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9 09:48:45

한산 이씨

한국의 성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colbgcolor=#000> 한산 이씨
韓山 李氏
관향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시조호장공계(戶長公系): 이윤경(李允卿)
권지공계(權知公系): 이윤우(李允佑)
중시조호장공계: 목은 이색(牧隱 李穡)
권지공계: 이한(李韓)
파조호장공권지공
공통 집성촌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마양리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온동리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연봉리
집성촌전라북도 완주군 용진읍 운곡리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간현리
강원도 회양군 상북면 목곡리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 된섬말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지곡동
전라북도 군산시 성산면 도암리
충청북도 제천시 송학면 도화리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주성리
함경북도 경성군 어랑면 봉강리
황해도 배천군 유곡면 이포리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용정리[1]
길림성 연변 연길시
평양시
황해도 서흥군 용평면 월탄리
황해도 해주시 신광리
인구156,861명(2015년)
링크http://www.한산이씨.com/

1. 개요2. 유래3. 계파및 분파
3.1. 계파3.2. 분파
4. 항렬
4.1. 대종회4.2. 문양공파4.3. 인재공파4.4. 양경공파
5. 인물
5.1. 고려 후기~조선 전기5.2. 조선 중기5.3. 조선 후기5.4. 근현대 인물
5.4.1. 23세/17세손5.4.2. 24세/18세손5.4.3. 25세/19세손5.4.4. 26세/20세손5.4.5. 27세/21세손5.4.6. 28세/22세손5.4.7. 29세/23세손5.4.8. 30세/24세손5.4.9. 32세/26세5.4.10. 계보불명
6. 기타

稼亭先祖遺訓
我之子孫百代至親
가정선조유훈
나의 자손들이여, 백대가 지나도 친하게 지내거라.
가정 이곡(稼亭 李穀)의 유훈.
牧隱先祖庭訓
詩藝傳家忠孝立身
목은선조정훈
학문과 인간도리를 가문에 전하고, 충과 효를 지켜 처신하거라.
목은 이색(牧隱 李穡)의 정훈.

1. 개요

한산 이씨(韓山 李氏)는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2015년 통계청 성씨, 본관 인구조사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156,861명이 존재한다.

2. 유래

한산 이씨는 다른 뿌리이면서 시조를 달리 하는 두 계통이 있다.

한산 이씨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호장공계의 시조는 고려 숙종 때 호족으로서 권지호장직에 오른 이윤경이다. 그러나 시조라 할 중시조는 목은 이색의 아버지인 이곡이다. 이곡은 당대의 대문장가이며, 역동 우탁, 포은 정몽주와 더불어 경학의 대가였으며 고려 충숙왕 7년 문과에 급제하고 원나라 제과에도 급제하여 벼슬이 도첨의찬성사에 이르렀다. 그의 아들 이색이 1362년 홍건적의 난에 왕을 호종하여 공을 세워 한산부원군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본관을 한산으로 하였다.

권지공(權知公)계의 시조 이윤우(李允佑)는 고려시대에 문과에 올라 왕의 신임을 얻어 한산 이씨의 다른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그러나 한산 이씨 대부분을 차지하는 호장공계의 족보에는 권지공의 내용이 없다. 권지공계는 여러 대를 독자로 자손을 이어 왔으므로 아는 사람이 드물고 현달한 사람도 없다.[2]

3. 계파및 분파

3.1. 계파

호장공(戶長公)권지공(權知公)ll'''문정공파(文正公派)경력공파(經歷公派)
문열공파(文烈公派)동추공파(同樞公派)
문양공파(文陽公派)통례공파(通禮公派)
문혜공파(文惠公派)한천공파(韓川公派)
인재공파(人在公派)좌랑공파(佐郞公派)
양경공파(良景公派)전직공파(全直公派)
공무공파(公武公派)총제공파(摠制公派)
감찰공파(監察公派)감사공파(感事公派)
양도공파(良度公派)현령공파(縣令公派)
직강공파(直講公派)
진목공파(晉牧公派)
집의공파(執義公派)
이의공파(利義公派)
판중추공파(判中樞公派)
병절교위공파(秉節校尉公派)

