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지방자치단체에서 직접 운영하는 버스를 의미한다.2. 위탁운영제와 직영제
지방자차단체마다 규모가 큰 회사도 있고 작은 회사도 있는데 대부분의 회사들은 수익성이 좋은 도심이나 중심지에 치중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인천광역시, 광주시, 남양주시, 이천시, 여주시, 청주시처럼 지역의 면적은 넓고 시내버스가 필요한 구간이 많지만 업체들이 노선 신설을 거부하는 사례가 발생한다. 이런 경우 지방자치단체는 위탁운영제를 실시한다. 위탁운영제는 비수익 노선을 보조하기 위한 운영비를 해당 지역 회사에 지급하는 방식이다. 이럴 경우 차량에 법적 소유권을 구분하기 위해 '공영'이라는 표시를 하지만 회사가 사실상 차량을 지배하기 때문에 배차와 정비에서 공영버스라고 구분하지는 않는다. 위탁운영제의 경우에는 보조금 지원을 통해 회사에 일정 수준의 수입을 보장한다는 면에서 준공영제의 방식과 일부 유사하다.매우 드문 사례지만 필요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나 산하 공기업, 또는 농협조합에서 직접 버스를 운영하는 경우도 있다. 회사가 도산하였지만 인수할 업체가 마땅하지 않았던 제주특별자치도나 인천광역시처럼 노선은 필요한데 업체가 운행을 꺼리며 그렇다고 보조금을 주기도 마땅치 않은 경우 직접 운영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옛날 과천시처럼 지나가는 회사는 많은데 자기 지자체 소재 회사는 없는 경우도 있었다. 지금의 과천시에는 과천여객과 과천운수가 생기면서 옛말이다. 세종특별자치시와 같이 공영버스를 통한 운송서비스 향상을 결단한 경우도 직접 운영하는 예에 해당한다.
공영버스를 직접 운영하는 기초자치단체는 옹진군, 신안군, 봉화군, 성주군, 정선군, 목포시, 제주시, 서귀포시이며 비수익 노선을 공영버스로 운행한다. 지방자치단체 산하의 공기업이 공영버스를 운영하는 지역은 인천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화성시, 고양시, 아산시, 속초시이다. 기존 사업자가 위탁으로 운행하는 지역을 포함하면 더 많다.
서울특별시에도 공영버스가 2000년대 후반까지 다녔다.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김상곤 예비후보는 신성여객 운행중단 사태를 계기로 경기도 시내버스의 공영제와 버스요금 무료화를 공약으로 내세웠다. 이 논란은 호남까지 확산되었다.# 버스 요금 무료화는 포퓰리즘이라는 지적이 많았다. 결국 해당 공약은 무산되었고, 이후에도 잘 거론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버스기사들의 근무환경 열약으로 인한 사고가 지속적으로 일어남에 따라 준공영제 도입에 대한 움직임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중이다.[1]
지자체에서 직영으로 운영하거나 지자체가 노선과 차량을 모두 소유하고 운행만 업체에 맡기는 형태의 공영버스는 자가용 번호판을 달고, 노선 및 차량 소유권이 업체에 있는 공영버스는 영업용 번호판을 단다.
3. 국내 노선 및 운영사 목록
대한민국의 공영버스 브랜드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울산광역시 | |||
마실버스 | ||||
인천광역시 | ||||
인천광역시 공영버스 | ||||
경기도 | ||||
맞춤형버스 | ||||
고양시 | 남양주시 | 성남시 | 양주시 | |
고양누리버스 | 땡큐버스 | 누리·반디버스 | 공영버스 | |
양평군 | 용인시 | 오산시 | 이천시 | |
행복버스 | 용인시 공공버스 | 까산이버스 | 시티링크 | |
화성시 | ||||
H버스 | ||||
강원특별자치도 | ||||
강릉시 | 삼척시 | 원주시 | 영월군 | |
마실버스 | 오랍드리버스 | 누리버스 | 행복버스 | |
평창군 | ||||
Happy 700 평창 우리동네 평화마을버스 | ||||
충청남도 아산시 | ||||
마중버스 |
- 강릉시 마실버스
- 경기도 맞춤형버스
- 고양누리버스[2]
- 광주광역시 공영버스
- 광주시(경기도) 공영버스
- 김해시 공영버스
- 남양주시 공영버스
- 목포시 공영버스
- 무안 버스 50, 55
- 농협버스
- 삼척시 오랍드리버스
- 성남시 공영버스
- 성주읍 순환버스
- 세종도시교통공사 운영 버스
- 속초마을버스
- 신안군 공영버스 운영 버스
- 아산시 마중버스
- 양구군 농어촌버스[3]
- 양주시 공영버스
- 양평군 단월행복버스
- 여주시 공영버스
- 영월군 행복버스
- 오산시 까산이버스
- 완주군 마을버스
- 용인시 공영버스
- 울릉군 농어촌버스
- 울산광역시 공영버스
- 울산 버스 313
- 울산 버스 343[4]
- 마실버스: 울산 버스 울주81 울산 버스 울주82, 울산 버스 울주83, 울산 버스 울주84, 울산 버스 울주85, 울산 버스 울주86, 울산 버스 울주87, 울산 버스 울주88, 울산 버스 울주89, 울산 버스 울주90
- 원주시 누리버스
- 이천시 공영버스
- 인천광역시 공영버스
- 인천교통공사 운영 버스[6]
- 정선군 농어촌버스[7]
- 제주특별자치도 공영버스
- 청주시 공영버스
- 코레일네트웍스 운영 버스
- 파주 버스 9
- 함안군 공영버스
- 화성시 공영버스
4. 관련 문서
[1] 물론 준공영제가 만능은 아니라서 청주시, 진주시와 같이 준공영제를 도입한 이후 상황이 더 안 좋아지는 곳도 존재한다.[2] 고양시 산하 공기업인 고양도시관리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다.[3] 양구군청에서 농어촌버스 노선을 직접 운영하고 있다.[4] 이상 두 노선 모두 대우여객 운행 노선이었으나, 경영난으로 언양권 노선을 처분하면서 울산-남성 계열에 인수됨[5] 2023년 3월 1일 폐선[6] 도시철도 뿐만 아니라 버스까지 운행하고 있다.[7] 정선군청에서 농어촌버스 노선을 직접 운영하고 있다.[8] 제부여객이 위탁운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