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9 02:19:57

슈퍼바이크 월드 챔피언십

SBK에서 넘어옴
Superbike World Championship
파일:Superbike_World_Championship_logo_(2022).svg.png
정식 명칭 FIM Superbike World Championship
한글 명칭 FIM 슈퍼바이크 월드 챔피언십
창설 1988년
컨스트럭터 BMW, 두카티, 혼다, 가와사키, 야마하
타이어 공급업체 피렐리
2023 라이더 월드
챔피언
아루바잇 레이싱 두카티 팀 (이탈리아)
알바로 바티스타 (스페인)
2023 팀 월드 챔피언 아루바잇 레이싱 두카티 팀 (이탈리아)
2023 컨스트럭터 챔피언 두카티 (이탈리아)
공식 웹사이트 홈페이지

파일:2023-08-WSBK-Most-11920.jpg
파일:1366_2000_0.jpg
파일:csm_2022_06_WSBK_Most_09645_04a5425b1b.jpg

1. 개요2. 특징3. 역대 챔피언4. 기타

1. 개요

파일:wsbk.jpg
전무후무의 6회 연속 월드 챔피언을 달성한 WSBK 역사상 최고의 라이더 중 한 명인 조나단 레아(Jonathan Rea)
2023 프로메테온 이탈리안 라운드(Prometeon Italian Round) 하이라이트[1]
2023 프로메테온 스패니시 라운드(Prometeon Spanish Round) 하이라이트[1]

모토 GP에 버금가는 세계 최고 클래스의 모터사이클 스프린트 레이싱 대회. 일반적으로 모토 GP보다는 한 수 아래로 취급받는 경향이 크지만 그렇다고 WSBK의 위상이 낮아지는 건 아니며, 두말할 것 없는 전 세계 최상위권 모터스포츠 중 하나다.

4스트로크의 2·3·4기통 엔진을 탑재한 양산형 바이크를 사용해 단거리 레이스를 펼치며,[3] 약칭은 WorldSBK, SBK, World Superbike, WSBK 등이다.

2. 특징

1949년에 창설된 모토 GP에 비하면 역사는 꽤 짧아서 1988년부터 시작되었다. 전 AMA[4] 라이더인 스티브 맥러플린(Steve McLaughlin)[5]이 차종이 다양한 4스트로크 엔진의 시판용 바이크를 사용한 레이스로서 발안하였고, 1988년부터 FIM 공인 레이스로 개최되고 있다.

상술했듯 모토 GP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바이크의 차이. 경주용으로만 쓰기 위해 엔진부터 섀시까지 모두 특별히 제작한 프로토타입 바이크를 사용하는 모토 GP와 달리 WSBK는 레이스 전용으로 개발된 바이크가 아니라 시판용 바이크를 기반으로 한 개조 바이크로 레이스를 진행한다. 모토 GP가 자동차 레이스의 F1에 비견된다면, WSBK는 GT 월드 챌린지 유럽[6] 등의 스포츠카 레이싱[7]과 유사하다 할 수 있다. 하지만 자동차 레이스에 비해 동일한 서킷에서의 랩 타임의 차이는 매우 근소하고, 조건에 따라 모토 GP 머신의 랩 타임을 능가하기도 한다.

레이스는 전 세계 12개국의 유명 서킷을 순회하며 개최되는 형식으로 이루어지며, 연간 13라운드 전후로 진행된다. 바이크뿐만이 아니라 레이스 방식에 있어서도 모토 GP와의 차별화가 도모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큰 차이가 바로 하나의 대회에 있어서 복수의 결승 레이스가 행해지는 것이다. 각 라운드에는 2개의 전체 길이 레이스가 있으며, 2019년부터는 슈퍼폴 레이스(Superpole race)로 알려진 10랩 스프린트 레이스가 추가되었다. 3가지 경주의 결과를 종합하여 매년 2개의 월드 챔피언(라이더/제조업체)이 결정된다.

표창식에서는 우승한 라이더의 국가와 함께 우승 차량의 제조업체의 국가가 흘러나오는 것도 슈퍼바이크 월드 챔피언십의 특징이다.

