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02 23:46:52

경신공주

조선의 왕녀
[[틀:조선의 왕녀/익조 ~ 연산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행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이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자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덕종(조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국왕 · 추존 국왕 · 왕비 · 추존 왕비 · 왕세자 · 왕세자빈
후궁 : 환조 ~ 연산군 · 중종 ~ 고종
왕자 : 목조 ~ 연산군 · 중종 ~ 고종
왕녀 : 익조 ~ 연산군 · 중종 ~ 철종
※ 작호가 있거나 문서가 등재된 사람만 기재
}}}}}}}}}


대한제국 태조의 황녀
경신공주 | 慶愼公主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조선 태조의 왕녀
경신공주 | 慶愼公主
파일:경신공주 도상.jpg
출생 1382년 추정
고려 동계군 동북면 함흥부 귀주동 사저
(現 함경남도 함흥시 함흥본궁)
사망 1426년 5월 8일[1] (향년 44세 추정)
묘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신원리 산40-11
재위기간 조선 경신궁주
1392년 8월 25일 ~ 1426년 5월 8일[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본관 전주 이씨
부모 부황 태조 고황제
모후 신의고황후
형제자매 부황 기준 8남 5녀 중 차녀
모후 기준 6남 2녀 중 장녀
배우자 상당부원군 이애
(上黨府院君 李薆, 1363 ~ 1414)
자녀
1남 [ 펼치기 · 접기 ]
아들 - 이후(李厚)
봉호 경신궁주(慶愼宮主)
경신공주(慶愼公主)
}}}}}}}}} ||
1. 개요2. 생애
2.1. 출생과 혼인2.2. 사망
3. 가족 관계4. 대중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조선 태조신의왕후 사이의 6남 2녀 중 장녀[3]이자 정종태종의 동복 여동생. 세종에게는 고모, 문종세조에게는 고모할머니가 된다.
《태조실록》을 보면 1393년 당시 태조의 11명의 적자녀들 중 경신, 경선, 이방석만 어리다고 적혀있으며 경신공주는 1396년에 결혼한 것으로보아 1381년 생인 이방번보다 어렸던 것 같고 1387년에 쓰여진 《이자춘신도비》에는 등장한 것으로 보아 1382년 경에 태어난 것으로 추측된다.
남편인 이애(李薆)[4][5]의 초상과 함께, 현재 유일하게 초상이 남아있는 공주이다. 세종 8년(1426년)에 사망하여 세종이 고모의 죽음에 지극한 슬픔을 드러내기도 했다.

2. 생애

2.1. 출생과 혼인

태조의 둘째 딸이자 신의왕후 한씨의 소생이다.[6] 역사서에서는 태조의 적장녀로 기록되어 있고 왕실 족보인 선원록에도 장녀로 기록되어 있다. 신덕왕후 강씨의 딸인 경순공주는 셋째 딸로 기록되어 있지만, 이자춘 신도비 및 정릉 신도비명을 통해 경신공주가 경순공주보다 늦게 태어났음을 알 수 있다.

태어난 해는 알 수 없으나, 1388년 위화도 회군 당시, 고려 조정에서 요동 정벌에 출정한 장수들의 가족들을 인질로 심으려 하자 오빠인 태종이 가족들을 대피시켰는데, 동생 경선공주와 함께 나이가 어렸다고 기록되어 있다.[7]
전하왕후강비를 모시고 동북면을 향하여 가면서, 말을 탈 때든지 말에서 내릴 때든지 전하께서 모두 친히 부축해 주고, 스스로 허리춤에 불에 익힌 음식을 싸 가지고 봉양하였다.
경신공주 • 경선공주무안군소도군이 모두 나이 어렸으나 또한 따라왔으므로, 전하께서 자기가 안아서 말에 태우고 길이 험하고 물이 깊은 곳에는 전하가 또한 말을 이끌기도 하였다.
태조실록 1권, 총서
1396년 3월 19일, 이거이의 장남 이백경과 결혼하였다.[8] 이백경은 당시 33세로 아들 이비를 둔 상태였기에 나이라던가 아들의 존재가 있던 걸로 보면 재혼 상대가 된 것으로 보인다. 이백경과의 사이에서 아들 이후를 두었다.

1404년, 시아버지인 이거이가 모반을 품었다 하여 남편인 상당부원군 이저와 함께 태종에 의해 서인으로 강등되었다.[9] 이거이의 두 아들이 왕실의 부마가 되면서[10] 세력이 커질 것을 경계하였기 때문이다.[11] 종친과 공신들이 이거이 부자를 처형할 것을 청하자 태종은 이거이와 이저가 왕자의 난 당시 큰 공을 세웠고, 이거이의 또다른 아들인 이백강이 정순공주의 남편이기 때문에 이들을 차마 죽일 수 없다며 거절하였다.[12]

이후 태종에 의해 죄를 용서받고 서울에 올라와 살게 하였다.

2.2. 사망

1426년 3월 22일 졸하였다. 경신공주가 죽자 세종은 내관 이용년을 보내어 조문하게 한 뒤, 다음날 쌀과 콩 각50석과 종이 2백권을 부조하고, 상등의 예로 장사지내게 하였다.[13]

1872년, 조선 초기 궁주들의 봉작을 공주로 바꾸면서 경신공주로 봉해졌다.[14]

3. 가족 관계

  • 남편 : 상당부원군 이애(上黨府院君 李薆, 1363 ~ 1414) - 이거이(李居易)의 아들
    • 아들 : 이후(李厚)
    • 며느리 : 한산 이씨(韓山 李氏) - 이맹진(李孟畛)의 딸

4. 대중매체에서

남편인 이애가 〈용의 눈물〉 등에 출연한 것과 대조적으로 사극에 등장한 적이 없었으나[15], 2021년 KBS1 드라마 〈태종 이방원〉에서 처음으로 나왔으나 초반 단역 출연에 불과했다. 배우는 김채린.

[1] 음력 세종 8년 3월 22일[2] 음력 태조 1년 8월 7일 ~ 세종 8년 3월 22일[3] 태조에게는 차녀, 신의왕후에게는 장녀.[4] 이거이의 아들. 초명은 이백경이었다가 정종의 이름인 이경과 피휘하여 이저(李佇)로 개명했고, 세자였던 양녕대군의 이름인 '이제'와 발음이 비슷하여 '이애'로 다시 개명했다.[5] 이 둘이 거의 20살 가까이 차이나는 것으로 보아 경신공주는 이애의 재취인 것으로 보인다.[6] 신명호, 조선왕비실록, 역사의아침, 2007, 53p[7] 태조실록 1권, 총서[8] 태조실록 9권, 태조 5년 3월 19일[9] 태종실록 8권, 태종 4년 10월 24일[10] 이거이의 장남인 이저는 태조의 딸 경신공주에게, 넷째 아들인 이백강은 태종의 딸 정순공주에게 장가들었다.[11] 태종실록 8권, 태종 4년 10월 24일[12] 태종실록 8권, 태종 4년 10월 18일[13] 세종실록 31권, 세종 8년 3월 22일[14] 승정원일기 2783책 고종 9년 12월 1일[15] 해당 드라마에서 남편인 이애(극에서는 이저) 등장할 시 이미 고인이 된 상태였다고 나레이션에서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