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8 23:48:11

천주교 광주대교구

광주대교구에서 넘어옴

파일:대한민국 천주교 상징.svg 한국천주교 교구
서울관구 서울 · 인천 · 수원 · 의정부 · 춘천 · 원주 · 대전 · 평양 · 함흥
대구관구 대구 · 부산 · 안동 · 마산 · 청주
광주관구 광주 · 전주 · 제주
교황청 직속 군종 · 덕원자치수도원
밑줄: 대교구
※ 위 첨자: 침묵의 교회
<colbgcolor=#e7290e,#e7290e><colcolor=#fff> 천주교 광주대교구
Archdiocese of Gwangju
Archidioecesis Kvangiuensis
<nopad> 파일:천주교 광주대교구 로고(가로형).svg
형태 <colbgcolor=#ffffff,#1c1d1f>가톨릭 교구
전례 로마 전례
교구 설정일 1937년 4월 13일 ([age(1937-04-13)]주년)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관구 광주관구
관할구역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주보성인 성 안셀모
교구청 소재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대로 980 (쌍촌동)
주교좌 임동성당
북동성당
교구장 옥현진 시몬 대주교
총대리 김영권(세바스티아노) 신부
은퇴 주교 윤공희 빅토리노 대주교
최창무 안드레아 대주교
김희중 히지노 대주교
교구 현황 대주교 4명
사제 302명
본당 142개
공소 79개
신자 367,600명
(한국 천주교회 통계 2024 기준)
파일:천주교 광주대교구 심볼.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톡 아이콘.svg
<colbgcolor=#e7290e,#e7290e><colcolor=#fff> 파일:광주대교구 주교좌 임동성당.png
공동주교좌 임동성당
파일:광주대교구 공동주교좌 복동성당.png
공동주교좌 복동성당
1. 개요
1.1. 역사
2. 주교단
2.1. 역대 교구장
3. 성사전담사제4. 부서
4.1. 사무처
4.1.1. 비서실
4.2. 관리국4.3. 사목국4.4. 청소년사목국4.5. 성소국4.6. 사회사목국
5. 관할 구역
5.1. 광주광산1지구5.2. 광주광산2지구5.3. 광주남부지구5.4. 광주동부지구5.5. 광주북부1지구5.6. 광주북부2지구5.7. 광주서부지구5.8. 나주함평지구5.9. 목포무안지구5.10. 목포신안지구5.11. 서남부지구5.12. 순천지구5.13. 여수지구5.14. 중남부지구
6. 미사 있는 성지7. 미사 있는 공소8. 교포사목9. 기관 및 단체10. 살레시오회11. 기타
11.1. 의료기관
12. 여담13. 관련 문서

1. 개요

파일:2025년 광주대교구 사목표어.jpg
“여러분의 희망이 성령의 힘으로
넘치기를 바랍니다.”

2025년 천주교 광주대교구 사목표어
광주광역시전라남도의 천주교 교회를 관할하는 대한민국가톨릭 교구이다. 주보성인은 성 안셀모. 주교좌성당은 임동성당과 북동성당이며, 광주관구의 중심 교구이다.

1937년 4월 대구대목구에서 전라남도제주도를 관할로 하는 광주지목구[1]로 분리되면서 교구가 설정되었으며, 1971년 제주도가 제주지목구로 분리된 후 1977년 정식 교구로 승격됨에 따라 광주광역시전라남도를 포함하는 관할구역이 설정되었다.

2022년부터 교구장은 10대 교구장 옥현진 시몬 대주교이다.

2024년 기준 총 신자 수는 366,882명, 주교 4명[2], 사제 302명이 소속되어 있으며, 교구 내 본당 수는 142개이며 공소는 79곳이 있다.

1.1. 역사

광주대교구의 역사는 1933년 아일랜드에 본부를 둔 성골롬반외방선교회가 진출하면서 시작된다. 1934년 5월 대구대목구 내 전남 감목대리구(감목대리: 임 맥폴린 신부)를 설정하였고, 1937년 4월 대구대목구로부터 광주지목구를 설정함으로써, 별도의 교구가 설정되었다. 초대 지목구장은 임 맥폴린 신부였고, 교구청은 전라남도 목포시 산정동 97번지에 위치한 산정동성당 인근에 위치했었다. 과거에는 산정동성당이 주교좌성당이었다.