3.2. 분파

문양공(文襄公)인재공(麟齋公)양경공(良景公)
세손파시조명세손파시조명세손파시조명
사윤공파(司尹公派)9세 맹유광목공파(光牧公派)9세 숙야공무공(恭武公)9세 계린
문혜공파(文惠公派)9세 맹균진목공파(晉牧公派)9세 숙휴봉화공(奉化公)11세 장윤
정언공파(正言公派)9세 맹준총제공파(摠制公派)9세 숙당한성군(韓城君)12세 질
판중추공파(判中樞公派)9세 맹진양도공파(良度公派)9세 숙무명헌공(明憲公)10세 파
직장공파(直長公派)11세 엄직강공파(直講公派)9세 숙복대사성공(大司成公)10세 우
진사공파(進士公派)12세 수창순절공파(順節公派)9세 숙치판관공(判官公)11세 덕홍
전직공파(殿直公派)11세 항죽천공파(竹泉公派)16세 덕형참판공(參判公)11세 덕윤
수은공파(睡隱公派)17세 홍조정도공파(丁悼公派)11세 영은한계군(韓溪君)13세 공기
진무공파(鎭撫公派)10세 유기목사공파(牧使公派)10세 원증부호군공(副護軍公)12세 정
군수공파(郡守公派)11세 순망월암공파(望越菴公派)10세 축찬성공(贊成公)12세 치
사직공파(司直公派)11세 서안소공파(安昭公派)11세 훈정랑공(正郞公)9세 계주
감사공파(監事公派)10세 연기의정공파(左議政派)12세 유청문열공(文烈公)9세 계전
장사랑공파(將仕郞公派)11세 지부사공파(府使公派)11세 공순상예공(相禮公)10세 숙
부정공파(副正公派)10세 보기대사간공파(大司諫公派)11세 예견별좌공(別坐公)11세 덕제
부사과공(副司果公)13세 수지현감공(縣監公)12세 직
호군공파(護軍公派)11세 준[3]18세 회주헌평공(憲平公)10세 봉
창곡공파(蒼谷公派)16세 현영승지공(承旨公)13세 지훈
단봉공파(端峰公派)17세 휘조의정공(議政公)13세 지란
해산공파(海山公派)16세 문영한천군(韓天君)13세 지숙
참봉공파參奉公派)10세 순기성암공(省庵公)13세 지번
호암공파(浩菴公派)17세 기조한창부원군(韓昌府院君)13세 지무
토정공(土亭公)13세 지함
부사직공(副司直公)13세 지환
현감공(縣監公)11세 덕부
한림공(翰林公)12세 양
부사과공(副司直公)13세 수지
직장공(直長公)13세 성윤
군수공(郡守公)12세 희
참의공(參議公)13세 수연
감찰공(監察公)9세 계원
애헌공(崖軒公)18세 정익
아주군(鵝洲君)14세 식
사정공(司正公)14세 견
한양군(韓陽君)15세 흥준
취암공(醉菴公)16세 흡
충장공(忠壯公)17세 의배
성암공(醒菴公)16세 위
좌부승지공(佐府承旨佐公)16세 순
한성판윤공(漢城判尹公)18세 진
통훈대부공(通訓大夫公)19세 필적
송와공(松窩公)14세 희
전부공(典簿公)14세 원
아천군(鵝川君)14세 증
좌랑공(佐郞公)15세 경류
아계공(鵝溪公)14세 산해
동계공(東溪公)14세 산광
석루공(石樓公)15세 경전
과암공(果菴公)16세 무
명곡공(鳴谷公)14세 산보
석로공(錫老公)21세 석로
윤직공(潤稙公)25세 윤직
군자감정공(軍資監正公)20세 산중
동전공(東田公)21세 태영
보국공(輔國公)22세 희갑

4. 항렬

한산이씨의 항렬은 가장 큰 가지인 가정 이곡와 목은 이색의 자로 이어지는 계파의 문양공, 인재공, 양경공 3가지로 나뉜다.

목화토금수의 일반적인 오행상생법이 아닌 수곡토 삼행법을 쓴다.[4] 세대가 3의 배수이면 삼행은 수, 3의 배수+1이면 삼행이 곡, 3의 배수-1이면 삼행이 토가 된다.

4.1. 대종회

호장공/목은 한자/한글
23세/17세○재(在)
24세/18세승(承)○
25세/19세○직(稙)
26세/20세○규(珪)
27세/21세○구(求)
28세/22세○복(馥), ○찬(燦)
29세/23세○원(源)
30세/24세○준(濬), ○수(洙), ○식(湜)
31세/25세○석(䄷), ○화(禾), ○선(秈)
32세/26세○균(均), ○배(培), ○응(膺), ○민(珉)
33세/27세○순(淳), ○호(灝), ○양(洋), ○현(泫)
34세/28세○래(來), ○수(穗), 영(穎)○, 기(䄫)[5]
35세/29세○용(瑢), ○락(珞)
36세/30세○홍(洪), ○문(汶)
37세/31세균(囷)○, ○소(穌)
38세/32세계(桂)○, 보(珤)○
39세/33세광(洸)○, 왕(汪)○
40세/34세○태(泰), ○승(乘)
41세/35세○영(瑩), ○천(玔)
42세/36세○황(滉), ○철(澈)
43세/37세○수(垂), ○교(矯)
44세/38세○숙(琡), ○수(垂), 민(玟)○

4.2. 문양공파

호장공/목은 한자/한글
28세/22세○복(馥)
29세/23세○원(源)
30세/24세○수(洙)
31세/25세○석(䄷)
32세/26세○균(均)
33세/27세○순(淳)
34세/28세○래(來)
35세/29세○용(瑢), ○락(珞)

4.3. 인재공파

호장공/목은 한자/한글
28세/22세○복(馥), ○찬(粲)
29세/23세○원(源), ○경(擎)
30세/24세○준(濬), ○수(洙)
31세/25세○영(永), ○호(灝)
32세/26세○균(均), ○배(培)
33세/27세○석(䄷), ○화(禾)
34세/28세○래(來), ○조(租)
35세/29세○기(基), ○성(城)
36세/30세○하(河), ○한(漢)
37세/31세○목(穆), ○필(苾)
38세/32세시(時)○, 재(在)○
39세/33세○태(泰), ○제(濟)
40세/34세○형(馨), ○정(程)
41세/35세인(寅)○, 동(東)○
42세/36세○낙(洛), ○철(澈)

