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새치자리#발견된 천체|황새치자리의 천체{{{#!wiki style="font: Italic bold 1em/1.5 Times New Roman, serif; color: #FFF"]]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 바이어 명칭 순 | |||
알파성 황새치자리 알파B α Dor | 베타성 황새치자리 베타 β Dor | 감마성 황새치자리 감마 γ Dor | 델타성 황새치자리 델타 δ Dor | |
엡실론성 황새치자리 엡실론 ε Dor | 제타성 황새치자리 제타 ζ Dor | 에타성 황새치자리 에타1·2 η Dor | 세타성 황새치자리 세타 θ Dor | |
카파성 황새치자리 카파 κ Dor | 람다성 황새치자리 람다 λ Dor | 누성 황새치자리 누 ν Dor | 파이성 황새치자리 파이1·2 π Dor | |
B: 가장 밝은 항성, 숫자: 플렘스티드 명칭 | ||||
플램스티드 명칭 순 | ||||
황새치자리 1 | 황새치자리 30 | 황새치자리 36 | 황새치자리 40 | |
황새치자리 50 | 황새치자리 60 | 황새치자리 70 | 황새치자리 80 | |
B: 바이어 명칭에 있는 항성, 취소선: 항성이 아닌 것 | ||||
변광성 명칭 순 | ||||
황새치자리 R | 황새치자리 S* | 황새치자리 AB | ||
그 외 황새치자리에 속한 항성* | ||||
황새치자리 G | W61 7-8? | - | - | |
*: 황새치자리 S를 제외한 대마젤란은하 내부에 위치해 있는 별들은 대마젤란은하/항성 문서를 참고 ?: 소속 은하 여부가 확실하지 않은 별 |
}}}
- [ 심원천체 ]
틀:별자리 · 황새치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
구분 | 항성 |
적경 | 05° 38' 42.40" |
적위 | −69° 06′ 02.88" |
형태 | 볼프 레이에별 |
분광형 | WN5h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지름(태양 기준) | 31.66 |
밝기(태양 기준) | 5,623,000 |
질량(태양 기준) | 180 |
거리 | 165,000광년(50,000파섹) |
온도 | 50000 |
겉보기 등급 | 13.97 |
절대 등급 | -12.13[1] |
청새치자리의 볼프 레이에별.
1. 개요
R136a2독거미 성운의 R136 산개성단에 위치한 볼프 레이에별이다.
현재 발견된 항성 중 5번째로 무겁고 2번째로 밝다.
2. 상세
2010년 7월, 영국 셰필드대학의 천체물리학과 폴 크라우서 관측단이 발견했다.R136 산개성단에서 불과 약 5파섹[2]의 반경 안에 매우 높은 질량의 별이 다수 발견되었다.
R136 산개성단은 크게 R136a, R136b, R136c의 3개 그룹으로 나눌 수 있는데, 그중 가장 큰 R136a 그룹에서 R136a2는 3번째로 무겁고 2번째로 밝은 별이다.(가장 밝은 별과 두번째로 밝은 별이 한 그룹에 있는 것)
나이는 120만년 내외로 태양에 비해 상대적으로 젊어 보이지만,
질량이 클수록 별의 수명은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질량 대비 이미 중년의 나이를 지난 것으로 보인다.
3. 최후
태양의 150배 이상의 무거운 별은 일반 초신성의 100배 이상의 에너지를 방출하는 극초신성 그리고 Ic형 형태의 죽음을 맞이할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이 별의 질량은 매우 커서, 연료부족으로 중심핵이 수축되기 전에 쌍불안정형 초신성의 형태로 최후를 맞이할 것으로 보인다.R136a2가 최후를 맞는다면 중심부에 블랙홀이 남을 것이다.
하지만 별까지의 거리가 아주 먼 탓에 우리 눈으로 폭발하는 R136a2를 관측하기 힘들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