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11:14:43

검일

黔日
? ~ 660년

1. 개요2. 생애

1. 개요

신라의 인물. 642년 대야성 전투 당시 백제군이 대야성(오늘날 경상남도 합천군)을 함락하는 데 내통해 가담하고 백제에 귀순해 살다가 660년 백제가 멸망하자 태종 무열왕 김춘추에 의하여 사형당한다.

2. 생애

백제와 대치한 신라 서부 전선의 요충지인 대야성에서 대야성주인 도독 김품석부하로 있었는데 김품석에게 자신의 아내빼앗기는 사건이 벌어져 앙심을 품고 있었다.[1] 642년(선덕여왕 11년) 8월 백제 의자왕 휘하의 장수 윤충이 대군을 이끌고 대야성을 공격하자 성주인 김품석은 적의 기세가 엄청나자 저항할 생각도 하지 못하고 있었는데 그 와중에 검일이 모척과 같이 공모하여 백제군과 내통하고 백제 병사를 대야성 안에 있는 군량미 창고로 인도하여 불을 질렀다. 그 결과 김품석은 더더욱 안절부절 못하여 당황했고 김품석은 그의 막료인 아찬 서천으로 하여금 윤충과 협상하게 하여 목숨을 보전해 준다는 거짓 약속을 믿고 성문을 열어 일부 군사들을 대야성 밖으로 나가게 하자 매복해 있던 백제군이 이들을 살해했다. 완전히 절망한 김품석은 아내 김고타소와 자식을 죽이고 자살했으며 대야성은 사지 용석죽죽이 성문을 굳게 닫고 끝까지 맞서 싸워 지켰으나 결국 함락되고 말았다.

백제에 투항한 뒤 18년 가량을 지내면서 백제와 고구려, 말갈의 신라 공격에 참전하다가 660년(태종 무열왕 7년) 7월 13일 백제가 신라에게 멸망할 때 검일은 모척과 함께 신라군에 붙잡힌다. 이 때 검일은 모척과 함께 3가지 죄(군량고를 불태우고, 김품석 부부를 위협해 죽였으며[2], 백제·고구려·말갈과 함께 신라를 공격한 죄)로 사지가 찢겨 죽는 비참한 최후를 맞이한다. 다만 기록상에서는 찢어 죽였다는 말이 있지만 거열형이라고는 되어있지 않아서 한국사 최초 거열형이라 보기는 애매하다. 간혹 죽기 전에 당당하게 김품석하고 무열왕을 조롱했다고 잘못 알고 있는 경우도 있는데 실제로는 그런 말을 한 적이 없다. 그것과는 별개로 검일이 배신을 한 건 김품석이 자신의 아내를 빼앗은 것과 그의 말썽 때문이었으니 똥별 한 명 때문에 여러 사람의 인생이 비참해진 셈인만큼 검일 입장에서는 억울하다고 볼 수 있다. 다만 그렇다고 배신과 더불어 백제를 도와 번번히 신라 공격을 도운 인물을 그 상황에서 내 사위가 잘못했으니 죄를 묻지 않겠다고 할 수도 없는 노릇이고 그런 세세한 사정과는 별개로 자신의 딸과 사위가 죽었으니 눈이 뒤집히고도 남을 일이긴 하다. 부여융을 사로잡은 문무왕은 정작 여동생만 언급하지 김품석은 일언반구의 언급도 없는데 아무리 사위라고는 해도 똥별인데다 추한 모습만 보이다 죽었으니 마음속으로 더 이상 김품석을 사위로 여기지 않았을 가능성도 높다라기에는 정치적 견제를 받을 명분만 제공하기에 분노조절장애가 가동되었다고 봐야 한다.


[1] 검일을 성 밖에 내보낸 뒤 그날 아내를 취했다고 알려져 있다. 황천우 작가의 삼국비사에선 아내와 김품석이 바람을 피운 것으로 묘사한다. 하지만 대부분 겁탈로 생각한다. 게다가 겁탈이든 바람이든 간에 정상적인 지휘관 이라면 자기 부하의 아내를 건드려 후환을 만드는 짓거리 따위는 하지 않는다. 여포와 마찬가지로 똑같이 유부녀를 탐하고 그덕에 아들 조앙을 죽게 만든 조조조차 죽은 적장의 과부나 첩이거나 전투에서의 전리품 같은 개념으로 여자를 취한거지,자기 부하의 아내를 건드리는 큰 사고를 치지는 않았다. 여포가 욕먹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2] 사실 항복하면 살려준다는 약속을 어긴건 윤충이며,김품석 부부를 죽인 건 엄연히 본인의 또라이짓과 더불어 김품석 본인의 잘못이었으며, 김품석 내외를 죽음으로 몰아간 것은 배신한 대야성의 신라군 이상으로 김품석을 그 자리에 앉힌 선덕여왕과 김춘추의 책임이 크며 궁극적으로는 본인이 부하의 아내를 탐하는 사고를 쳤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