4.4. 양경공파

호장공/목은 한자/한글
28세/22세○복(馥), ○찬(粲)
29세/23세○원(源)
30세/24세○준(濬), ○수(洙)
31세/25세○석(䄷), ○화(禾)
32세/26세○응(膺), ○배(培)
33세/27세○영(永), ○호(灝)
34세/28세○래(來), ○수(穗)
35세/29세○기(基), 요(堯)
36세/30세○태(泰)
37세/31세병(秉)
38세/32세곤(坤)
39세/33세량(湸)[6]
40세/34세[누락]
41세/35세경(坰)○
42세/36세○낙(洛)

5. 인물

5.1. 고려 후기~조선 전기

  • 가정(稼亭) 이곡(李穀): 고려 후기의 학자. 한산 이씨의 중시조 목은 이색의 아버지이다. 시호는 문효(文孝)
  • 이지명(李知命): 고려 후기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 한림학사승지(翰林學士承旨), 정당문학(政堂文學), 태자소부(太子少傅), 동지공거(同知貢擧)를 역임하였다. 그의 문하생들로는 조충(趙冲)·한광연(韓光衍)·이규보(李奎報)·유승단(兪升旦)·유충기(劉冲基) 등이 있었다. 시호는 문평(文平)
  • 이순효(李純孝): 고려 후기 전라도순문사를 역임한 관리. 1254년 전라도순문사로 재임하던 중 순직하였다.
  • 이실춘(李實椿): 고려 후기 하정사(賀正使), 호부시랑(戶部侍郎), 형부시랑(刑部侍郎), 중군지병마사(中軍知兵馬事), 위위경(衛尉卿) 역임
  • 문양(文良) 이종덕(李種德): 고려후기 동지밀직사사, 지밀직, 정조사 등을 역임
  • 인재(麟齋) 이종학(李種學): 고려 후기의 문신. 우대언, 첨서밀직사사, 동지공거 등을 역임한 관리.
  • 목은(牧隱) 이색(李穡): 고려 후기 대사성, 정당문학, 판삼사사 등을 역임한 관리. 문신, 학자.
  • 한재(漢齋) 이맹균(李孟畇): 조선 전기 예조참판, 경기도관찰사, 공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 양경(良景) 이종선(李種善): 조선 전기 함길도관찰사, 판한성부사, 중추원사 등을 역임한 문신.
  • 백옥헌(白玉軒) 이개(李塏): 조선 전기 집의, 집현전 부제학 등을 역임한 문신.
  • 송국재(松菊齋) 이파(李坡): 조선전기 예조판서, 좌참찬, 우찬성 등을 역임, 이개의 동생, 저서로 삼국사절요가 있고 시호는 명헌(明憲)
  • 이계린[李季隣]: 조선 전기 문신, 태종 장녀인 정순공주와 부마(남편) 이백강의 사위. 관직에 나가는 것을 마땅치 않게 여겼으나 후에 세종에 의해 동부승지로 발탁후 형조참판, 경기도관찰사, 호조참판, 경상도관찰사, 사헌부대사헌, 황해도관찰사 역임
  • 존양재[存養齋] 이계전[李季甸]: 조선 전기 집현전학자, 강목통감훈 편찬, 답험손실법 폐지 주장.
  • 청허재(淸虛齋) 이맹진(李孟畛): 호조참판, 한성부윤, 형조참판 등 역임, 사후 판중추원사로 추증.
  • 소은(蘇隱) 이봉(李封): 세조 11년 장원급제, 우승지, 좌승지, 공조참판, 경상도관찰사,진향사 역임, 시호는 헌평(憲平)
  • 이숙묘(李叔畝): 조선 전기 문신, 중군동지총제, 경상도도관찰사, 형조참판, 형조판서, 지중추원사, 판한성부사 역임, 시호는 양도(良度)
  • 이숙복(李叔福): 조선 전기 내자시주부, 부교리, 병조좌랑 등을 역임
  • 이숙치(李叔畤): 조선 전기 공조참의, 대사헌, 우참찬 등을 역임, 형조참판을 거쳐 대사헌으로 있을 때, 사사(寺社)의 혁파와 사원전(寺院田)의 감축, 무격(巫覡)의 음사(淫祀) 금지, 지방관 부임시 부모 동반 금지, 사풍(士風)의 탐오(貪汚)와 여자의 부정(不貞)에 대한 제재, 사대부의 처에 대한 자녀안(姿女案) 기록의 철저, 호패법(號牌法) 재시행으로 간사 행위(奸詐行爲) 근절 등을 건의하였다. 시호는 순절(順節)
  • 이언호(李彦浩): 홍문관부응교, 사헌부장령, 홍문관직제학 등을 역임
  • 송애(松厓) 이여(李畲): 정언, 지평, 문학 등을 역임, 진천의 백원서원(百源書院)에 제향
  • 한산군(韓山君) 이영은(李永垠): 조선 전기 좌부승지, 형조참판, 동지중추부사,직예문관 등을 역임, 명황계감가사를 번역하고 경국대전과 세조실록 편찬을 참여하는 학문적 업적이 있다. 시호는 정도(丁悼)
  • 이예견(李禮堅): 조선 전기 지평, 장령, 대사간 등을 역임
  • 이운(李耘): 조선 전기 이조좌랑, 강릉부사, 공조참의 등을 역임
  • 한원군(韓原君) 이유청(李惟淸): 조선 전기 대사헌, 한성부좌윤, 경기도관찰사 등을 역임, 시호는 공호(恭胡)
  • 이자(李耔): 조선전기 한성판윤, 형조판서, 우참찬,대사헌 등을 역, 저서로 음애집, 음애일기가 있고 충주의 팔봉서원(八峰書院)에 배향, 시호는 문의(文懿)
  • 성암(省菴) 이지번(李之蕃): 조선 전기 청풍군수를 역임하였는데 천문지리에 능통하여 이지함처럼 신선이라 불렸다. 그렇다 이 사람은 토정 이지함의 형이였다.
  • 한성군(韓城君) 이훈(李塤): 공조참의, 한성판윤, 의정부좌참찬 등을 역임, 효령대군의 사위, 시호는 안소(安昭)
  • 이청(李淸): 조선 전기 경상도관찰사, 함경도관찰사, 한성부우윤, 이조정랑 등을 역임한 문신으로 기묘명인 중 한 사람이다.
  • 망월암(望越菴) 이축(李蓄) : 조선 전기 첨지중추부사, 이조참의, 황해도관찰사, 호조정랑, 호조좌랑 등을 역임
  • 이치(李稚): 조선전기 한성부참군, 사헌부감찰, 우봉현령 등을 역임, 이산해의 할아버지이다.

