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경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5f5f5,#2d2f34> 니까야 | 디가 니까야 | 맛지마 니까야 | 쌍윳따 니까야 | 앙굿따라 니까야{{{#!wiki style=""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 ||||
}}} | |||||||
대승 경전 | 반야바라밀다심경 | 금강반야바라밀경 | 대방광불화엄경 | 묘법연화경 | 지장보살본원경 | 능엄경 | 관세음보살보문품 | 보현행원품 | 약사경 {{{#!wiki style="" | }}} {{{#!wiki style=""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 }}} | |||
밀교 | 천수경 | 대일경 | 금강정경 | 대승장엄보왕경 | }}}}}}}}} |
1. 개요
《고왕경(高王經)》의 고왕관세음경(高王觀世音經)의 줄임말로, 본래 이름은 《관세음보살구생경(觀世音菩薩求生經)》이다.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부르는 내용으로 구성된 경전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관음신앙이 널리 홍포되면서부터 많이 독송되기 시작한 경이다2. 상세
민간에서의 관음신앙은 재앙을 멀리하고 복을 구한다는 민중들의 현실적 욕구에 입각하여 발전해왔는데, 거기에 편승하여 널리 보급되어온 위경 중의 하나가 바로 《고왕경》이다.그리고 《몽수경》은 꿈에서 받은 경전이란 뜻으로 《고왕경》에서 다시 핵심의 부분만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