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BZ-191 191式自動步槍 191식 자동보창 | |||
<nopad>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돌격소총 | ||
원산지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이력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2019년~현재 | ||
생산 | 중국북방공업 | ||
사용국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태국| ]][[틀:국기| ]][[틀:국기| ]] | ||
기종 | |||
파생형 | QBZ-192 QBU-191 QBZ-195T | ||
제원 | |||
탄약 | 5.8×42mm DBP87 5.56×45mm NATO (QBZ-195T) | ||
급탄 | 30발들이 박스탄창 및 75발들이 드럼탄창 | ||
작동방식 | 숏 스트로크 가스압 작동 회전노리쇠 | ||
총열길이 | 267mm(PDW형) 368mm(돌격소총형) 551mm(DMR형) | ||
발사속도 | 750RPM | ||
유효사거리 | 300m(PDW형) 400m(돌격소총형) 800m(DMR형) | }}}}}}}}} |
[clearfix]
1. 개요
개발 과정을 설명한 CCTV 다큐멘터리 |
2. 상세
2.1. 개발사
중국군은 차세대 보병 통합 전투 시스템(单兵综合作战系统)을 위해 여러 보병장비를 미래 기준에 맞추려고 했다. 서방 선진 국가에서 광범위하게 채택하고 있는 정밀 광학 장비 및 기타 정밀 사격 보조 장치를 장착한 소총을 개발하려 했다. 그리하여 2014년 여러 군수업체-연구소를 대상으로 이 시스템에 통합될 차기소총안을 공모하였다. 2016년부터 여러 공모안들이 나오기 시작했고, 인터넷을 찾아보면 여러 프로토타입들의 모습이 보인다. 최종적으로는 노린코 소속의 208연구소의 공모안이 채택되었고, 2019년 공개되었다.QBZ-191은 정식제식명이고 외국어로 번역할 때 쓰이는 명칭이다. 중국 내부의 정식제식명은 ~식으로 끝나는 전통을 따라 "191식 자동보창(191式自动步枪)"이라고 한다.
2.2. 특징
|
|
기본형 외에 MAR같은 PDW형과 DMR형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QBZ-95와 같은 숏 스트로크 가스압 작동 방식이지만 QBZ-95의 낮은 정밀도로 인해 신뢰도가 낮았다면 QBZ-191는 신뢰성이 높다고 한다. 또한 5.8×42mm 탄도 개량하여 기존의 1795J에서 2000J로 강화되고 탄자의 탄심도 기존 4g에서 5g으로 늘어 관통력이 향상되어 전체적인 화력이 QBZ-95보다 높아졌다고 한다.
|
3. 파생형
- QBZ-192
카빈형으로, 총열의 길이가 짧아졌다.
- QBU-191
QBZ-191의 DMR 버전으로 QBU-88을 대체한다. 4-15배율 CS/OS20A 조준경을 사용하고 21.7인치 프리플로팅 배럴과 M-LOK 핸드가드가 장착되었다. 스틸 코어가 있는 매치 등급 탄약을 사용하지만 표준 5.8×42mm도 사용 가능하다. 자동사격 기능이 남아있지만 분대지원화기 역할을 위한 것은 아니며, QBZ-191과 QBU-191 둘 다 75연발 드럼탄창을 사용 할 수 있다.
- QBZ-195T
5.56×45mm NATO 탄을 사용하는 파생형으로, 태국군 특수부대가 채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에어소프트건
2023년에 E&L에 의해 페인트볼과 GBB로 발매가 결정되었다.# 2024년 3월에 ELT191이라는 상품명으로 발매되었다.#- 크리스탈 건
중국 수정탄총 메이커 Lehui에서 어린이용으로 약 90% 크기로 축소된 수정탄총 발매를 예고하고 있다.
5.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델타 포스(2024) - CI-19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 소녀전선 - 전술인형으로 등장한다. 자세한 내용은 QBZ-191(소녀전선)와 QBU-191(소녀전선) 문서 참조.
- 워페이스 - 라이플맨 무기로 등장.
- 콜 오브 듀티: 모바일 - Type 19라는 이름으로 개머리판이 약간 변형된 채로 등장한다.
- 페이데이 3 - 돌격소총으로 등장한다.
6.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현대의 중국 인민해방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colbgcolor=white,#191919>81식 자동소총, CQ 5.56, CQ-A5군경, QBZ-95, QBZ-03, QBZ-191, QTS-11 | |||
저격소총 | AMR-2, CS/LR3, CS/LR4, QBU-88, QBU-10, JS 7.62, T-5000 | |||||
기관단총 | CS/LS06, QCW/QCQ-05, CS/LS5, 79식 기관단총 | |||||
산탄총 | 97식 산탄총, QBS-09 | |||||
권총 | 77식 권총, QSZ-92/QSW-06 | |||||
지원화기 | 기관총 | QJY-88, QJZ-89, QBB-95, QJG-02 | ||||
유탄발사기 | QLZ-87, QLL/QLG-91, QLZ-04, QLB-06, QLG-10, QLU-11 | |||||
대전차화기 | PF 대전차화전통, DJZ-08, 69식 화전통, 슈지안, HJ-12 | |||||
박격포 | 86식 120mm 박격포, PP-87, PP-89, PP-93, QLT-89 | |||||
맨패즈 | FN-6, 치엔웨이 대공미사일 | |||||
유탄 | 인민해방군/수류탄 | |||||
지뢰 | 59식 대인지뢰 | |||||
특수전 화기 | APS, QBS-06 | |||||
냉병기 | 도검 | 65식 기병도, 중국군/냉병기, QSB-9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현대의 태국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TAR-21, 11식 자동소총, M16A1, M16A2, M16A4, CAR-15, 56식 자동소총, 갈릴 | |||
저격소총 | SR-25, SSG 3000, M14 | |||||
기관단총 | UZI | |||||
산탄총 | 레밍턴 M870, SPAS-12 | |||||
권총 | 86식 권총, 베레타 92F, P320, FN Five-seveN | |||||
지원화기 | 기관총 | FN 미니미, M249, 네게브, HK21, 56식 분대 기관총, MAG 58, M60, M134, 93식 기관총, 54식 중기관총 | ||||
유탄발사기 | 베레타 GLX-160, M203, M79, BTS-203, Mk.19 고속유탄기관총 | |||||
대전차화기 | M72 LAW, M47 드래곤, BGM-71 TOW, RPG-2, 69식 화전통, 칼 구스타프 M2, M40 무반동포 | |||||
박격포 | M1 박격포, M29 박격포, M2 박격포, M19 박격포, M121A1/A2 박격포, M121A3 코만도 박격포 | |||||
맨패즈 | 9K38 이글라-S, HN-5A | |||||
특수전 화기 | 돌격소총 | SCAR-L, SCAR-H, M4A1, AUG, G36, SAR-21, AK-102, QBZ-195T | ||||
기관단총 | MP5, UMP, FN P90, KRISS Vector | |||||
권총 | USP | |||||
유탄발사기 | EGLM | |||||
치장/의장/예비용 화기 | M1 개런드, M1 카빈, M2 카빈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