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1 00:53:09

Pz 87

Panzer 87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if top2 != null
, [[]][[]]}}}{{{#!if top3 != null
, [[]][[]]}}}{{{#!if top4 != null
, [[]][[]]}}}{{{#!if top5 != null
, [[]][[]]}}}{{{#!if top6 != null
,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레오파르트 2]]{{{#!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스위스 국기.svg 현대 스위스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스위스군
Schweizer Armee
전후 공여 (제식 ×) <colbgcolor=#fefefe,#393b42>M4A4 셔먼 VX | Pz.Kpfw.IV Ausf.HX | M7 PriestX | Pz.Kpfw.Tiger Ausf.BX
경전차 Pzw 34/35X | Pzw 39R | Pzw 39 mit Pak 41P | LPz 51R
MBT 1세대 Pz M47X | Pz 55R | Pz 57R | Pz 58R
2세대 Pz 61 (AA1~9)R | Pz 68 (AA1~6)R
3세대 Pz 68ETP | Pz 87 레오파르트R | Pz 87-140 (WE) 레오파르트P
3.5세대 Pz 87 WE 레오파르트
장갑차 차륜장갑차 T17E1 Mk.1X | Pzj TOW 6×6R | Kdo Pz 6×6 gl | Spz 93 8×8 | Spz Pz 93 8×8 MP | Pal Pz 93 8×8 | Kdo Pz 93 8×8 | ABC Aufkl Fz 8×8 | KOMPAK Pz 8×8 | Mzs Pz SE-630 8×8 | KOMM Pz 8×8 | RAP Pz 8×8 | FHR Pz 8×8 | FHR Pz FIS/HE INTAFF 18,5t 8×8 | PiPz 21
하프트랙 M4A1 하프트랙R
궤도장갑차 Spz AMX-VTPX | Spz GenieX | 타르타루가X | Pz Begl Fz UCX | Spz 63(63, 63/73, 63/89, 63/07) | Kdo Pz 63(63, 63/73, 63/89, 63/07) | Uem Pz 63R | Spz 2000 | Kdo Spz 2000
차량 소형 1,0t 4×4 FunkwagenR | Lieferw 1,0t gl 4×4R | 4×4, Fkw Kasten L glR | Lieferw 1,5t gl 6×6R | Repw I M Flab 75 | Pw 0,8t 8Pl 4×4 gl | Leitungsbauwagen 4×4 | Fkw SE-235/m1 Verd 6Pl 4×4 gl | Fkw Rel SE-235/m2 Verdeck 4×4 gl | Fkw Rel VHF/HF SE-235/240 M HT 4×4 | Fkw SE-235/m2+ HT 4×4 gl | Pw 8 Pl/0,8t 4×4 Schneepfl G8 | Fltw ADS 95 HT I 4×4 gl | Pw SWISSINT KA 5 Pl 4×4 gl | Pw 5 Pl gl 4×4 (Uno Fz) | Lieferw Int 0,8t/5Pl 4×4 gl | Aufklfz 93(93, 93/97) sch gl 4×4 | SKdt Fz INTAFF gl 4×4 | Aufklfz EOR gl 4×4 | M38 A1 Mun Fz 4×4R | M38 A1 rsf 10,6cm Pak 58 BAT 4×4R
트럭 모바그 DURO III · GMTF | 자우러 M8R · 2DMR · 6DM | 유니목 404R | 이베코 유로트래커
자주포 자주곡사포 10,5cm sf Hb AMXX | Pz Kan 68P | Pz Hb 66(66, 66/74, 66/74 SELAN)R | Pz Hb 74 | Pz Hb 79 | Pz Hb 88 | Pz Hb M109 (KAWEST/KAWEST WE) | {피라냐 IV AGM}
자주박격포 Mw Pz 64(64, 64/91)R | 12cm Mörser 16
대전차 자주포 Pz Jg G13R | NK-1P | NK-2P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VFlab LPz 51P | Flab Pz 68 B22LP | GDF-DO3 35mm EscorterP
지원 차량 전투공병차량 G/Mirm Pz Leo | G Pz 63R | Mirm Pz 63/00
구난차량 Entp Pz 56X | Kran Pz 63R | Entp Pz 65(65, 65/88)R | BPz 뷔펠
사격통제차량 Flt Pz 63(63, 63/97) | Kdo Pz Art 63/97
탄약운반차량 Sap Pz 63/05R
사격훈련차량 시뮬레이터 Zielpz 63 (SIM 74/SIM 81)R
표적차량 Zielpz 68R | Pz Attrw sch gl 4×4R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P: 프로토타입
※ 윗첨자X: 테스트 용도로만 사용
}}}}}}}}}


