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릴 문자 (Кириллица) | ||||||
А а | Б б | В в | Г г | Д д | Ђ ђ | Е е |
Ё ё | Ж ж | З з | Ѕ ѕ | И и | І і | К к |
Л л | М м | Н н | О о | П п | Р р | С с |
Т т | Ћ ћ | У у | Ф ф | Х х | Ц ц | Ч ч |
Џ џ | Ш ш | Ъ ъ | Ы ы | Ь ь | Ю ю | Я я |
기타 문자 |
1. 개요
Ж ж러시아어 키릴 문자의 8번째 글자. 초기 키릴 문자 이름은 지베테(живѣтє). 불가리아어나 마케도니아어 등에서 Ж는 유성 후치경 마찰음(/ʒ/)이고 러시아어나 우크라이나어의 Ж는 권설음인 표준 중국어의 한어병음 sh에서 성대를 울리는 유성 권설 마찰음(/ʐ/),[1] 몽골어에서는 무성음인 /tʃ/ 발음이다.
유래가 불분명하다. 키릴 자모는 거의 로마자, 그리스 문자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고 이형인 경우에도 히브리 문자, 페니키아 문자, 글라골 문자와 대조하면 추정이 가능한 반면 Ж는 이 범주 내에서 유래를 찾을 수 없다. 음가가 유사한 글라골 문자 Ⰶ가 있지만 직계인지는 알 수 없고, 형태가 가장 닮은 베르베르어 티피나그 문자의 ⵣ는 음가가 [z]로 유사성이 있지만 역시 연관성은 불분명하다.
로마자 전사는 zh가 일반적이다. 일부 키릴 문자 사용 언어에서는 종종 'j'라고 표기될 때도 있다. 그 외에도 한국어권에서 나온 차징 탑스피너 홈페이지에서는 제냐의 이름 첫 글자가 'j'로 표기되었는데 캐릭터의 국적이 러시아임을 감안하자면 제작진이 영어식 발음에 이끌려 표기한 것으로 보인다.
- 예) 예브게니 프리고진(Евгений Пригожин → Yevgeny Prigozhin)
2. Җ җ
칼미크어, 타타르어, 둥간어에서 사용하는 문자이다. 칼미크어 발음은 /dʒ/, 타타르어 발음은 /dʑ/ 또는 /ʑ/, 둥간어 발음은 /ʈʂ/ 또는 /tɕ/[2]3. Ӝ ӝ
우드무르트어에서 /d͡ʒ/ 발음을 나타내는 데 쓴다.[1] 그래서 전통적으로는 현재 r로 표기되는 자음이 sh와 유·무성 대립을 이루었다. 그러나 r 발음은 베이징을 중심으로 권설 접근음 [ɻ\]으로 실현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2] 둥간어의 경우 한어병음에서 ch, q로 표기되는 성모를 똑같이 이 문자를 사용해 표기하나, 뒤에 오는 운모를 통해 양자를 구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