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가요대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역사 | 논란 및 사건 사고 | ||||||||
2012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 2024년 상반기 | 2024년 하반기 | 2024년 트롯 | | }}} | ||||
[[대한민국|]] 대한민국 지상파 3사의 연말 시상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colbgcolor=#000> | |||
연기대상 | KBS 연기대상 | MBC 연기대상 | SBS 연기대상 | |
연예대상 | KBS 연예대상 | MBC 방송연예대상 | SBS 연예대상 | |
연말 가요제 | KBS 가요대축제 KBS 국악대상 | MBC 가요대제전 | SBS 가요대전 |
SBS 가요대전 | |
<colbgcolor=#00558f><colcolor=#ffffff> 국가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주최 | 스튜디오프리즘 |
첫 개최 연도 | 1996년([age(1996-01-01)]주년) |
[clearfix]
1. 개요
1996년부터 시행되어 2017년부터 매년 크리스마스에 방송하고 있는 SBS의 연말 가요제.2013년까지는 매년 12월 29일이 고정 방송일로 정해져 있었으나 2014년부터 SBS 어워즈 페스티벌의 일환으로 통합되면서 방영일자가 유동적으로 변경되고 있다. 1996년에는 12월 29일이 일요일이여서 당시 SBS의 가요 프로그램이던 'SBS TV가요20'이 대체방송으로 편성되었다. 이처럼 SBS 가요대전은 연말 마지막 주 SBS 인기가요의 편성을 자연스레 대체하고 있다.[1] 그리고 2017년부터 성탄절에 개최하는 걸로 고정되면서 저녁시간에 진행됨에 따라 성탄절 당일 SBS 8 뉴스가 밤 9시에 시작하고 있다.
2. 연혁
원래는 시상식 형태였다. 1991년 개국때부터 1993년까지는 '서울가요대상'[2]으로 진행되었고, 1994~1995년은 'SBS 스타상 가수 부문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이는 1992년~1995년 가요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던 아티스트인 서태지와 아이들이 "축제 형식 연말 가요 프로그램은 출연을 고려해 보겠지만 '시상식'은 참여를 거부하겠다"며 보이콧을 선언했기 때문이다.[3] 이 때문에 SBS뿐만아니라 MBC, KBS도 모두 1993~1997년경은 "한국가요제전"이나 "가요대축제"등으로 이름을 잠시 바꾸고 NHK 홍백가합전식 팀 대결을 도입하기도 했었다.이후 1990년대말 공정성 논란과 음반 시장 불황 등이 겹쳐 2007년부터는 KBS 가요대축제처럼 시상식이 아닌 그냥 가요 축제 형식으로 진행되었다가 2014년에 잠정적으로 시상제도를 다시 시행했다.[4]
지상파 3사 연말 가요축제 가운데 유일하게 첫 개최 당시부터 제목의 변경없이 이와 같은 타이틀을 사용하고 있으며 연말 가요축제로 포맷을 변경한 직후인 2007년엔 장충체육관, 2008년부터 2011년까지는 일산신도시에 있는 KINTEX에서 진행되었으며, 2012년엔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과 SBS 등촌동 공개홀에서 이원 생중계되었다. 2013년에는 다시 KINTEX에서 진행되었다. 2014년과 2015년에는 코엑스와 상암동 SBS 상암동 프리즘타워에서 이원 생중계로 진행되었다.[5] 2016년에는 COEX에서만 진행되었다. 그리고 2017년부터는 'SAF'라는 명칭을 떼고 SBS 가요대전으로 복귀했으며 크리스마스 이브 혹은 성탄절에 열리는 것으로 고정했다. 2019년까지 고척 스카이돔에서 열렸다. 2020년에는 대구육상진흥센터에서 열렸다. 2021년에는 인천광역시 남동체육관에서 열렸다.
방송 3사 중 준비성이 가장 철저하지만, 정작 내용은 매년 수준 이하의 진행으로 혹평받는다. 음향 및 카메라 문제, 홍보에 비해 정작 볼거리가 없는 등이 대부분이다. SBS 인기가요가 2009년 이후 타사에 비해 수준높은 카메라워크로 호평받는 것과는 대조적인 부분. 연말 시상식은 SBS의 미디어 자회사뿐만 아니라 본사 부장급 이상 카메라감독들도 모두 투입되고 PD인력들도 죄다 투입되는데, 평소 전담으로 무대를 꾸미던 팀이 갑자기 외부 인원이 늘어나니 호흡도 잘 안 맞고 제작 현장이 전쟁터다.[6] 특히 SBS는 신해철 사망 당해년도의 추모 무대 기획 같은 건 주목받았지만, 웬디 추락 사건 등 크고 작은 잡음들이 항상 따라붙어서 2010년대 내내 혹평받았다.
