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새치자리#발견된 천체|황새치자리의 천체{{{#!wiki style="font: Italic bold 1em/1.5 Times New Roman, serif; color: #FFF"]]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 바이어 명칭 순 | |||
알파성 황새치자리 알파B α Dor | 베타성 황새치자리 베타 β Dor | 감마성 황새치자리 감마 γ Dor | 델타성 황새치자리 델타 δ Dor | |
엡실론성 황새치자리 엡실론 ε Dor | 제타성 황새치자리 제타 ζ Dor | 에타성 황새치자리 에타1·2 η Dor | 세타성 황새치자리 세타 θ Dor | |
카파성 황새치자리 카파 κ Dor | 람다성 황새치자리 람다 λ Dor | 누성 황새치자리 누 ν Dor | 파이성 황새치자리 파이1·2 π Dor | |
B: 가장 밝은 항성, 숫자: 플렘스티드 명칭 | ||||
플램스티드 명칭 순 | ||||
황새치자리 1 | 황새치자리 30 | 황새치자리 36 | 황새치자리 40 | |
황새치자리 50 | 황새치자리 60 | 황새치자리 70 | 황새치자리 80 | |
B: 바이어 명칭에 있는 항성, 취소선: 항성이 아닌 것 | ||||
변광성 명칭 순 | ||||
황새치자리 R | 황새치자리 S* | 황새치자리 AB | ||
그 외 황새치자리에 속한 항성* | ||||
황새치자리 G | W61 7-8? | - | - | |
*: 황새치자리 S를 제외한 대마젤란은하 내부에 위치해 있는 별들은 대마젤란은하/항성 문서를 참고 ?: 소속 은하 여부가 확실하지 않은 별 |
}}}
- [ 심원천체 ]
틀:별자리 · 황새치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
R136 | ||
<bgcolor=black>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5h 38m 42.396s |
적위 | -69° 06′ 3.36″ |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산개성단[1] | |
거리 | 약 157,000 광년 48,500 파섹 | |
광학적 성질 | ||
겉보기 등급 | +9.5 | |
규모 | ||
지름[2] | 33 광년[3] | |
겉보기 크기 | 20" × 20" | |
명칭 | ||
UCAC2 1803442, SAO 249329, HD 38268, TYC 9163-1014-1, CD-69 324, GC 7114 |
1. 개요
R136R136은 대마젤란 은하 안에 있는 독거미 성운에 속한 산개성단으로 여러개의 O형 주계열성과 볼프–레이에별이 성단 중심 5파섹 안에 있고 무거운 항성으로 유명한 R136a1도 여기에 속한다.
2. 상세
대마젤란 은하의 타란툴라 성운 안에 있는, 폭발적 항성생성(스타버스트)에 의해 탄생된 고밀도의 성단이다.[4] 성단의 총 질량은 약 45만 태양질량으로 추정되며 이후 구상성단으로 진화할 예정이다. 현재 이 성단의 나이는 각각의 항성들의 진화 상태를 보아 200만 년 이내로 추정되고, 그래서 구성원의 대부분이 O형 항성 또는 볼프-레이에별이다. 어려서 아직 초신성 폭발을 겪지 않았다. 중심 5파섹[5] 안에 볼프–레이에별 12개와 O형 별 72개가 있고 150파섹[6] 안에 볼프–레이에별 19개와 O형 별 325개가 더 있다.이 성단의 일부분인 R136a는 볼프–레이에별 3개와 O형 별 5개로 구성되어 있다.
2.1. 소속 항성
- R136a1 볼프 레이에별
- R136a2 볼프 레이에별
- R136a3 볼프 레이에별
- R136a4 O형 별
- R136a5 O형 별
- R136a6 O형 별
- R136a7 청색 거성
- R136a8 O형 별
- R136b 볼프 레이에별
- R136c 볼프 레이에별
황새치자리 30 016[7] 청색초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