{{{#!wiki style="margin: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Pz 87|
파일:Pz 87(3D,백).png
파일:Pz 87(3D,흑).svg
]]
[[Pz 87|Panzer 87{{{#!wiki style="font-size:1.15em"]]관련 문서
}}}
파일:97dbacb0b166fcbce4e4b0b8fa6aa407.png
Panzer 87
Char 87
Carro armato 87

1. 개요2. 제원3. 역사
3.1. 배경3.2. 전차 도입 사업
3.2.1. 레오파르트 vs 에이브람스
3.2.1.1. 테스트
3.3. 도입3.4. 운용3.5. 개량
4. 레오파르트 2A4와의 차이점5. 형식
5.1. Pz 875.2. Pz 87 WE5.3. Pz 87-1405.4. Pz 87-140 WE
6. 파생형
6.1. 조종훈련차량6.2. 전투공병전차
7. 미디어8. 둘러보기

1. 개요

제14기갑대대의 판처 87 WE 훈련 영상
스위스군에서 도입한 레오파르트 2A4. 35대는 독일에서 직도입되었고, 나머지는 RUAG 랜드 시스템스에서 라이센스 생산되어 총 380대의 판처 87이 양산되었다.

2. 제원

파일:판처87탄약.jpg
<colbgcolor=#da291c><colcolor=white> 형식 Pz 87 Pz 87 WE
제조사 크라우스-마파이 베그만
스위스 오드넌스 엔터프라이즈 툰
전장[1] 10.12m 10.38m
전폭[2] 3.72m 3.74m[3]
전고[4] 3.5m
전투중량 55톤 56.5톤[5]
엔진 MTU MB 873 Ka 501 (1,500hp)
속력 -31km/h ~ +68km/h
등판각 31.0° / 60%
장갑재 B형 장갑재[6]
C형 장갑재[7]
C형 장갑재
주무장 1 × 12cm Pz Kan 87
탄종 <colbgcolor=#da291c><colcolor=white> 물리탄 Pfeil PAT 87 Lsp (APFSDS-T)
Pfeil PAT 90 Lsp (APFSDS-T)
Pfeil PAT 98 Lsp (APFSDS-T)
화학탄 HL PAT 87 Lsp (HEAT-MP-T)
부무장 1 × 7,5mm Pz Mg 87 (공축)
2 × 7,5mm Kuppel Mg 87 (상부)
개인화기 26,5mm Raketenpietole 78 1정 (18발)
9 × HG43 수류탄 (~90)
12 × HG85 수류탄 (90~)

3. 역사

3.1. 배경

파일:centurion-_panzer57-60_thun (1).jpg
Panzer 57 mit Panzerkanone 60
70년대 후반~80년대가 되자 스위스는 노후된 센츄리온들과 Pz 61들, 그리고 구시대적인 Pz 68들로는 고조되는 위협으로부터 스스로를 지킬 수 없었다. 그래서 스위스군은 3가지 방안을 검토하게 된다.
파일:EODDd1c.jpg 파일:B2HpeEh.jpg
판처 68의 현대화 개수형
Panzer 68ET
[8]
NKPZ 프로젝트
실물 크기 목업
1. 판처 68을 현대화시킨다.
2. 새로운 3세대 MBT를 개발한다.(NKPZ 프로젝트)
3. 해외로부터 3세대 MBT를 수입한다.
이중 1번은 판처 68/88로 개량되기 전까지 판처 68의 고질적인 문제였던 신뢰성 이슈로 인해 탈락했고, NKPZ 프로젝트는 실제로 꽤나 진행되어 실물 크기 목업까지 제작되었으나 복합적인 문제로 인해 탈락하여 3번 안이 채택된다.

3.2. 전차 도입 사업

스위스가 고려한 3세대 전차는 레오파르트 2, M1 에이브람스[9], 챌린저 1, AMX-40이었다. 하지만 챌린저 1과 AMX-40은 서류 심사 끝에 탈락했는데 이유는 다음과 같다. 우선 챌린저 1의 가장 큰 문제는 기동성이었다. 챌린저 1은 1,200마력짜리 디젤 엔진을 장착했는데, 이는 62톤에 달하는 무게를 감당하기에는 출력이 너무 적었다. 또한 포탑의 무게가 너무 무거워 산악 지형에서의 기동성을 중시했던 스위스군에게는 적합하지 않았다. 또 다른 경쟁자인 AMX-40이 탈락한 가장 큰 이유는 전차 자체가 미완성이었기 때문이다.[10] 게다가 프랑스군에서 운용하지 않는 전차였기에 유지 보수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고, 이것 이외에도 낮은 방호력 및 기동성 문제가 제기되어 탈락하였다. 이렇게 두 후보가 서류 심사에서 탈락하고 경쟁은 레오파르트와 에이브람스의 2파전으로 흘러간다.