타사 연말 가요제에 비해 힙합 장르를 챙기는 점이 특징. 2010년에는 타이거 JK와 정인의 합동 무대가 있었고, 2011년에는 윤미래의 무대가 있었다. 이후 2012년은 에픽하이와 다이나믹 듀오, 사이먼 도미닉[7]의 합동 무대가 매우 좋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이름값만큼 화려한 퍼포먼스는 매년 좋은 평가를 얻는다.
2008년에 개최된 가요대전은 지상파 최고의 연말 가요제 라인업을 자랑한다. 아이돌(쥬얼리, 동방신기, SUPER JUNIOR-Happy, BIGBANG, 원더걸스, 카라, FTISLAND, SHINee, 2AM, 2PM 등), 트로트(송대관, 태진아, 박현빈, 장윤정 등), 힙합(에픽하이, 다이나믹 듀오 등), 발라드(SG워너비, 다비치 등) 등 다양한 장르와 김종국, 손담비 등 솔로 가수도 대거 출연했고 심지어 서태지, 비, 이효리, 보아라는 거물급 가수까지 무대를 선보여 2008년 연말을 화려하게 장식했다.[8]
하지만 이 이후부터는 지상파 3사 연말 가요제 중 가장 아이돌 위주로만 편향된 라인업 구성에, 음향 및 카메라도 매년 최악의 모습을 보여주며 가장 낮은 평가를 받고 있다.
3. 역사
자세한 내용은 SBS 가요대전/역사 문서 참고하십시오.4. 논란 및 사건 사고
자세한 내용은 SBS 가요대전/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참고하십시오.5. 역대 대상
5.1. 역대 SBS 스타상 가수부문 대상
<rowcolor=#ffffff> 횟수 | 연도 | 수상자 및 수상 그룹 |
1회 | 1992년 | - |
2회 | 1993년 | |
3회 | 1994년 | 김건모 《핑계》 |
4회 | 1995년 | 룰라 《날개 잃은 천사》 |
5회 | 1996년 | 클론 《꿍따리 샤바라》 |
5.2. 역대 SBS 가요대전 대상
<rowcolor=#ffffff> 횟수 | 연도 | 수상자 및 수상 그룹 |
1회 | 1996년 | - [9][10] |
2회 | 1997년 | H.O.T. 《행복》 |
3회 | 1998년 | H.O.T. 《빛》 |
4회 | 1999년 | 핑클 《영원한 사랑》 |
5회 | 2000년 | 조성모 《아시나요》 |
6회 | 2001년 | god 《길》 |
7회 | 2002년 | 보아 《No.1》 |
8회 | 2003년 | 이효리 《10 minutes》 |
9회 | 2004년 | 신화 《Brand New》 |
10회 | 2005년 | 김종국 《제자리 걸음》 |
11회 | 2006년 | 동방신기 《"O"-正.反.合.》 |
2007~2013년 | 시상 중단 |
5.3. 앨범상 / 음원상
8년 만에 부활한 가요대전 시상식은 음원상과 음반상 부문으로 상을 나눴으며 대상 부문은 따로 없다.[11]<rowcolor=#ffffff> 횟수 | 연도 | 앨범상 / 음원상 |
18회 | 2014년 | EXO 《중독(Overdose)》 / 소유X정기고 《썸》 |
2015년 ~ | 시상 중단 |
6. 역대 진행자
<rowcolor=#ffffff> 연도 | 개최 시기 | 남성 | 여성 | 장소 |
1996년 | 12월 | 유정현 | 김희선 | 등촌동 SBS 공개홀 |
1997년 | 서세원 김승현 | 최지우 | 올림픽체조경기장 | |
1998년 | 김승현 | 김희선 | 88체육관 | |
1999년 | 최지우 | 올림픽체조경기장 | ||
2000년 | 서세원 | 채림 | ||
2001년 | 김정은 | 올림픽펜싱경기장 | ||
2002년 | 이문세 | 정지영 | ||
2003년 | 김정은 | |||
2004년 | 성유리 | COEX C홀 | ||
2005년 | 이보영 | 88체육관 | ||
2006년 | 박진희 | KINTEX 제1전시장 | ||
2007년 | 이휘재 | 이효리 | 장충체육관 | |
2008년 | 이천희 대성 | 박예진[12] | KINTEX 제1전시장 | |
2009년 | 김희철 정용화 | 박신혜 | ||
