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아체}}}에 대한 내용은 [[아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아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아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아체: }}}[[아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아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아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
문장의 끝 글자의 초성이 이응(ㅇ)이 아니고 받침이 없을 경우에 같은 모음을 가지고 초성이 이응(ㅇ)인 글자를 하나 덧붙여 쓰는 말투다. 즉 '~ㅏ'로 끝나는 문장이 아니더라도 쓰일 수 있지만 '~ㅏ'로 끝나는 문장이 아니지만 사용하고 싶을 때에 '~ㅏ'로 끝나는 문장으로 바꾸어 쓰는 일이 많기 때문에 이름이 '~아체'인 것이다. 이 말투는 실제로 대화할 때에는 쓰기 어렵고 알아듣기도 어려운 말투다. 보통 사적인 문자 매체에서 쓰이는 것이다. 과도하거나 부담스럽지 않으면서 애교스럽거나 부드러워 보이는 문체다.2. 사용법
2.1. '~ㅏ'로 끝나는 문장일 때
무척 간단하다. 문장의 끝에 '아'를 붙이면 되는 것이다.2.2. '~ㅏ'가 아닌 받침이 없는 글자로 끝나는 문장일 때
중성이 단모음일 경우에는 같은 모음을 가지는 초성이 이응(ㅇ)인 글자를 하나 덧붙이면 된다.단, 예외가 있다. '~ㅐ'로 끝나는 문장의 경우 '애'가 아닌 '에'를 붙이는 경우가 많다.그래에
거기 엄청 맛있대에
이중모음일 경우에는 끝 발음인 글자를 덧붙이면 된다.거기 엄청 맛있대에
그 영화 슬프냐아
나도 해줘어
빨리 이리로 와아
이 경우도 'ㅐ'발음으로 끝나면 '에'를 붙인다.나도 해줘어
빨리 이리로 와아
왜에?
2.3. 끝 글자가 받침이 있거나 초성이 이응(ㅇ)인 경우
문장을 변형하여 사용한다. 평소에 쓰던 말투를 다른 말투로 바꾸는 것이다.나 숙제 끝났어. → 나 숙제 끝났다아
3. 이 문체의 특성을 부각시키는 방법
끝으로 붙이는 글자를 여러 번 넣는 것이다.끝났다아아아아
흑흑 슬프다아아아
흑흑 슬프다아아아
4. 유사한 말투
영어에서도 자주 쓰이지는 않지만 유사한 경우가 있다. 문장의 끝이 아니더라도 쓰이기도 한다.Hellooooooo
Hiiiii!!!!
Yessssssssssssssssssss
I'm sooooo happy
GOOOOOOOOOOOOOGLE
I AM GROOOOOOOOOOOOOT!!!
Siuuuu
Hiiiii!!!!
Yessssssssssssssssssss
I'm sooooo happy
두 번째 예시 문장은 '~아체'보다는 '난 정마아아아알 행복해'와 같은 의미에 가깝다. '~아체'는 귀여운 느낌을 주기 위해 사용하는 말투에 가깝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