3.2.1. 레오파르트 vs 에이브람스

파일:스위스에이브.jpg
스위스에서 테스트받는 XM1
1981년 8월부터 1982년 6월까지 레오파르트 2AV 2대와 XM1 2대가 스위스에서 테스트되었다. 시험은 스위스 특유의 산악 지형, 도시 환경, 그리고 혹한기 조건까지 고려하여, 기동성, 화력, 방호력, 정비성, 경제성 등을 전방위적으로 검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레오파르트는 MTU MB 873 Ka-501 1,500마력 디젤 엔진을 탑재하였다. 이 엔진은 높은 신뢰성과 강력한 토크를 제공해, 험난한 알프스 산악 지형에서도 뛰어난 기동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사격 안정화 장치가 매우 우수해, 주행 중에도 움직이는 목표를 정확히 조준, 높은 명중률을 기록했다. 장갑은 모듈화된 구조 덕분에 유지보수가 용이했고, 장기 운용 비용 측면에서도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에이브람스는 하니웰 AGT1500 가스터빈 엔진을 탑재하여 뛰어난 초기 가속력과 높은 최고 속도를 자랑했다. 특히 평지나 완만한 지형에서는 민첩하고 빠른 반응성을 보였다. 그러나 이 가스터빈 엔진은 연료 소비량이 매우 많았고, 장거리 작전에서 보급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또한 정비 측면에서도 가스터빈 엔진의 복잡성 때문에 특수 장비와 고급 정비 인력이 필요했으며, 엔진 내구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었다. 에이브람스는 화력 면에서 나쁘지 않은 평가를 받았지만, 레오파르트와 비교했을 때 이동 사격시 안정성과 명중률이 다소 열세였다.

종합적으로 스위스군은 레오파르트가 산악 지형 대응력, 장기 운용성, 유지보수 효율, 경제성 등에서 에이브람스보다 우수하다고 평가했다. 1983년 8월, 레오파르트가 경쟁에서 승리했고, 이에 따라 1984년, 스위스 연방의회는 레오파르트 2A4 380대의 도입을 공식 승인했다.
3.2.1.1. 테스트
1. 고속 기동 및 급제동 테스트
* 시험 목표
* 전차의 제동 거리를 측정하고, 제동력, 현가장치 안정성, 차체 제어 능력을 평가한다.
* 시험 조건
* 장소: 평지, 포장도로
* 기상: 건조, 기온 약 10℃~15℃
* 탑승 인원: 표준 인원 (4명)
* 탑재량: 최대 탄약 및 연료
* 방법: 정속주행 후 지시에 따라 제동
* 결과
<colbgcolor=#f00><colcolor=#fff><rowcolor=#fff> Leopard 2AV XM1 Abrams
최고 속력 약 68km/h 약 72km/h
제동 거리 약 32m 약 39m
차체 흔들림 작음 큼(전방 쏠림)
레오파르트는 더 낮은 속력으로 진입했지만 더 짧은 제동거리와 더 나은 안정성을 보여줬고, 에이브람스는 브레이크 성능은 우수했지만 제동 시 앞쪽으로 차체가 쏠리는 현상이 심해서 이 부분에서 감점당했다. 결과적으로 레오파르트가 더 나은 대응 능력을 가졌다고 평가받았다.