2010년 | 김희철 정용화 조권 | 황정음 | ||
2011년 | 이승기 | 송지효 윤아 | KINTEX 제2전시장 9B홀 | |
2012년 | 정겨운 | 아이유 수지 |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 | |
2013년 | 성시경 김희철 | 산다라박 | KINTEX 제1전시장 | |
2014년 | 정용화 닉쿤 송민호 엘 바로 | 송지효 | COEX D홀 | |
2015년 | 신동엽 | 아이유 | ||
2016년 | 유희열 백현 | 유리 | ||
2017년 | 유희열 | 아이유 | 고척 스카이돔 | |
2018년 | 전현무 | 조보아 | ||
2019년 | 설현 | |||
2020년 | 붐 김희철 | 이나은 | 대구육상진흥센터 | |
2021년 | 붐 키 | 유나 | 인천 남동체육관 | |
2022년 | 차은우 키 | 안유진[13][14] | 고척 스카이돔 | |
2023년 | 연준 키 | 인스파이어 아레나 | ||
2024년[15] | 7월 | 연준 도영 | ||
12월 |
7. 시청률
- 닐슨미디어코리아 시청률 기준.
- 빨간색 수치는 최고 시청률, 파란색 수치는 최저 시청률을 의미.
<rowcolor=#ffffff> 연도 | 구분 | 방영일 | 전국 | 수도권 |
<colbgcolor=#00558f><colcolor=#ffffff> 2006년 | 1부 | 12. 29. | 10.8% | 12.3% |
2부 | 14.5% | 15.7% | ||
2007년 | 1부 | 11.2% | 11.8% | |
2부 | 10.5% | 11.3% | ||
2008년 | 1부 | 16.6% | 17.5% | |
2부 | 16.2% | 17.5% | ||
2009년 | 1부 | 17.4% | 18.5% | |
2부 | 15.9% | 17.2% | ||
2010년 | 1부 | 14.1% | 15.5% | |
2부 | 12.8% | 15.1% | ||
2011년 | 1부 | 13.2% | 14.9% | |
2부 | 12.7% | 14.6% | ||
2012년 | 1부 | 10.0% | 11.2% | |
2부 | 8.8% | 10.4% | ||
2013년 | 1부 | 7.8% | 8.4% | |
2부 | 7.6% | 8.1% | ||
2014년 | 1부 | 12. 21. | 6.6% | 8.5% |
2부 | 6.6% | 10.0% | ||
2015년 | 1부 | 12. 27. | 7.3% | 7.5% |
2부 | 6.9% | 7.5% | ||
2016년 | 1부 | 12. 26. | 6.9% | 6.5% |
2부 | 7.0% | 7.2% | ||
2017년 | 1부 | 12. 25. | 6.3% | 6.3% |
2부 | 8.6% | 9.2% | ||
2018년 | 1부 | 5.0% | 6.4% | |
2부 | 7.0% | 7.4% | ||
2019년 | 1부 | 3.9% | 5.9% | |
2부 | 5.9% | 6.7% | ||
3부 | 6.7% | 7.8% | ||
2020년 | 1부 | 3.8% | 5.0-% | |
2부 | 3.6% | 5.0-% | ||
3부 | 4.5% | 5.0% | ||
2021년 | 1부 | 2.5% | ||
2부 | 1.7% | |||
2022년 | 1부 | 12. 24. | 2.2% | |
2부 | 2.5% | |||
3부 | 2.3% | |||
2023년 | 1부 | 12. 25. | 2.2% | |
2부 | 2.4% | |||
3부 | 2.4% | |||
2024년 상반기 | - | 7. 26.[16] | 1.0% | |
2024년 하반기 | 1부 | 12. 25. | 1.9% | |
2부 | 2.8% | |||
3부 | 3.1% |
- 2010년까지는 동 시간대 방영된 MBC 방송연예대상을 앞섰다. 2012년 역시 수도권 시청률은 MBC 방송연예대상을 앞섰다. 하지만 진행 상의 문제가 전혀 개선되지 않으면서 2011년 이후로 점점 시청률이 떨어지는 추세이다.
