益 더할 익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皿, 5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0획 | ||||
중학교 | |||||||
益[1] | |||||||
일본어 음독 | エキ, (ヤク) | ||||||
일본어 훈독 | ま-す, ますます | ||||||
益 | |||||||
표준 중국어 | yì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益은 '더할 익'이라는 한자로, '더하다', '이익(利益)' 등을 뜻한다.2. 특징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더하다 |
음 | 익 | |
중국어 | 표준어 | yì |
광동어 | jik1 | |
객가어 | yit | |
민동어 | ék | |
민남어 | iah / iak/ ek | |
일본어 | 음독 | エキ, (ヤク) |
훈독 | ま-す, ますます | |
베트남어 | ích |
상형자이다. 원래는 항아리나 그릇 안에 물이 가득 차는 모습을 본떠 만들어, '넘치다'라는 뜻이었다. 그러나 여기서 파생되어 '넉넉하다', 더 나아가 '더욱' 혹은 '유익하다'라는 뜻으로 쓰이게 되었고, 본래의 뜻은 옆에 水(물 수)를 붙인 溢(넘칠 일)로 넘어가게 되었다. 고대에는 益과 溢은 통자(通字)였다.
설문해자에서는 益을 '풍요롭다(饒也)'라고 하였고, 饒(넉넉할 요)는 '배부르다(飽也)'라고 하였으며, 飽(배부를 포)는 '넉넉하다(猒也)'로 풀었다('猒'은 다시 '飽也'라고 풀이).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김재익(金在益)
- 김익훈(金益勳)
- 마시코 카오루(益子 薫)
- 문익점(文益漸)
- 문익환(文益煥)
- 손수익(孫守益)
- 안익훈(安益勳)
- 양익준(梁益準)
- 이익흥(李益興)
- 조동익(趙東益)
- 하재익(河在益)
- 황교익(黃橋益)
3.4. 지명
3.5.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盒(합 합)
7. 여담
잘 보면 이를 드러내고 찡그린 얼굴처럼 보이는 글자라 중국에서는 한숨 쉬는 표정과 비슷한 囧(빛날 경)과 더불어 충격을 받거나 화가 났다는 의미로 자주 사용되는 이모티콘 중 하나. 일본에서는 인도의 칸나다 문자의 'ಠ'를 붙여 ಠ益ಠ처럼 양쪽에 눈을 추가해서 수염난 사람이 화를 내는 이미지로 정착되었다. 같은 용도로 쓰이는 한자는 이 글자의 부수인 皿이 있다.활용 예)━╤デ╦︻༼ಠ益ಠ༽︻╦̵̵͇̿̿̿̿══╤─
[1] 첫 두 획이 八의 형태가 아닌 丷의 형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