의 라인메탈 GmbH와 스위스의 RUAG가 합작 개발한 전투공병전차. 스위스군의 코디악은 Pz 87로 제작되었다.
7. 미디어
8. 둘러보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대전기(1914~1945) | 냉전기(1945~1991) | 현대전(1991~) |
[1] 엔진 소음기 및 주포 길이 포함[2] 사이드스커트 포함[3] 신형 사이드스커트로 교체하면서 전폭이 소폭 늘어났다. 사이드스커트 미장착 시에는 3.42m로 같다.[4] 안테나 제외[5] 신형 사이드스커트로 교체하면서 1.5톤이 불었다.[6] M+77101 - M+77255[7] M+77256 - M+77480[8] Erprobungsträger[9] 저율 초기 생산(LRIP) 중이었기에 공식 명칭은 XM1이었다.[10] AMX-40의 프로토타입이 공개된 것은 몇 년 뒤인 1983년의 일이다.[11] 승무원은 마스크 착용 후 전차를 NBC 모드로 전환한다.[12] 1999년 1월 1일 크라우스-마파이 베그만으로 합병[13] (Swiss Ordnance Enterprise Thun) Eidgenössische Konstruktionswerkstätte Thun의 후신이자 RUAG Land Systems의 전신[P] 프로토타입에만 탑재[P] [16] 포탑 회전 등의 이유로 조종수가 다치는 것을 막기 위해 언제 해치를 열어도 좋은지 경고해준다.[17] "WertErhaltung" 가치 보존이라는 뜻으로 '베르테르할퉁'이라고 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