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기나이 畿内 | ||||
도산도 東山道 | ||||
[가] 무츠국에서 분리: | ||||
[나] 데와국에서 분리: | ||||
산인도 山陰道 | ||||
산요도 山陽道 | ||||
율령국 외 | ||||
율령국 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지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 |
[ruby(河内, ruby=かわち)][ruby(国, ruby=のくに)] 河內國 / 카와치국 | |
| |
기본 정보 | |
별칭 | 카슈([ruby(河, ruby=か)][ruby(州, ruby=しゅう)]) |
소속 | 기나이 |
현재 영역 | 오사카부 동부 |
국력 | 대국(大国) |
행정구역 | 14군 79향 |
주요 시설 | |
코쿠후 | 오사카부 후지이데라시 |
코쿠분지 | 카와치 코쿠분지 ([ruby(河内国分寺, ruby=かわちこくぶんじ)]) |
코쿠분니지 | 오사카부 카시와라시추정 |
이치노미야 | 히라오카 신사 ([ruby(枚岡神社, ruby=ひらおかじんじゃ)]) |
[clearfix]
1. 개요
카와치국([ruby(河内国, ruby=かわちのくに)], 구자체: 河內國)은 기나이에 속한 율령국이다. 지금의 오사카부 동쪽 내륙 지역에 해당한다. 별칭은 카슈(河州)이다.2. 지리
본디 카와치 부근은 바다와 강으로 둘러싸여있어 육지의 고도나 다름없었으나 시간이 지나고 퇴적 현상이 일어나며 해안선이 후퇴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오사카 평야가 형성되었으며 중세에 걸처 폭발적으로 성장하여 명실상부한 중세 일본의 수도권이 되었다.3. 역사
가마쿠라 막부를 개창한 카와치 겐지 가문의 본향이기도 하다.4. 현재 지명
- 카와치나가노시
- 미나미카와치군
- 카와치모리역
- 카와치야마모토역
- 카와치코쿠부역
- 카와치나가노역
- 카와치에이와역
- 카와치하나조노역
- 카와치코사카역
- 카와치마츠바라역
- 카와치아마미역
- 카와치카타카미역
- 카와치이와후네역
- JR카와치에이와역
- 카와치한다역 > 오사카사야마시역
5. 기타
카와치온도(河内音頭)라는 지역 특유의 민요가 있다. 나카무라 미츠코(中村美律子)가 1989년에 발표한 카와치오토코부시(河内おとこ節)[1]가 카와치온도의 리듬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노래이다.[1] 나카무라 미츠코는 홍백에 15번 출장했는데, 이 노래만 8번을 불렀다. 홍백 역사에서 한 노래가 8번 불린 건 역대 3번째 기록. 이시카와 사유리의 아마기 고개와 쓰가루 해협 겨울 풍경이 각각 13번씩으로 공동 1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