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개요
1966년 196,377명을 정점으로 계속 감소를 거듭했다. 2010년 6월 말에 처음으로 6만명선이 붕괴되자 위기감을 느낀 고창군의 노력으로 한 달만에 다시 6만을 회복하고# 끈질기게 6만명 선을 지키고 있었지만 여타 인구과소 시군과 마찬가지로 연말 땜질식 인구 늘리기 행위라서 실질적으로는 이미 진작에 6만이 붕괴된 상황이었다. 그리고 이런 행위로도 더이상 6만을 사수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는지 2018년 6만명 선이 붕괴되었다.군 지역끼리만 비교할 경우 전북특별자치도의 군 중에서는 완주군 다음으로 인구가 많으며 전라남도까지 포함하면 완주군, 무안군, 해남군, 고흥군, 화순군에 이어 여섯 번째로 많다.
2. 고창군 전체 인구
(1966년~현재) |
1966년 196,377명 |
1970년 178,285명 |
1975년 175,197명 |
1980년 144,961명 |
1985년 125,223명 |
1987년 1월 1일 고창군 성내면 조동리 일부 → 정읍군 소성면 보화리 편입 |
1990년 95,732명 |
1995년 85,173명 |
2000년 74,104명 |
2005년 63,676명 |
2010년 60,861명 |
2015년 60,046명 |
2020년 54,529명 |
2024년 12월 50,982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0만 명 |
읍면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고창읍 20,447명 |
대산면 2,905명 | |
흥덕면 2,881명 | |
무장면 2,653명 | |
부안면 2,649명 | |
해리면 2,508명 | |
아산면 2,435명 | |
심원면 2,298명 | |
공음면 2,289명 | |
고수면 2,279명 | |
상하면 2,228명 | |
신림면 2,027명 | |
성내면 1,820명 | |
성송면 1,651명 | |
2024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
2.1. 읍면별 인구
(1966년~현재) |
1966년 24,149명 |
1970년 22,517명 |
1975년 23,725명 |
1980년 20,961명 |
1985년 22,432명 |
1987년 1월 1일 고수면 봉산리 일부 → 고창읍 덕산리 편입 |
1990년 19,623명 |
1995년 20,448명 |
2000년 21,509명 |
2005년 20,160명 |
2010년 21,149명 |
2015년 22,320명 |
2020년 21,394명 |
2024년 11월 20,447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1966년~현재) |
1966년 11,516명 |
1970년 10,337명 |
1975년 9,698명 |
1980년 8,011명 |
1985년 6,554명 |
1987년 1월 1일 고수면 봉산리 일부 → 고창읍 덕산리 편입 |
1990년 4,909명 |
1995년 4,265명 |
2000년 3,540명 |
2005년 2,989명 |
2010년 2,697명 |
2015년 2,476명 |
2020년 2,246명 |
2024년 11월 2,279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
(1966년~현재) |
1966년 14,213명 |
1970년 12,860명 |
1975년 12,327명 |
1980년 9,984명 |
1985년 7,706명 |
1990년 5,865명 |
1995년 5,214명 |
2000년 4,184명 |
2005년 3,390명 |
2010년 3,126명 |
2015년 3,052명 |
2020년 2,672명 |
2024년 11월 2,435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
(1966년~현재) |
1966년 14,803명 |
1970년 13,958명 |
1975년 13,558명 |
1980년 11,225명 |
1985년 9,970명 |
1990년 7,258명 |
1995년 5,925명 |
2000년 4,815명 |
2005년 3,857명 |
2010년 3,530명 |
2015년 3,231명 |
2020년 2,795명 |
2024년 11월 2,653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
(1966년~현재) |
1966년 13,856명 |
1970년 12,893명 |
1975년 12,821명 |
1980년 10,617명 |
1985년 8,599명 |
1990년 6,111명 |
1995년 5,290명 |
2000년 4,132명 |
2005년 3,400명 |
2010년 3,012명 |
2015년 2,912명 |
2020년 2,525명 |
2024년 11월 2,289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
(1966년~현재) |
1966년 12,073명 |
1970년 10,883명 |
1975년 11,056명 |
1980년 11,307명 |
1985년 7,404명 |
1987년 1월 1일 상하면 송곡리 일부 → 해리면 안산리 편입 |
1990년 5,054명 |
1995년 4,387명 |
2000년 3,635명 |
2005년 3,069명 |
2010년 2,889명 |