전라남도에 진출한 성 골롬반 외방선교회가 그곳을 중심으로 전라남도 사목을 펼쳤다. 지금은 없어졌지만 가난하고 고통받던 이들을 치료하던 성 골롬반 병원(목포가톨릭병원)이 그곳에 존재했었고, 現 목포가톨릭대의 전신이던 성 골롬반 간호학교도 거기서 설립되었다. 전남과 광주의 가톨릭 교회가 태동한 지점이기에 광주대교구는 그 터에 (가칭) 성 미카엘 대성당을 지으려고 계획했었다. 이 계획은 오랜시간 지연되었다가 2020년 10월 산정동순교자기념성당이 완공되었고, 2021년 5월에 준대성전으로 선포되었다.

그러나 일제에 대해 부정적이던 임 맥폴린 신부는 결국 1941년 감옥에 투옥되고, 1942년 교구장 사임 후 주재용 몬시뇰이 교구장 서리로 임명된다. 그 후 일제의 압력에 의해 1943년 2월 일본인 와끼다 아사고로 몬시뇰이 2대 교구장에 취임했고, 그에 따라 목포의 교구청도 광주시 북동 33번지 현 북동성당으로 이전되었다. 1945년 5월 강원도 사목도 펼치던 골롬반회 성직자 11명이 강원도 홍천군에 연금되었고, 3개월 후 목포본당 보좌 길 헨리꼬 신부가 홍천에서 이질로 선종했다.

1945년 8월 15일 해방이 이루어지자 와끼다 교구장은 사임했고[3], 9월 16일 임 맥폴린 몬시뇰이 다시 교구장에 취임했으며, 교구청도 원래 위치이던 목포시 산정동 97번지로 재이전했다. 1949년 11월 브레난 안 몬시뇰 제4대 교구장에 취임했으나 한국 전쟁이 일어난 후 1950년 7월 현 하롤드 신부가 교구장 서리에 취임하였다.[4]

전쟁 후 1954년 10월 3일 교구장 서리이던 현 하롤드 신부가 5대 교구장에 취임했으며, 1956년 2월 교구청을 광주시 북동 33 (현 북동 성당)으로 임시 이전했다. 1956년 7월 교구청을 광주시 소태동으로 이전했고, 1957년 1월21일 광주교구는 대목구로 승격(대목구장: 현 하롤드 신부)했고, 그해 5월11일 현 하롤드 신부는 주교로 서품되었다.

1962년 3월 정식교계체계가 설정됨에 따라 광주대목구에서 광주대교구로 승격되었고, 동시에 현 하롤드 주교는 대주교로 승임했다. 이와 동시에 대신학교로 대건신학교(現 광주가톨릭대학교)가 설립되었다. 1971년 6월 28일 광주대교구에서 제주지목구가 설정되었고, 같은 해 9월 8일 한공렬 베드로 대주교가 착좌함으로써 방인교구장 시대를 열었다. 전임 현 하롤드 대주교는 새로 설정된 초대 제주교구장으로 자리를 이동하였다.

1973년 3월 한공렬 대주교가 명동성모병원에서 선종함으로써, 장옥석 루치오 신부가 교구장 서리로 임명되었다가, 그 해 10월 수원교구장이던 윤공희 빅토리노 주교가 바오로 6세 교황에 의해 광주대교구장에 임명됨으로써 7대 교구장으로 착좌하였다. 1976년 1월 전남 광주시 동구 금남로3가 3-5번지에 광주가톨릭센터를 신축했고 그 해 5월에 가톨릭센터 6층으로 교구청을 이전했다. 광주가톨릭센터는 전일빌딩과 더불어 5.18 민주화운동 당시 항쟁의 중심에 있던 건물로서 현재는 5.18 역사기록관으로 남아 있다.

