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닉 뱅크스 마크 웨버 {{{-2 {{{#!folding [ 구 멤버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fff,#fff {{{#!folding [ 디스코그래피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 | |||
1983.04.18 | 1987.05.11 | 1992.06.19 | 1994.04.18 | |
1995.10.30 | 1998.03.30 | 2001.10.22 | }}}}}}}}}}}}}}}}}} |
This Is Hardcore의 주요 수상 | |||||||||||||||||||||||||||||||||||||||||||||||||||||||||||||||||||||||||||||||||||||||
|
This Is Hardcore | |
| |
<colbgcolor=#080708><colcolor=#eba0b6> 발매일 | 1998년 3월 30일 |
녹음일 | 1996년 11월 - 1998년 1월 |
장르 | 아트 록 |
재생 시간 | 69:48 |
곡 수 | 12곡 |
프로듀서 | 크리스 토마스 |
스튜디오 | 타운하우스, 올림픽 스튜디오 |
레이블 | 아일랜드 레코드 |
1. 개요
1998년 3월 30일 발매된 펄프의 여섯 번째 스튜디오 앨범.2. 상세
1998년 발매 당시는, 브릿팝이 종말을 맞이하고 세기말적 우울함이 음악 산업 전반에 두드러지던 시점이었다. 30대 중반에 들어서고 있었던 자비스 코커 역시 코카인 중독에 시달리고 있었고, 성공으로 인한 대외적인 유명세에 지쳐 있었다.이러한 배경은 팝적인 색채가 옅어지고 아트 록, 글램 록 성향이 강해지는 데에 영향을 주었다. 브릿팝 시기 펄프를 스타덤으로 이끌었던 신스 사운드와 디스코 리듬은 거의 사라진 반면, 헤비한 기타 사운드와 현악이 앨범 전면에 배치되었다.
가사에서도 성적인 내용이 줄어들고[1], 펄프 특유의 유머가 적어진 반면 감상적이며 내면에 집중하는 면모가 강해진 편. 주제도 마약 중독에 대한 휴유증, 실패한 부모 노릇[2], 나이듦에 대한 자조, 과거의 연인에 대한 그리움 등 대체적으로 자비스 코커의 개인사와 연관된 지점이 많다.
앨범은 평론가들에게 호평을 받았지만 브릿팝적인 색채가 옅어지고 브릿팝 시기 이후 밴드의 우울함이 부각된 스타일 때문인지 전작만큼의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3]
앨범 아트는 조이 디비전과 뉴 오더의 아트워크를 담당한 것으로 널리 알려진 피터 새빌이 디자인한 것이다.
3. 평가
|
7.8 / 10.0 |
|
3.77 / 5.00 |
This Is Hardcore의 전문가 평점 | |
매체 | 평점 |
AllMusic | 4.5/5 |
Chicago Tribune | 3.5/4 |
Entertainment Weekly | A- |
The Guardian | ★★★★☆ |
Los Angeles Times | 3.5/4 |
NME | 7/10 |
Q | ★★★★☆ |
Rolling Stone | ★★★★☆ |
The Rolling Stone Album Guide | ★★★☆☆ |
SPIN | 8/10 |
4. 트랙리스트
트랙리스트 | ||
# | 제목 | 길이 |
1 | The Fear | 5:35 |
2 | Dishes | 3:30 |
3 | Party Hard | 4:00 |
4 | Help the Aged | 4:28 |
5 | This Is Hardcore | 6:25 |
6 | TV Movie | 3:25 |
7 | A Little Soul | 3:19 |
8 | I'm a Man | 4:59 |
9 | Seductive Barry | 8:31 |
10 | Sylvia | 5:44 |
11 | Glory Days | 4:55 |
12 | The Day After the Revolution | 14: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