- 2015년 시청률은 드라마 내 딸, 금사월 때문에 1부보다 2부 시청률이 낮아졌다. 다만, 기존 동시간대에 SBS에서 방영하던 드라마 애인있어요보다 상승했다. TNMS 여자 시청률은 1부 8%, 2부 9%를 기록할 정도로 여자가 많이 시청했다.
- 2018년 시청률은 개인 시청률에서 4위를 기록해 드라마 복수가 돌아왔다보다 높게 나왔다. TNMS 미디어에서는 가요대전 1부 6.4%, 2부 8.5%, 평균 시청률이 7.4%로 나와 닐슨보다 높게 기록되었다.
- 2019년은 역대 최저 시청률을 기록했다. 3부가 그나마 낫긴 했으나, 전체 평균으로 따지면 5.5%로 역대 최저다. 다만 MBC는 4.7%, KBS는 6.0%로 SBS가 근소하게 2위를 기록했다.
- 2020년에는 동시간대에 방송된 트로트의 민족의 여파로 전체 모두 역대 최저 시청률 기록을 1년 만에 경신했다.
- 역대급 무관심 속에 치러진 2021년은 황금 시간대에 편성되었음에도 1, 2부 모두 역대 최저 시청률 기록을 또 다시 1년 만에 갈아치웠다. 특히 2부는 사상 처음으로 1%대까지 떨어졌다.
- 2023년에는 주요 예능 프로그램과 지상파 연말 행사가 같은 시간대에 편성되지 않음에도 지난해와 거의 동일한 시청률을 기록해 역대 최악의 수치라고 할 수 있다.
8. 둘러보기
2023 SBS 연말 시상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2024년 지상파 3사 연말 시상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colbgcolor=#000> | |||
연기대상 | (녹화) | (녹화) | ||
연예대상 | (취소) | (취소) | ||
연말 가요제 | (녹화) | |||
[1] KBS 가요대축제가 2012년부터 금요일 편성으로 옮긴 후 뮤직뱅크 대체 편성 역할을 하고 있는 행보와 같은 셈.[2] 스포츠서울이 주관하는 시상식. 또한 당시는 SBS가 (주)서울방송이란 이름이었고, 서울·경인 일부지역 지상파 로컬 방송이었으며 2007년까지 SBS가 이 시상식을 중계했다.[3] 사실 이는 1980년대초 조용필이 원조다.[4] 2015년에는 수상이 아예 없었다고 보긴 힘들지만, 올해의 리더상과 홍보대사상 같은 비공식적인 부문의 시상만 진행되었기 때문에 시상식이라 단정짓기는 힘들다.[5] 특히 2014년 가요대전은 SBS의 통합 시상식 겸 방송 체험 전시회인 SAF(SBS Awards Festival)와 연계돼서 진행되는 첫 가요대전이었다.[6] 이는 KBS도 비슷한 문제를 지니고 있다.[7] 내로라 하는 아이돌들을 제치고 2부 오프닝도 맡았다.[8] 당시 1부 19.0%, 2부 18.0%라는 시청률을 기록했으며 동시간대 방송된 2008 MBC 방송연예대상과 1% 차이였다. MBC‘방송연예대상’, SBS‘가요대전’시청률눌러[9] 당시에는 그룹과 솔로 가수를 각각 5팀씩 선정하여 10대 가수 가요대전이라는 타이틀로 시상식을 진행했다.[10] 이 해에는 SBS 가요대전이 처음 신설되었지만 대상은 시상하지 않았고, 가요대전 대상은 SBS 스타상 가수부문 대상으로 대체되었다.[11] 시상식 부활한 SBS '가요대전', 대상은 없다[12] 이때 3명의 MC 모두 SBS 패밀리가 떴다의 간판 출연자들이었다.[13] 역대 가요대전 여성 진행자 최초 2년 연속 진행[14] 2024년에도 안유진이 진행을 맡으며 여성 MC 최초 4회 연속으로 진행을 맡게 되었다.#[15] 역대 가요대전 최초로 7월과 12월로 나뉘어 개최될 예정이다.[16] TV 방영은 생중계가 아닌 녹화분으로 방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