5.2. 조선 중기

  • 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 조선 중기 문신, 학자(토정비결).
  • 종남수옹(終南睡翁) 이산해(李山海): 조선 중기의 문신, 영의정.
  • 석루(石樓) 이경전(李慶全): 조선 중기의 형조판서.
  • 후곡(後谷) 이구(李求): 조선 중기의 학자. 선조 ~ 광해군 재임 동안 한림선조유묵(翰林先祖遺墨)을 편찬하였다.
  • 충훈부경력(忠勳府經歷) 이덕수(李德洙): 조선 중기 대사간, 강원감사, 이조참의 등을 역임한 문신. 한산이씨 족보의 초간본을 편집 및 간행하기도 하였다.
  • 순암(順庵) 이병성(李秉成): 문신, 군수,공조정랑 역임, 자서전 순암집이 있고 시문에 능하고 글을 잘 썼다.
  • 반금[伴琴] 이경류[李慶流]: 조선 중기 문신, 선조 24년 을과로 급제해 전적을 거쳐 예조좌랑 임명.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병조좌랑으로 출전해 상주판관 권길과 함께 전사, 상주의 충신의사단에 제향.
  • 북애(北崖) 이증(李增): 승문원정자, 사간원정언, 경기도사, 이조정랑, 병조참의, 도승지, 충청도관찰사, 형조참판, 대사헌, 형조판서, 좌참찬,성절사 등 역임, 평난공신(平難功臣) 3등에 책록, 아천군(鵝川君)에 봉해졌고 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영의정아천부원군(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鵝川府院君)에 추증 시호는 의간(懿簡)이다. 저서로는 『북애집』 1권이 있다.
  • 만사 이경함[李慶涵]: 참찬 이증의 아들, 선조18년 병과로 급제, 정언, 지평, 세자시강원필선, 장령, 상주목사, 광주목사, 호조참판, 경상도관찰사, 병조참판, 한성부우윤 역임. 대단한 호주가였다고 한다.
  • 송와[淞窩] 이기[李墍]: 어려서부터 사서에 능하였고 명종 10년 을과로 급제. 이후 전한이 되어 편수관으로 명종실록 편찬에 참여. 후에 선조 4년 좌승지에 임명된 이후 노모를 봉양하기 위해 사직요청을 했으나 선조가 봉양하라고 강원도관찰사로 제수시켰고 후에 다시 돌아와 우승지가 되었다. 임진왜란 후 여러 직책을 겸하다 사망 후 청백리로 녹선되었고 영의정으로 추증되었다. 시호는 장정[莊貞].
  • 호암[浩庵] 이기조[李基祚]: 광해군7년 병과 급제, 지평, 헌납, 이조좌랑, 교리 등 청요직 역임 후에 인조가 왕위에 오르고 정조성절사로 청나라에 가 세공미 부담 감축을 하였다. 사망 후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시호는 충간[忠簡].
  • 죽천[竹泉] 이덕형[李德泂] : 선조 29년 을과 급제, 대사간, 부제학, 이조참의, 우승지, 병조참판, 도승지, 나주목사, 전라감사, 황해감사 등 여러 관직을 지내고 인조시기 한성부판윤으로 이괄의 난 진압에 공로를 세웠다. 그 후 주문사로 명나라에 다녀오고 정묘호란 및 병자호란 때 왕을 호종하였다. 환도 후 숭록으로 승계해 예조판서, 판의금부사, 지돈령부사, 우찬성 등을 지내고 사후 영의정으로 추증되었다. 저서로 죽찬한화, 송도기이 등이 있다. 시호는 충숙[忠肅].
  • 이동직[李東㮨] : 현종 3년 병과 급제 후 병조좌랑, 경기도도사, 사간원정언, 사헌부장령, 우승지, 예조참의 등 역임.
  • 이령[李翎] : 명종 7년 병과 급제 후 문경현감, 공조좌랑, 지평 등 역임.
  • 이만직[李萬稷] : 목은 이색의 11세손, 숙종 25년 46세 늦은 나이로 진사시 2등으로 합격해 후릉참봉에 보임되었다가 진설사별검으로 전직, 그 뒤 도감랑, 별제, 감찰, 임피현령 등 역임, 인망이 두터웠다고 전해진다.
  • 이목[李穆] : 이괄의 난 때 순절인, 이괄에게 잡혀 혹형을 당했으나 항복을 거부하다 끝끝내 참형을 당하였다. 사후 호조판서에 추증되고 한원군에 봉하였다.
  • 과암[果菴] 이무[李袤] : 인조 7년 병과 급제, 해미현감, 이조참의, 대사성, 대사헌, 우참찬, 예조판서 등 역임.
  • 명곡(鳴谷) 이산보(李山甫): 목은의 7대손, 정언, 순안어사, 수찬, 헌납, 이조정랑, 집의, 직제학, 동부승지, 우승지, 황해도관찰사, 대사간, 이조참판, 이조판서 등 역임, 1594년 대기근이 들자 동궁의 명을 받고 구휼에 힘쓰다 병을 얻어 사망하였다. 1604년 호성공신 2등에 책록되었고 영의정에 추증, 한흥부원군에 추봉되었다. 시호는 충간(忠簡), 화암서원, 건암서원에 제향되어 있다.
  • 이성연(李聖淵): 임피현령, 장악원정 등을 역임
  • 호은(湖隱) 이성원(李性源): 승문원박사, 병조좌랑, 지평 역임
  • 주봉(酒峯) 이후(李厚): 이조정랑 역임
  • 만학(晩學) 이정호(李挺豪): 동몽교관, 공조좌랑, 황간현감 역임
  • 쌍산(雙山) 이현영(李顯英): 대사헌, 예조판서, 형조판서 등을 역임, 시호는 충정(忠貞)
  • 취암(醉菴) 이흡(李洽): 도승지, 이조판서, 좌찬성 등을 역임, 아흥군에 봉해지고 덕산의 회암서원에 배향되었다. 저서로는 취암이공실기가 있다.

