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7 15:04:17

Weird Fishes/Arpeggi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파일:irain.jpg
In Rainbows
트랙리스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목 러닝타임
1 <colbgcolor=#fff,#191919>15 Step <colbgcolor=#fff,#191919><colcolor=#191919,#fff> 3:58
2 Bodysnatchers 4:02
3 Nude 4:15
4 Weird Fishes/Arpeggi 5:18
5 All I Need 3:49
6 Faust Arp 2:10
7 Reckoner 4:50
8 House of Cards 5:28
9 Jigsaw Falling into Place 4:09
10 Videotape 4:40
파일:Radiohead Cyan.png
}}}}}}}}} ||
Weird Fishes/Arpeggi
<colbgcolor=#000><colcolor=#FFF> 앨범 발매일 2007년 10월 10일
녹음일 2005년 5월 - 2007년 6월
장르 아트 록, 일렉트로니카
러닝 타임 5:18
프로듀서 나이젤 고드리치
수록 앨범
레이블 파일:1200px-XL_Recordings_Logo.svg.png XL 레코딩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1. 개요2. 상세3. 가사

[clearfix]

1. 개요

뮤직 비디오(다소 기괴함)[1] From the Basement 버전
2005 오케스트라 버전 Bonnaroo 2006 라이브
2007년 발표된 라디오헤드의 7집 In Rainbows의 네 번째 트랙.

2. 상세

간단한 드럼 비트를 시작으로 하나씩 악기를 쌓아올리는 형식으로 이루어진 곡으로, 싱글로 발매되지 않았음에도 앨범 내에서 가장 인기 많은 곡 중 하나이며 롤링 스톤 2007년 최고의 노래 17등에도 선정되는 등 앨범 내에서 가장 좋은 평가를 받는 노래 중 하나이다.

조니가 작곡한 곡을 톰이 가져와 가사를 붙여 만든 노래로, 곡의 가사는 최소한 2004년부터 라디오헤드 공식 웹사이트 곳곳에 출현했다. 초창기 곡은 보다 간단하고 공허한 음색이 특징이라면 이 버전은 가볍고 건조한 드럼과 오락가락하는 기타 리프를 보여준다. 가사는 물고기가 바다를 내려다보며 왜 그가 살아가야 하는지 생각하는 것에 관한 내용이다.

폴리리듬이 강조된 곡 중 하나인데 드럼은 4/4 박자로 연주되고 있지만 기타 파트들은 각각 3/8, 5/8 박자로 연주되고 있다. 다만 계속해서 엇박으로 쭉 진행되는 것은 아니고 어느 타임에서 박자가 맞아 떨어지는 구간이 생기는 구조이다.[2] 디스토션을 배제한 기타 사운드, 그리고 복잡한 편곡과 달리 솔로 연주는 배제하고 반복적인 리프가 강조되는 곡이기도 하다보니 유독 매스 록스럽다는 평을 받기도 한다.

의외로 에드 오브라이언의 목소리가 녹음된 몇 안 되는 곡인데, 그가 부르는 배킹 보컬이 마치 자신의 이름을 "EEEDDDDD" 하고 길게 소리치는 것처럼 들리는 것이 팬들 사이에 밈으로 자리잡았다. 2020년 진행된 레딧 AMA(Ask Me Anything)에서 본인은 이 밈에 대해 몰랐으나,[3] Let Down과 함께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곡이라고 답했다.[4]

3. 가사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F Pro Display, HelveticaNeue, Arial, sans serif"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gcolor=#852b1a>
파일:irain.jpg
}}}}}}
In the deepest ocean
가장 깊은 바다 속
The bottom of the sea
바다의 밑바닥에서
Your eyes
너의 눈이
They turn me
내 발걸음을 돌려
Why should I stay here?
왜 내가 여기 머물러야 하지?
Why should I stay?
왜 머물러야 하지?

● ● ●

I'd be crazy not to follow
안 따라가면 미치겠어
Follow where you lead
네가 이끄는 곳으로
Your eyes
너의 눈이
They turn me
내 발걸음을 돌려

Turn me on to phantoms
나를 유령들에게 보내
Way out
탈출구
I follow to the edge
난 끝까지 따라가
Way out
탈출구
Of the earth
지구 끝까지
Way out
탈출구
And fall off
그리고 떨어져

Yeah, everybody leaves
그래, 누구나 떠나지
Way out
탈출구
If they get the chance
기회를 얻는다면
Way out
탈출구
And this
그리고 이게
Way out
탈출구
Is my chance
나의 기회야

I get eaten by the worms
난 벌레들에게 먹혀
And weird fishes
이상한 물고기들에게도
Picked over by the worms
벌레들이 날 집어들지
And weird fishes
이상한 물고기들도
Weird fishes
이상한 물고기들
Weird fishes
이상한 물고기들

● ● ●

Yeah, I
그래, 난
I'll hit the bottom
난 바닥에 닿을 거야
Hit the bottom and escape
바닥을 박차고 도망칠 거야
Escape
도망칠 거야
I

I'll hit the bottom
난 바닥에 닿을 거야
Hit the bottom and escape
바닥을 박차고 도망칠 거야
Escape
도망칠 거야

Written By: Radiohead


[1] AniBOOM에서 공식적으로 주최한 In Rainbows 애니메이션 콘테스트에서 당선된 뮤직비디오이며 제작자는 Tobias Stretch이다. 기괴한 인형들은 영상 제작자 특유의 스타일이다.[2] 사실 이것도 라이브에서 간소화된 코드를 기반으로 분석한 것이고 음원은 워낙에 많은 레이어가 쌓여서 제대로 된 분석이 굉장히 어렵다.[3] 당연하지만 진짜로 EEEDD라고 외친 것은 아니고 후술할 가사 문단을 보면 알 수 있듯 Way out이라고 부른 것이다..[4] 공교롭게도 둘 다 EEEEEDDDDD 밈의 대표적인 곡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6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6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