2015년 2,708명 |
2020년 2,435명 |
2024년 11월 2,228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
(1966년~현재) |
1966년 16,347명 |
1970년 14,533명 |
1975년 14,011명 |
1980년 11,307명 |
1985년 9,589명 |
1987년 1월 1일 상하면 송곡리 일부 → 해리면 안산리 편입 |
1990년 7,289명 |
1995년 5,901명 |
2000년 4,598명 |
2005년 3,803명 |
2010년 3,393명 |
2015년 3,155명 |
2020년 2,807명 |
2024년 11월 2,508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
(1966년~현재) |
1966년 12,093명 |
1970년 10,764명 |
1975년 10,206명 |
1980년 8,293명 |
1983년 2월 15일 성송면 산수리 일부 → 대산면 매산리 편입 대산면 중산리 일부 → 성송면 하고리 편입 |
1985년 6,485명 |
1987년 1월 1일 성송면 상금리 → 대산면 편입 |
1990년 4,413명 |
1995년 3,663명 |
2000년 2,946명 |
2005년 2,304명 |
2010년 2,108명 |
2015년 2,055명 |
2020년 1,814명 |
2024년 11월 1,65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
(1966년~현재) |
1966년 14,150명 |
1970년 13,066명 |
1975년 13,488명 |
1980년 11,455명 |
1983년 2월 15일 성송면 산수리 일부 → 대산면 매산리 편입 대산면 중산리 일부 → 성송면 하고리 편입 |
1985년 9,987명 |
1987년 1월 1일 성송면 상금리 → 대산면 편입 |
1990년 8,034명 |
1995년 7,110명 |
2000년 5,940명 |
2005년 4,712명 |
2010년 4,386명 |
2015년 3,917명 |
2020년 3,337명 |
2024년 11월 2,905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
(1966년~현재) |
1966년 11,110명 |
1970년 10,028명 |
1975년 9,923명 |
1980년 7,937명 |
1985년 6,434명 |
1990년 5,088명 |
1995년 4,608명 |
2000년 3,833명 |
2005년 3,375명 |
2010년 2,932명 |
2015년 2,806명 |
2020년 2,519명 |
2024년 11월 2,298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
(1966년~현재) |
1966년 12,339명 |
1970년 11,203명 |
1973년 7월 1일 신림면 제하리 → 흥덕면 편입 |
1975년 11,386명 |
1980년 9,318명 |
1985년 7,766명 |
1987년 1월 1일 신림면 송암리 → 흥덕면 편입 |
1990년 6,400명 |
1995년 5,659명 |
1999년 9월 8일 흥덕면 하남리 일부 → 성내면 덕산리 편입 성내면 덕산리·신성리 일부 → 흥덕면 하남리 편입 |
2000년 4,788명 |
2005년 4,033명 |
2010년 3,686명 |
2015년 3,638명 |
2020년 3,114명 |
2024년 11월 2,88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
(1966년~현재) |
1966년 11,180명 |
1970년 10,076명 |
1975년 9,455명 |
1980년 7,467명 |
1985년 5,951명 |
1987년 1월 1일 고창군 성내면 조동리 일부 → 정읍군 소성면 보화리 편입 |
1990년 4,366명 |
1995년 3,812명 |
1999년 9월 8일 흥덕면 하남리 일부 → 성내면 덕산리 편입 성내면 덕산리·신성리 일부 → 흥덕면 하남리 편입 |
2000년 2,981명 |
2005년 2,538명 |
2010년 2,352명 |
2015년 2,221명 |
2020년 1,971명 |
2024년 11월 1,820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
(1966년~현재) |
1966년 14,550명 |
1970년 12,735명 |
1973년 7월 1일 신림면 제하리 → 흥덕면 편입 |
1975년 11,246명 |
1980년 9,035명 |
1985년 7,008명 |
1987년 1월 1일 신림면 송암리 → 흥덕면 편입 |
1990년 4,787명 |
1995년 4,086명 |
2000년 3,275명 |
2005년 2,747명 |
2010년 2,491명 |
2015년 2,452명 |
2020년 2,252명 |
2024년 11월 2,027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
(1966년~현재) |
1966년 13,982명 |
1970년 12,432명 |
1975년 12,277명 |
1980년 10,133명 |
1985년 9,338명 |
1990년 6,535명 |
1995년 4,805명 |
2000년 3,928명 |
2005년 3,302명 |
2010년 3,110명 |
2015년 3,103명 |
2020년 2,648명 |
2024년 11월 2,649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