2. 기동 사격 중 명중률 테스트
* 시험 목표
* 주행 중 이동하는 표적에 대한 명중률과 주포 안정 능력을 평가
* 시험 조건
* 장소: 비포장 험지 코스(진흙 + 자갈)
* 속력: 25km/h~30km/h
* 표적: 1.5km 밖에서 15km/h 속력으로 이동 중인 차량
* 사격 횟수: 1대당 10발
* 탄종: 훈련용 연습탄
* 방법: 10발씩 사격하는 것을 수 회 반복
* 결과
<colbgcolor=#f00><colcolor=#fff><rowcolor=#fff> Leopard 2AV XM1 Abrams
10발 중 명중 8발 6발
초탄 명중률 90% 70%
포신 안정성 매우 높음 약간 흔들림
사통 속도 빠름 약간 지연
레오파르트는 포신의 완벽한 안정화로 매끄럽게 기동 사격을 수행했지만, 에이브람스는 초기 저율 생산분이었기 때문에 FCS가 아직 완벽하지 않아 스위스 기준보다 약간 느렸고, 포신이 미세하게 흔들려 명중률이 약간 저하됐다. 이 시험은 위의 제동 시험과 함께 레오파르트가 채택되는데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3. NBC 방호 능력 테스트
* 시험 목표
* 전차가 NBC(화생방) 공격에 노출되었을 때 얼마나 빠르게 NBC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지를 측정한다.
* 필터 작동 시간, 시스템 안정성, 승무원 대응 시간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 시험 조건
* 시나리오: 가스 공격[11]
* 측정 항목: 전차 밀폐 완료, 양압 시스템 작동까지 걸리는 시간
* 기온: 약 5℃, 습도 높음
* 차량 상태: 정상 작동 중 대기 상태
* 시험 결과
<colbgcolor=#f00><colcolor=#fff><rowcolor=#fff> Leopard 2AV XM1 Abrams
소요 시간 약 35초 약 50초
작동 지연 없음 약간 있음
양압 유지 양호 미세한 누출
레오파르트는 NBC 모드 전환이 빠르고, 필터 작동이 즉각적이었다. 하지만 에이브람스는 양압 시스템 가동에 약간의 지연이 있었고, 시험 중 1대에서는 경미한 누출이 발생했다.

4. 극저온 환경에서의 시동 및 주행 능력 평가
* 시험 목표
* 극저온 환경에서 얼마나 빨리 시동이 걸리고 정상적인 주행이 가능한 지 확인.
* 엔진 시동 능력, 기동성, 주요 유압/연료계통의 안정성을 평가한다.
* 시험 조건
* 장소: 스위스 고산지대, 해발 고도 약 1,000km
* 기온: 약 -25℃
* 전차 상태: 12시간 동안 야외에 방치
* 시험 절차
a. 시동 성공 여부 평가
a. 10분 내 주행 가능 여부 평가
a. 1km 주행 성능 평가
* 시험 결과
{{{#!wiki style="word-break: keep-all"
<colbgcolor=#f00><colcolor=#fff><rowcolor=#fff> Leopard 2AV XM1 Abrams
최초 시동 성공 1회 3회
시동 후 엔진 반응 양호 RPM 불안정
1km 주행 안정적 첫 200m 출력 불안정 }}} 레오파르트는 2대 다 안정적으로 시동을 걸고 주행할 수 있었지만 에이브람스는 1대만이 부분적으로 성공하고 나머지 1대는 시동이 걸리지 않아 외부 히터로 파워팩을 가열해주고 나서야 시동을 걸 수 있었다.








3.3. 도입

파일:판처87공장.jpg
툰 공장의 판처 87
첫 35대의 레오파르트 2는 뮌헨의 크라우스-마파이[12]에서 직접 생산되었으며 나머지는 콘트라베스를 주계약자로 삼아 스위스에서 라이센스 생산되었다.

독일에서 납품된 35대의 판처 87은 1987년에 수령되었고, 최초의 판처 87 부대는 1988년에 창설되었다. 생산은 스위스 오드넌스 엔터프라이즈 툰[13]에서 연간 72대씩 이루어졌으며 최종 납품은 1993년에 이루어졌다.

3.4. 운용

스위스는 소련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판처 87을 도입했지만 10년도 지나지 않아 소련이 망했고, 더이상 위협이랄게 없음에도 계획대로 끝까지 380대 전부를 생산했다. 소련 해체 이후 군축 분위기 속에 스위스도 판처 87을 134대까지 줄였고, 퇴역한 분량은 보관소에서 보관중에 있다. 판처 87은 판처 87WE로 개량되기 전까지 스위스 기갑부대의 주력이었다.

3.5. 개량

파일:Pz-87-Leopard-2-Early-Pz-87-WE-Prototype.jpg
판처 87WE의 프로토타입
판처 87WE는 스위스에서 계획된 Pz 87의 개량형이다. 개량형에서 레오파르트 2A6M의 지뢰 보호 키트[P], 스위스에서 개발한 티타늄 합금 장갑 패키지가 탑재되어 방호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포탑 상부 방어력이 향상되고 연막탄 발사기가 재설계되었다. 레오파르트 2A5와 유사한 포탑 전기 구동 장치, 운전자 후방 시야 카메라, 장전수용 12.7mm MG64 RWS[P], 향상된 제어 시스템 등 여러 개선으로 인해 생존성과 전투 능력이 향상되었다. 사통은 Carl Zeiss Optronics GmbH PERI-R17A2 사격 통제 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되었다. 