5.3. 조선 후기

  • 장음(長陰) 이사관(李思觀): 문신, 호조판서, 좌의정.
  • 이병태(李秉泰): 홍문관부제학, 수찬, 예조참의, 호조참의 역임, 탕평책을 반대하여 왕의 노여움을 사 합천군수로 좌천되었다. 합천군수 역임 당시 많은 기민들을 구제했다. 청백리로 녹선되었고 시호는 문열공.
  • 백악하(白嶽下) 이병연(李秉淵): 부사 역임, 시를 아주 잘 썼고 주로 산술,영물시를 썼다. 영조시대 최고 시인 중 한 명이라고 일컬어졌다. 무려 1만 300여 시를 썼으나 전해지는 시는 500여수 뿐이다. 저서로는 사천시초가 있다.
  • 이거원[李巨源]: 문신, 숙종 43년 정시문과 장원급제 홍문관부수찬.
  • 이경항[李景沆]: 문신, 사헌부감찰, 현종대에 백성들이 부역과 세금때문에 견디지 못하자 이에 둔전을 파해줄 것을 상신하고 소박한 생활을 하며 백성들을 보호하다 재직중 사망하였다.
  • 이희연(李羲淵): 첨정, 옥천군수, 광주목사 등을 역임
  • 소산[小山] 이광정[李光靖]: 사단칠정의 이치를 강구하고 근사록의 천리와 인욕의 동행이정한 이치 터득, 조명천,이평중,조성여 등과 교유하며 심경을 강론하고 예설인 소산집을 편찬해 당시 안동지방의 표준으로 시행
  • 이규령[李奎齡]:현종 3년 병과로 급제 형조좌랑,도승지,한성부우윤 등 많은 직위 역임
  • 이기중(李箕重):사헌부감찰, 형조좌랑, 익위사사어(翊衛司司禦), 장악원주부(掌樂院主簿), 공조정랑 등과 진천현감, 재령군수, 김제군수, 단양군수, 인천부사 등을 역임하였고, 군자감정을 이어 담양부사로 재직중 죽었다. 이조참판, 동지의금부사, 오위부총관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문열공.
  • 이유당(怡愉堂) 이덕수(李德洙): 선조시기에 병과급제해 저작,박사 역임, 광해군 4년 김직재의 무옥때 장인과 함께 연루되어 이산과 창평으로 유배되었다가 1621년 풀려나 인조반정으로 등용되어 예조좌랑 겸 지평을 지냈다.
  • 이수옹(二水翁) 이덕연(李德演): 선조때 음보로 전설서별제로 임명되고 감찰과 진천현감을 역임했다. 그 후 광해군 때 문화부사가 되었으나 폭정과 문란한 정치를 보고 사직하였고 철원에 은거하였다. 그러다 인조반정 후 동지중추부사가 되고 한산군에 습봉되었고 1634년 노인직으로 정2품이 되었다.
  • 이명의[李明誼]: 숙종시기 병과급제, 홍문관수찬, 이조정랑, 헌납, 대사간 등 역임
  • 이휘조(李徽祚): 선공감감역, 장원서주부, 이천부사 등을 역임
  • 약와(約窩) 이현정(李顯靖):영조때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정조때에는 홍문록(弘文錄)에 오르고 교리로서 왕에게 많은 소를 올려 자신의 주장을 정책으로 펴는 데 전력, 지제교. 문효세자의 스승을 지냈다.
  • 이민채[李敏采] : 정조1년 을과급제 정언,헌납,승지,양주목사,참판 역임, 글을 잘 써 양주어사대비를 썼다.
  • 산수(山叟) 이사인(李士仁): 문인화가, 남종화법이 가미된「산수도」를 그린 화가.
  • 번계(樊溪) 이선(李䆄): 공조정랑, 예조정랑, 승문원판교 역임
  • 춘파(春坡) 이성령(李星齡): 서윤 역임, 역사에 밝았으며 조선 태조가 개국한 이래 1638년(인조 16)까지의 정사 및 야사를 편년체로 기술한 이성령의 저서 『춘파당일월록(春坡堂日月錄)』가 있다.
