訓 가르칠 훈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言, 3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0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クン, キン | ||||||
일본어 훈독 | おし-える, よ-む | ||||||
训 | |||||||
표준 중국어 | xù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訓은 '가르칠 훈'이라는 한자로, '가르치다', '한자의 새김(뜻)'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가르치다 |
음 | 훈 | |
중국어 | 표준어 | xùn |
광동어 | fan3 | |
객가어 | hiun | |
민북어 | he̤̿ng | |
민동어 | hóng | |
민남어 | hùn | |
오어 | xyn (T2) | |
일본어 | 음독 | クン, キン |
훈독 | おし-える, よ-む | |
베트남어 | huấn |
言(말씀 언)을 뜻으로, 川(내 천)을 소리로 하는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 가훈(家訓)
- 교훈(敎訓)
- 급훈(級訓)
- 내훈(內訓)
- 음훈(音訓)
- 자훈(字訓)
-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
- 훈계(訓戒)
- 훈고학(訓詁學)
- 훈도(訓導)
- 훈독(訓讀)
- 훈련(訓練,訓鍊)
- 훈령(訓令)
- 훈몽자회(訓蒙字會)
- 훈민정음(訓民正音)
- 훈방(訓放)
- 훈수(訓手)
- 훈시(訓示)
- 훈육(訓育)
- 훈음(訓音)
- 훈차(訓借)
- 훈화(訓話)
3.2. 인명
- 김덕훈(金德訓)
- 김명훈(金明訓): 바둑기사
- 김인훈(金忍訓)
- 김현훈(金炫訓)
- 김훈(金訓): 고려의 인물
- 마훈(馬訓)
- 무숭훈(武崇訓)
- 미타조노 사토시(三反園 訓)
- 백형훈(白泂訓)
- 임태훈(林泰訓): 요리사
- 정용훈(鄭勇訓): 뮤지컬 배우 에녹의 본명
- 첸넝쉰(钱能训)
- 최종훈(崔鍾訓): 배우
- 최지훈(崔智訓): 야구 선수
- 최훈락(崔訓樂)
- 표훈대덕(表訓大德)
- 허훈(許訓): 농구 선수
3.3. 기타
3.4. 광동어
- 물론 본자인 訓을 쓰지 않는 것은 아니다. 校訓(haau6 fan3 교훈) 등.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甽(밭도랑 견) - 畎(밭도랑 견)의 고자.
- 訆(부르짖을 규)
- 詶(대답할 수)
- 圳(도랑 수/천)
- 馴(길들일 순)
- 紃(끈 순/천)
- 㸪(소걸음 느릴/길들 순)
- 杊(호미자루될만할 순)
- 𠆯(지을 작) - 作(지을 작)의 동자.
- 𥃹(눈여겨볼 천)
- 汌(물이름 천)
- 玔(옥고리 천)
- 釧(팔찌 천)
- 𤆑(탄흙 추)
- 䡅(수레치장 춘, 순시할 순)
- 䚯(소리 현)
- 𦘶(양고깃국 훈)
- 𠯀
- 𥐣
- 𡔠
- 𧈶
- 𩵙
- 𩾧
[1] 瞓覺(fan3 gaau3) 잠을 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