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4 14:21:41

This Is Hardcore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파일:Pulp Logo.png

닉 뱅크스
마크 웨버

{{{-2 {{{#!folding [ 구 멤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fff,#fff {{{#!folding [ 디스코그래피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
파일:펄프1집.jpg
파일:펄프2집.jpg
파일:펄프3집.jpg
파일:펄프4집.jpg

1983.04.18

1987.05.11

1992.06.19

1994.04.18
파일:different class-1995.jpg
파일:This Is Hardcore.jpg
파일:펄프7집.jpg

1995.10.30

1998.03.30

2001.10.22
}}}}}}}}}}}}}}}}}}
This Is Hardcore의 주요 수상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피치포크가 2017년 선정한 "50대 브릿팝 앨범"의 리스트이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파일:different class-1995.jpg
파일:Parklife.jpg
파일:thebends.jpg
파일:(What's The Story) Morning Glory?.webp
파일:Dog man star.jpg
펄프 블러 라디오헤드 오아시스 스웨이드
Different Class Parklife The Bends (What's The Story) Morning Glory? Dog Man Star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파일:Elastica- Elastica.webp
파일:This Is Hardcore.jpg
파일:blur blur.jpg
파일:Definitely Maybe.jpg
파일:urban hymns-1997.jpg
엘라스티카 펄프 블러 오아시스 버브
Elastica This Is Hardcore Blur Definitely Maybe Urban Hymns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파일:His 'N' Hers.jpg
파일:i-should-coco.jpg
파일:71rvL3y5KlL._SL1500_.jpg
파일:the la's.jpg
파일:when-i-was-born-for-the-7th-time.jpg
펄프 슈퍼그래스 스웨이드 더 라스 코너샵
His 'n' Hers I Should Coco Suede The La's When I Was Born for the 7th Time
16위부터는 링크 참조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bbb><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800080><width=90>
파일:All-Time_Top_1000_Albums_(1st_Edition).jpg
|| 올 타임 탑 1000 앨범
824위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bbb><tablebgcolor=#fff,#191919><width=90><#b18904>
파일:All-Time_Top_1000_Albums_(1st_Edition).jpg
|| 올 타임 탑 1000 앨범
2000년 824위 ||

파일:nme500album.jpg
NME 선정 500대 명반
166위

파일:멜로디 메이커 로고.png
멜로디 메이커 선정 100대 명반
98위

파일:1001 Albums You Must Hear Before You Die.jpg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This Is Hardcore
파일:This Is Hardcore.jpg
<colbgcolor=#080708><colcolor=#eba0b6> 발매일 1998년 3월 30일
녹음일 1996년 11월 - 1998년 1월
장르 아트 록
재생 시간 69:48
곡 수 12곡
프로듀서 크리스 토마스
스튜디오 타운하우스, 올림픽 스튜디오
레이블 아일랜드 레코드
1. 개요2. 상세3. 평가4. 트랙리스트
[clearfix]

1. 개요

1998년 3월 30일 발매된 펄프의 여섯 번째 스튜디오 앨범.

2. 상세

1998년 발매 당시는, 브릿팝이 종말을 맞이하고 세기말적 우울함이 음악 산업 전반에 두드러지던 시점이었다. 30대 중반에 들어서고 있었던 자비스 코커 역시 코카인 중독에 시달리고 있었고, 성공으로 인한 대외적인 유명세에 지쳐 있었다.

이러한 배경은 팝적인 색채가 옅어지고 아트 록, 글램 록 성향이 강해지는 데에 영향을 주었다. 브릿팝 시기 펄프를 스타덤으로 이끌었던 신스 사운드와 디스코 리듬은 거의 사라진 반면, 헤비한 기타 사운드와 현악이 앨범 전면에 배치되었다.

가사에서도 성적인 내용이 줄어들고[1], 펄프 특유의 유머가 적어진 반면 감상적이며 내면에 집중하는 면모가 강해진 편. 주제도 마약 중독에 대한 휴유증, 실패한 부모 노릇[2], 나이듦에 대한 자조, 과거의 연인에 대한 그리움 등 대체적으로 자비스 코커의 개인사와 연관된 지점이 많다.

앨범은 평론가들에게 호평을 받았지만 브릿팝적인 색채가 옅어지고 브릿팝 시기 이후 밴드의 우울함이 부각된 스타일 때문인지 전작만큼의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3]

앨범 아트는 조이 디비전뉴 오더의 아트워크를 담당한 것으로 널리 알려진 피터 새빌이 디자인한 것이다.

3. 평가

파일:피치포크 로고.svg파일:피치포크 로고 화이트.svg
7.8 / 10.0

파일:rym1.png Rate Your Music
3.77 / 5.00

This Is Hardcore의 전문가 평점
매체 평점
AllMusic 4.5/5
Chicago Tribune 3.5/4
Entertainment Weekly A-
The Guardian ★★★★☆
Los Angeles Times 3.5/4
NME 7/10
Q ★★★★☆
Rolling Stone ★★★★☆
The Rolling Stone Album Guide ★★★☆☆
SPIN 8/10

4. 트랙리스트

트랙리스트
# 제목 길이
1 The Fear 5:35
2 Dishes 3:30
3 Party Hard 4:00
4 Help the Aged 4:28
5 This Is Hardcore 6:25
6 TV Movie 3:25
7 A Little Soul 3:19
8 I'm a Man 4:59
9 Seductive Barry 8:31
10 Sylvia 5:44
11 Glory Days 4:55
12 The Day After the Revolution 14:56

[1] 다만, 앨범의 제목과 동명의 타이틀 곡은 아마추어 섹스 비디오를 찍는다는 내용이다.[2] 자비스 코커의 아버지 맥 코커는 자비스가 7살이던 시절, 가족을 버리고 호주로 이민을 갔다.[3] 그렇다고 이 앨범이 아예 쪽박을 찬 건 아니다. 전작 버프가 워낙 대단했기에 발매하자마자 영국 차트 1위를 차지했고 최종적으로 골드를 따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