  • 이세연(李世演): 정언, 지평, 응교, 대사간 역임
  • 만성(晩醒) 이수경(李壽慶): 정언, 부호군 역임, 저서로는 기축록(己丑錄), 이색비(李穡碑), 청풍군수이덕순표(淸風郡守李德淳表)가 있다.
  • 삼산(三山) 이병상(李秉常): 부제학·대사헌·이조참판·정언·수찬 등 역임, 시호는 문청(文淸)
  • 삼산(三山) 이태중(李台重): 예조참판, 호조판서, 예문관제학 등을 역임, 청백리에 녹선되었고 시호는 문경(文敬), 저서로 삼산집이 있다.
  • 이수득(李秀得): 청주목사, 충청도관찰사, 대사간, 대사헌 역임
  • 약와(約窩) 이현정(李顯靖): 조선후기 교리를 역임
  • 군좌(君佐) 이수보(李秀輔): 헌릉참봉, 청주목사, 돈녕부도정 역임
  • 취몽헌(醉夢軒) 이수언(李秀彦): 대사헌, 전라도관찰사, 형조판서 역임, 청주의 국계사(菊溪祠)에 제향 시호는 정간(正簡)
  • 구호(龜湖) 이수일(李秀逸): 영의정 이산해의 7대손, 지평, 장령, 헌납, 승지 역임
  • 한흥군(韓興君) 이여발(李汝發): 조선후기 무신, 포도대장, 총융사, 수원부사, 지중추부사 등을 역임, 시호는 정익(貞翼)
  • 한릉군(韓陵君) 이해우(李海愚): 조선후기 무신,우포도대장, 금위대장, 훈련대장 등을 역임 시호는 정민(貞敏)
  • 옥국재(玉局齋) 이운영(李運永): 조선후기 면천군수, 황간현감, 동지중추부사 등을 역임, 바둑을 너무 좋아하여 호마저 옥국재로 되었다. 저서도 옥국재유고이다. 문장에 능하고 글씨도 잘 써 탁지문(度支門) 액자를 쓰기도 하였다.
  • 담화재(澹華齋) 이윤영(李胤永): 조선후기 문인화가, 청호녹음도, 경송초루도, 삼척능파대, 고란사도를 그렸고 시도 잘 지어 단릉산인유집, 단릉유고에 실려있다.
  • 수남(水南) 이이장(李彛章): 조선후기 부승지, 동래부사, 도승지, 전라도암행어사 등 역임, 사후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시호는 충정(忠正)
  • 귀천(歸川) 이정기(李廷夔): 조선후기 예조참의, 성균관대사성, 이조참의, 이조참판, 한성부좌윤 등 역임, 저서로 월파만록(月坡漫錄), 순외편(順外編)가 있다.
  • 한주(韓州) 이집(李潗): 승정원승지, 황해도관찰사 등을 역임, 저서로 한주집이 있다.
  • 눌재(訥齋) 이태연(李泰淵): 병조참의, 경상도관찰사, 이조참의 등을 역임
  • 도곡(陶谷) 이필중(李必重): 조선후기 시강원설서를 역임
  • 송파(松坡) 이해창(李海昌): 조선후기 수찬, 교리, 헌납 등을 역임, 인조실록 편찬에 참여, 저서로 송파집이 있다.
  • 이행(李涬): 조선후기 희릉참봉, 포천현감, 평창군수 등을 역임
  • 이행원(李行源): 조선후기 예조좌랑, 병조정랑, 경기도도사 등을 역임
  • 삼죽(三竹) 이홍연(李弘淵): 호조참판, 도승지, 대사간 등을 역임
  • 운암(雲巖) 이흥발(李興浡): 집의를 역임하였고 이조참의에 추증되었다. 저서로 운암일고가 있다.
  • 평천(平泉) 이희갑(李羲甲): 이조참의, 황해도관찰사, 형조판서 등 역임, 시호는 정헌(正獻)
  • 계서(溪西) 이희평(李羲平): 전주판관, 황주목사 등을 역임, 저서로 화성일기, 과정록이 있다.
  • 이희준(李羲準): 형조판서, 예조판서, 대사헌 등을 역임, 시호는 문정(文靖)

