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3 23:39:16

ㅜㅔ에서 넘어옴
한글 기본 자모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45%; min-height:2em"
{{{#!folding [ 현대 한글 ]
{{{#!wiki style="margin:-5px 0 -5px
<colbgcolor=#eee,#000>기본 자모
자음(14개) · · · · · · · · · · · · ·
모음(10개) · · · · · · · · ·
기타 자모
자​음<colbgcolor=#eee,#000>겹자음(5개) · · · ·
겹받침(11개) · · · · · · · · · ·
기타 모음(11개) · · · · · · · ·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45%; min-height:2em"
{{{#!folding [ 옛한글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문서가 없는 옛한글 자모는 옛한글/자모 문서 참고
▪ 일부 자모는 옛한글 글꼴이 필요함
<colbgcolor=#eee,#000>기본 자모 · · · (아래아)
중국어 표기용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ᄼ · ᄾ · ᅎ · ᅐ · ᅔ · ᅕ)
기타한글 초성 채움 문자
겹자모
초​성<colbgcolor=#eee,#000>각자​병서 · ·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ᄽ · ᄿ · ᅏ · ᅑ) · · ·
합용​병서ㅂ계 합용병서(ㅲ · ㅳ · ㅄ · ㅶ · ㅷ)
ㅅ계 합용병서(ㅺ · ㅼ · ㅽ · ㅾ)
ㅄ계 합용병서(ㅴ · ㅵ)
연서 · 훈민정음의 순경음(ㆄ · ㅸ · ㅹ · ㅱ)
중성 · · (ᆖ) · (ᆢ) · · ·
종성 · · }}}}}}}}}}}}
<colbgcolor=#ddd,#222> 이름
분류 이중모음
음성 we~we̞
1. 개요2. 발음3. 용례4. 자형

[clearfix]

1. 개요

한글의 를 합친 글자다.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매큔-라이샤워 표기법으로는 we이다.

2. 발음

한글 창제 당시에는 '워이'를 빠르게 말했었다. 자음과 붙으면 앞에 w가 약해져서 [ʷe]가 될 수 있다.

3. 용례

순우리말 중에선 꿰매다, 뒈지다, 웬만하다, 퀭하다, 퉤하다, 휑하다 따위의 제한적인 어휘만이 일상생활에서 입말로 널리 쓰인다. 한자어에서도 궤/췌/훼만 있으며 , 궤도, 궤변, 췌장, 화훼, 훼손 등 아주 일부에서만 사용된다. 특히 훼손은 '훼'자의 어감이 낯설어서인지 '회손' 등으로 잘못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문서도 참고.

외래어를 표기할 때는 ㅞ가 많이 쓰인다. 예를 들어 웨일스, 웨하스, 웨량 섬 등. 다만 '왜건'은 '웨건'이 아니니 구별을 잘 해야 한다. 'ㅐ'와 'ㅔ'의 구별만큼 사람들이 많이 틀린다.

외래어에서 '셰'나 '섀'로 적어야 할 것들을 ''로 잘못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쉐이크, 쉐도우, 쉐프, 쉐보레[1]. 정작 그렇게 적으면서도 실제로 쉐로 발음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한편 중국 한어병음 xue는 표준 표기로도 '쉐'로 적어야 한다('장쉐량' 등).

4. 자형

이중모음인 탓에 중성에서 와 함께 한글에서 자리를 많이 차지하는 글자 중 하나다. 대신 자음이 작아지지만 워낙 픽셀 수가 많아져서 '붸' 같은 글자는 '브'보다 훨씬 더 밀도 있게 보인다. 특히나 ㅔ의 튀어나온 왼쪽 획을 ㅜ와 겹치지 않게 하기 위해 세로로도 약간 기교를 부려야 해서 ㅙ보다도 조금 크기가 큰 편이다.

보통 와 마찬가지로 ㅜ의 가로획이 ㅓ의 가로획보다 위로 가지만, 필기 습관에 따라 ㅜ를 더 아래에 쓰는 경우도 있다. 타자기 서체의 경우 ㅜ의 가로획이 ㅓ의 가로획보다 아래에 찍힌다. 두벌식, 세벌식, 네벌식, 다섯벌식 모두 그렇다.


[1] 각각 셰이크, 섀도, 셰프, 셰보레가 맞다. 섀도우 역시 표기법상 틀린 표기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