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2 14:22:47

아비 야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9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3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おやじ, じじ, じじい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爺는 '아비 야'라는 한자로, '아버지', '늙은이'를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표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아비
중국어 표준어
광동어 je4
객가어
민북어
민동어
민남어
오어 hhia (T3)
일본어 음독
훈독 おやじ, じい-さん,
じじ, じじい
베트남어 gia
유니코드에는 U+723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CKSJL(金大尸十中)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아비 부)와 소리를 나타내는 (어조사 야)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 왕야(爺) - (주로 중국에서) 천자의 책봉을 받은 번왕, 친왕, 군왕 등의 제후왕들을 부를 때 붙이는 존칭. 한국에서는 황제국의 역사가 길지 않은데다 이 한자가 이런 호칭으로 아주 많이 쓰인 것도 아니기에 일상생활에선 생각보다 볼 일이 드물지만, 중국에서의 이런 용법 덕분에 중드 좀 봤다는 사람들은 다들 이 한자에 익숙하다.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국성야(爺) - 정성공을 일컫는 다른 명칭. 사실상 왕야와 같은 용법으로, 남명 황제로부터 국성을 하사받으신 분이라며 이렇게 부르곤 했다. 서양에서는 이 단어의 푸젠성 방언 발음이 변형되어 콕싱아(Koxinga)라는 존칭이 본명보다도 더 많이 불리고, 일본에서도 그 정도는 아니지만 '코쿠센야'라는 이름으로도 불리곤 한다.
  • SymaG(爺) - 일본우타이테.

3.4. 지명

3.5. 창작물

4. 유의자

  • (아비 부)

5. 상대자

  • (아가씨 양)

6. 모양이 비슷한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