5.4. 근현대 인물[8]

5.4.1. 23세/17세손

  • 이겸재(李謙在): 조선 말기의 이조판서.
  • 월남(月南) 이상재(李商在): 독립운동가, 사회운동가. 신간회 회장. 조선일보 사장.
  • 만회당[萬悔堂] 이대직(李大稙): 조선 말기 예조참의, 헌납, 교수 등 역임
  • 이명직[李明稙]: 고종 30년 병과급제 후 훙문관부교리, 내장원경, 효혜전향관, 궁내부특진관 등 역임

5.4.2. 24세/18세손

  • 수경(粹卿) 이승순(李承純): 대한제국시절 장례원경, 궁내부특진관, 시종원경 등을 역임한 관료.
  • 이승위(李承緯): 조선 말기의 연암부사.
  • 이수영(李秀瑩): 조선 말기 의금부도사, 안동 서산영당(현,서산서원)훈장, 1855년 사도세자(장헌세자) 추존 만인소 등재

5.4.3. 25세/19세손

  • 해관(海齧) 이관직(李觀稙): 일제강점기 신민회회원, 신흥학교 교두 등을 역임한 독립운동가.
  • 설정(雪汀) 이태직(李台稙): 대한제국 시절 주차일본조선공사관 참서관, 대리공사 등을 역임한 외교관.
  • 남운(南雲) 이홍직(李弘稙): 해방 이후 한국고문화논고, 국사대사전, 한국고대사의 연구 등을 저술한 학자. 역사학자. 김재익, 한승주, 김교창의 장인. 김정주의 외할아버지
  • 강암(剛庵) 이용직(李容稙): 대한제국기 비서경, 황해도관찰사, 학부대신 등을 역임

5.4.4. 26세/20세손

  • 이긍규: 전 언론인, 전 국회의원.
  • 수당(修堂) 이남규(李南珪): 조선 고종 때 홍문관 수찬, 중추원 의관, 궁내부 특진관 등을 역임한 관료이자 '홍주성 전투' 당시 선봉장이면서 의병대장 민종식에게 군자금을 대주고 숨겨준 혐의로 아들과 함께 일본군에게 피살[9]당한 독립운동가. 이남규-이충구-이승복-이장원까지 4대가 모두 나라를 위해 순국한 애국자 집안[10]으로 널리 알려짐. 사저인 '수당고택'은 조선 후기 양반가의 표준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고택으로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는 명소이자 국가지정문화재[11]임.
  • 이만규 : 직업이 의사였으나 남궁억의 영향을 받아 교육자 및 한글 학자로 활약하며 한글 궁체를 연구하여 딸들인 각경, 철경, 미경 세 자매를 한글 서예가로 성장시켰음.
  • 춘당(春塘) 이용규(李容珪): 대한제국 시절 민종식 의병부대의 참모사로 홍주성 공방전에 참전한 의병.
  • 아주(鴉州) 이우규(李祐珪): 대한제국 시절 잠상촬요를 저술한 유학자이자 실학자.
  • 이재규(李在珪): 해방 이후 한국내에 유포된 결핵균의 독력에 관한 실험적 연구, 최신결핵요법 등을 저술한 학자. 의학자.
  • 이성규(李星珪): 사업가, 희극인. 예명은 이원승.
  • 효암(曉庵) 이일규(李一珪): 법조인, 전 대법원장.
  • 이순자(1938)

5.4.5. 27세/21세손

  • 이관구(李寬求): 해방 이후 한국신문편집인협회 초대회장, 경향신문사 부사장, 한국신문연구소 제3대 소장 등을 역임한 언론인. 경제학자.
  • 이돈구: 서울대학교 교수, 산림청장 역임.
  • 명천(鳴川) 이문구: 소설가, 시인.
  • 꽃뜰 이미경: 한글서예가. 한글궁체 흘림체의 최고봉으로 평가받는 여성서예가.
  • 이선희: 대한민국 역대최고의 여성가수 중 한 사람으로 평가받는 가수. 서울시의회 의원 역임. 시의원을 지내는 동안 세비를 받지 않은 것으로 유명함.
  • 이인구: 기업인, 정치인.
  • 이인구: 1세대 광고카피라이터, 교수. 이해인 수녀의 친오빠.
  • 이준구: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 위당(韋堂) 이진구(李鎭求): 해방 이후 총본사 전무, 정교, 원로원 참의 등을 역임한 대종교인
  • 갈물 이철경: 금란여고교장, 대한주부클럽연합회장, 사단법인 한국여성단체협의 회장 등 역임, 한글궁체 정자체의 최고봉으로 평가받는 여성서예가. 쌍둥이 동생 이각경, 동생 이미경과 함께 세자매가 모두 명필로 일가를 이룸.
  • 이헌구: 평론가.
  • 이훈구(1896)(李勳求): 해방 이후 단국대 학장, 성균관대학교 총장 등을 역임한 교육자. 민주사회당의 위원장, 초대 대한민국 참의원 의원 역임.
  • 만당(晩堂) 이혜구(李惠求): 현대국악학의 창시자. 서울대학교에 국악학과 설립.
  • 이정훈(1990) (李定勳): 서울대학교 이학박사 학위를 받은 후 하버드 의과대학 의생명정보학 연구원으로 재직하였으며, 현재는 스탠포드 의과대학에서 Postdoctoral position으로 AI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 이해인: 수녀, 작가, 시인