4. 레오파르트 2A4와의 차이점

파일:독2ㅁ4.jpg
독일 연방군 레오파르트 2A4
판처 87은 독일 연방군의 레오파르트 2A4와 유사하지만 세부적으로는 여러 차이점이 있다.
  • 스위스제 SE-235/m2+ 무전기 및 기타 통신장비
  • 7,5mm Pz Mg 87 공축기관총 및 7,5mm Kuppel MG 87 상부기관총
  • 개량된 운전석 해치
  • 아날로그 컴퓨터를 대신하는 디지털 컴퓨터
  • Deugra 화재/폭발 감지 및 진압 시스템
  • 개선된 NBC 방호장치
  • 유압식 궤도 장력 조절 장치
  • 조종수용 Baird 수동 야간 잠망경
  • 조종수용 포탑 경고 장치[16]

5. 형식

5.1. Pz 87

파일:Leopard-2-Pz-87-CHE-B-b_IMGP0516_Heiming.jpg
Panzer 87
기본형. 독일 연방군의 레오파르트 2A4와 기본 사양은 비슷하지만, 승무원 편의를 위한 장비들과 스위스의 환경과 지형에 특화된 장비들을 갖추었다.

5.2. Pz 87 WE

파일:Pz-87-WE-Leopard-2.jpg
Panzer 87 WE[17]
퇴역한 전차들을 제외한 134대의 판처 87을 개량한 버전. 생존성과 전투능력이 상승했다.

5.3. Pz 87-140

파일:87-140.jpg
Panzer 87-140
독일과 함께 진행한 140mm 업건 계획에서 스위스가 만든 버전이다.
파일:l123.png
Neuer Panzerkanone-140
NPzK라고도 불리는 140mm 주포는 RUAG에서 만들어졌다. Pfeil Pat Lsp, HL Pat MZ Lsp 두 가지 탄을 사용하며, Pfeil Pat Lsp의 관통력은 1,000mm에 육박한다. 이 주포는 판처 68에서 먼저 테스트되었다.

140mm 포의 성능은 출중했지만 반동이 너무 강해 포탑이 버텨내지 못했고, 결국 독일은 120mm 55구경장을, 스위스는 120mm 44구경장을 계속 사용하는 것으로 마무리되며 프로젝트는 취소된다.

5.4. Pz 87-140 WE

파일:image_2021_01_25t14_11_20_640z.png
Panzer 87-140 WE
Pz 87-140에 Pz 87 WE에 장착된 추가장갑 킷이 적용된 버전이다. 자세한 정보는 알려져 있지 않다.

6. 파생형

6.1. 조종훈련차량

파일:leopard-2-trainer-m-77094_7029337737_o.jpg
Pz 87 Fahrschulpanzer
조종훈련을 위해 만들어진 차량으로, 더미 포탑을 장착하였다. 차체에 1명의 훈련병과, 포탑에 1명의 교관과 2명의 훈련생들이 탑승한다.

6.2. 전투공병전차

파일:AEV3_1.jpg
Genie- und Minenräumpanzer Leopard Kodiak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EV 3 코디악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EV 3 코디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EV 3 코디악#|]][[AEV 3 코디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독일의 라인메탈 GmbH와 스위스의 RUAG가 합작 개발한 전투공병전차. 스위스군의 코디악은 Pz 87로 제작되었다.

7. 미디어

판처 87-140이 아머드 워페어에서 10티어 프리미엄 MBT로 등장한다.

8. 둘러보기

기갑차량 둘러보기
대전기(1914~1945) 냉전기(1945~1991) 현대전(1991~)




[1] 엔진 소음기 및 주포 길이 포함[2] 사이드스커트 포함[3] 신형 사이드스커트로 교체하면서 전폭이 소폭 늘어났다. 사이드스커트 미장착 시에는 3.42m로 같다.[4] 안테나 제외[5] 신형 사이드스커트로 교체하면서 1.5톤이 불었다.[6] M+77101 - M+77255[7] M+77256 - M+77480[8] Erprobungsträger[9] 저율 초기 생산(LRIP) 중이었기에 공식 명칭은 XM1이었다.[10] AMX-40의 프로토타입이 공개된 것은 몇 년 뒤인 1983년의 일이다.[11] 승무원은 마스크 착용 후 전차를 NBC 모드로 전환한다.[12] 1999년 1월 1일 크라우스-마파이 베그만으로 합병[13] (Swiss Ordnance Enterprise Thun) Eidgenössische Konstruktionswerkstätte Thun의 후신이자 RUAG Land Systems의 전신[P] 프로토타입에만 탑재[P] [16] 포탑 회전 등의 이유로 조종수가 다치는 것을 막기 위해 언제 해치를 열어도 좋은지 경고해준다.[17] "WertErhaltung" 가치 보존이라는 뜻으로 '베르테르할퉁'이라고 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