※MotoGP와 WSBK의 차이###

3. 역대 챔피언[8]

연도 드라이버 드라이버의 팀 컨스트럭터
1988 Fred Merkel Honda Honda
1989 Fred Merkel Honda Honda
1990 Raymond Roche Ducati Honda
1991 Doug Polen Ducati Ducati
1992 Doug Polen Ducati Ducati
1993 Scott Russell Kawasaki Ducati
1994 Carl Fogarty Ducati Ducati
1995 Carl Fogarty Ducati Ducati
1996 Troy Corser Ducati Ducati
1997 John Kocinski Honda Honda
1998 Carl Fogarty Ducati Ducati
1999 Carl Fogarty Ducati Ducati
2000 Colin Edwards Honda Ducati
2001 Troy Bayliss Ducati Ducati
2002 Colin Edwards Honda Ducati
2003 Neil Hodgson Ducati Ducati
2004 James Toseland Ducati Ducati
2005 Troy Corser Suzuki Suzuki
2006 Troy Bayliss Ducati Ducati
2007 James Toseland Honda Yamaha
2008 Troy Bayliss Ducati Ducati
2009 Ben Spies Yamaha Ducati
2010 Max Biaggi Aprilia Aprilia
2011 Carlos Checa Ducati Ducati
2012 Max Biaggili Aprilia Aprilia
2013 Tom Sykes Kawasaki Aprilia
2014 Sylvain Guintoli Aprilia Aprilia
2015 Jonathan Rea Kawasaki Kawasaki
2016 Jonathan Rea Kawasaki Kawasaki
2017 Jonathan Rea Kawasaki Kawasaki
2018 Jonathan Rea Kawasaki Kawasaki
2019 Jonathan Rea Kawasaki Kawasaki
2020 Jonathan Rea Kawasaki Kawasaki
2021 Toprak Razgatlioglu Yamaha Yamaha
2022 Alvaro Bautista Ducati Ducati
2023 Alvaro Bautista Ducati Ducati
2024 Toprak Razgatlioglu BMW Ducati

4. 기타

파일:47395771.jpg
2023 프로메테온 이탈리안 라운드(Prometeon Italian Round)

유럽은 슈퍼바이크 월드 챔피언십의 전통적인 중심지이자 주도적인 시장이며 스페인, 네덜란드, 이탈리아, 영국, 체코, 포르투갈, 프랑스 등 수많은 나라에서 라운드가 열린다. 현재는 미국,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캐나다,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러시아, 카타르, 태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의 서킷에서도 라운드가 개최되고 있다.

유명한 레이서로는 조나단 레아, 알바로 바티스타, 트로이 베일리스, 칼 포가티 등이 있다. 흥미롭게도 F1에서 인디카나 다른 카테고리로 넘어가는 레이서들이 있는 것처럼, WSBK에도 모토GP에서 활동하다가 WSBK로 넘어온 라이더들이 있어서 이들의 레이스를 보는 재미 또한 WSBK의 특징이다. 알바로 바티스타 역시 모토GP에 있다가 2019년 WSBK로 넘어왔는데 수 년의 노력 끝에 기어코 2022년과 2023년 연속으로 월드 챔피언을 달성하는 기염을 토했다.[9]

역대 챔피언을 보면 알겠지만 두가티가 레이싱에 목숨을 걸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혼다는 시판용 슈퍼바이크의 시초답게 초반 강세였지만 이후 모토gp에 더 집중하는 모양세. 야마하도 간간히 해내지만 모토gp에 더 집중하는 듯 하고. 가와사키는 2010년 중반에 한을 풀었다. 안습의 스즈키... BMW는 스천알 시판 이후 WSBK에 뛰어들어 2024년 짧은 시간만에 우승을 차지했다.


[1] 왼쪽부터 레이스 1, 슈퍼폴 레이스, 레이스 2[1] 왼쪽부터 레이스 1, 슈퍼폴 레이스, 레이스 2[3] 장거리는 24시 모토스(르망 24시), 스즈카 8시간 내구 레이스 등이 속한 FIM 인듀어런스 월드 챔피언십에서 한다.[4] 미국 모터사이클리스트 협회(American Motorcyclist Association)[5] AMA 슈퍼바이크 시리즈의 초기 스타 중 한 명이다.#[6]FIA GT(그랜드 투어러) 챔피언십[7] 당연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스포츠카 레이싱이란 양산차 기반의 GT 레이스카를 사용하는 레이스를 뜻하며, 처음부터 경주용으로 제작된 스포츠 프로토타입 레이스카를 쓰는 레이스는 해당되지 않는다. 애초에 일반적으로 떠올리는 스포츠카와 모터스포츠에서의 스포츠카는 개념이 약간 다르다. 그랜드 투어러(모터스포츠), 스포츠카, 프로토타입 항목 참조.[8] 출처: https://www.worldsbk.com/en/results%20statistics/champions[9] 이로서 바티스타는 1994~1995년, 1998~1999년 두 번에 걸쳐 2년 연속 월드 챔피언을 달성한 칼 포가티 이후 자신의 월드 챔피언 타이틀을 방어하는 데 성공한 최초의 두카티 라이더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