5.4.6. 28세/22세손

5.4.7. 29세/23세손

  • 이광원: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교수
  • ONE.KI[12]: RAINZ 출신 싱어송라이터.
  • 이보원: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전자공학과 교수
  • 이석원(John Rhee): 뉴욕 Wells Fargo증권 전무이사. (New York Univ. Stern School)
  • 이재원: 제1정무장관 보좌관(1980~1990, 제5대)
  • 이준원: 전 공주시장
  • 이조원 중앙대학교 사회과학대 정치국제학과 교수
  • 이충원: 경북대학교 교수
  • 이춘원: 위대한 프로그래머 (Before: NCSOFT)
  • 이하영 (Hayoung Rhee): JD(Univ. of Michigan Juris Doctor), 미국변호사 (뉴욕Hughes Hubbard & Reed LLC-법무법인 광장-법무법인 율촌)
  • 이성원: 전남대학교 교수
  • 이도원: 트위치 스트리머겸 종합게임 유튜버
  • 이경원: 서영대학교 사회복지행정과 교수, 이벤트 사회자
  • 이효원: 나의교회 목장리더

5.4.8. 30세/24세손

5.4.9. 32세/26세

5.4.10. 계보불명

  • 김길선의 모친: 양반가임이 자랑스러웠는지, 호칭할 때 꼭 량반 한산 리씨라 부르게 하였고, 량반을 안 붙이면 크게 성을 냈다고 한다.
  • 이자연: 트로트 가수, 여성가수 최초의 대한가수협회장(제 6대).
  • 이항진(1898)

6. 기타

  • 서천 문헌서원 한산이씨 족보가 문화재로 등록되어 있다.
  • 청주시에서 목은 이색을 모신 청주 주성강당은 1997년 충청북도 문화재 자료 17호로 등록된 바 있다.
  • 이씨를 성으로 두는 가문 중 인구수가 적은 축에 속한다. 특히나 권지공계의 경우 정말로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보니 이렇다 할 인물이 없고, 집성촌 또한 찾아내기가 매우 힘들다. 당장 집성촌 표를 보듯이 권지공계 한산이씨의 집성촌은 평양과 연길시인 것만 알려져 있고 세부적인 동이나 리, 가도가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이는 평양시가 미수복 지역인데다 연길시는 중국 지역이니 알아내기 힘든 점도 한 몫 한다.
  • 성남시에서 한산 이씨의 묘역을 찾아갈 수 있다. 6.25 전쟁 당시 묘역에서 전투가 벌어졌던 모양인지 비석과 석상 등에서 탄흔과 총알이 박혀서 약간씩 부서진 모습을 볼 수 있다.


[1] 남한 지역에 존재하는 유일한 권지공계 집성촌이다.[2] 목은 이색의 후손이 주축을 이루는 한산 이씨 대종회 측은 권지공계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물론 시조의 관계에도 부인하고 있다. 안동 김씨의 경우처럼 본관과 성만 같을 뿐이고 다른 가문으로 생각하는 듯.[3] 오타나 도중에 누락된 것이 아니다. 실제 한산 이씨 분파 도표에서도 이렇게 표기되어 있다.[4] 전주 이씨 덕천군파에도 천지인 삼행법을 쓰는데, 파조 29대손부터라 당장 이 항렬을 쓰는 예는 나오지 않는다.[5] 벼 이름 기.[6] 큰물 량[누락] 한산이씨 뿌리정보 사이트의 항렬표에서도 누락된 채로 나와있다.[8]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인물까지 아우른다.[9] 민종식을 은닉했던 일로 아들과 함께 구금되었다 풀려났고, 이후 1907년 고종의 퇴위와 군대 해산 등으로 인한 저항으로 인해 이를 경계하던 일제에 의해 압송되던 중 아산 송악면 평촌리에서 장남 충구와 하인 김응길과 함께 일제에 의해 피살된 것이다.[10] 이남규의 손자인 이승복(1895~1978) 선생은 노령과 북만주에서 활약하다가 구금된 이후 국내에서 신간회 등에 참여했고, 그 아들인 이장원(1928~1951) 해병 중위(본래 소위, 사후 충무무공훈장과 함께 추서)는 6.25 전쟁 와중 원산 황토도 방어전 도중 전사했다. 현재 이남규, 이충구, 이승복 3대는 국립대전현충원에 4대 이장원 중위는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어 있다.[11] 본래는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68호로 지정(1976년 7월 7일)했다가 가치를 인정받아 2014년 국가민속문화재 제281호로 승격 지정(2014년 2월 25일)했다.[12] 본명 이기원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