1977년 3월 21일 제주교구가 정식교구로 설정됨으로써 광주대교구 관할구역이 설정되었다. 2000년 11월 30일 윤공희 빅토리노 대주교가 은퇴하고 부교구장이던 최창무 안드레아 주교가 대주교로 승임하여 제8대 교구장으로, 2010년 4월 30일 부교구장이던 김희중 히지노 주교가 대주교로 승임하여 9대 교구장으로 착좌하였다.

2017년 4월 20일에 광주대교구청 브레디관이 문화재로 지정되었다.[5]

2. 주교단

파일:천주교 광주대교구 로고(가로형/화이트).svg
천주교 광주대교구주교단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교구장 주교
파일:옥현진 대주교 문장.svg
옥현진 시몬
대주교
파일:천주교 광주대교구 로고.svg 천주교 광주대교구 교구장
파일:광주가톨릭대학교 UI.svg 학교법인 대건학당 이사장
파일:목포가톨릭대학교 UI.svg 학교법인 골롬반학원 이사장
파일:광주인권평화재단 로고.png 재단법인 광주인권평화재단 이사장
파일:생태환경농업연구소.jpg 재단법인 생태환경농업연구소 이사장
파일:가톨릭평화방송 로고.svg 재단법인 광주가톨릭평화방송 이사장
파일:한국천주교주교회의 심볼.svg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서기
파일:한국천주교주교회의 심볼.svg 한국천주교주교회의 한국가톨릭사목연구소 담당주교
파일:한국천주교주교회의 심볼.svg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성직주교위원회 위원
파일:한국천주교주교회의 심볼.svg 한국천주교주교회의 교리주교위원회 위원
파일:한국천주교주교회의 심볼.svg 한국천주교주교회의 민족화해주위원회 위원
파일:한국천주교주교회의 심볼.svg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시복시성주교특별위원회 위원
파일:한국천주교주교회의 심볼.svg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이사회 상임이사
파일:엠마오 연수원.jpg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엠마오 연수원 담당주교
은퇴 주교
파일:윤공희 대주교 문장 투명버전.png
윤공희 빅토리노
대주교
파일:최창무 대주교 문장 투명버전.png
최창무 안드레아
대주교
파일:김희중 대주교 문장 투명버전.png
김희중 히지노
대주교
파일:천주교 광주대교구 로고.svg 천주교 광주대교구 원로사목 파일:천주교 광주대교구 로고.svg 천주교 광주대교구 원로사목 파일:천주교 광주대교구 로고.svg 천주교 광주대교구 원로사목
※ 위 목록은 각 주교들의 직책들 중 일부를 적어 놓은 것입니다. 이 틀에 포함되어야 할 정보가 누락되거나, 직책이 잘못 기재된 것을 발견하면 편집 또는 토론 생성을 부탁드립니다. }}}}}}}}}

2.1. 역대 교구장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c81900, #e7290e 20%, #e7290e 80%, #c819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오웬 맥폴린
(1937~1941)
와키다 아사고로 토마스
(1943~1945)
오웬 맥폴린
(1945~1949)
패트릭 토머스 브레넌
(1948~1950)
해럴드 윌리엄 헨리
(1954~1971)
<rowcolor=#fff,#fff>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한공렬 베드로
(1971~1973)
윤공희 빅토리노
(1973~2000)
최창무 안드레아
(2000~2010)
김희중 히지노
(2010~2022)
옥현진 시몬
(2022~)
}}}}}}}}}}}}
<rowcolor=#FFFFFF> 이름 임기 비고
1대 임 오웬 맥폴린[6] 몬시뇰 1937년 04월 13일 ~ 1941년 12월 07일
2대 와키다 아사고로 몬시뇰[7] 1943년 02월 07일 ~ 1945년 08월 15일
3대 임 오웬 맥폴린 몬시뇰 1945년 08월 15일 ~ 1949년 11월 02일
4대 안 파트리치오 브레넌[8] 몬시뇰 1948년 11월 12일 ~ 1950년 07월 12일
5대 현 하롤드 헨리[9] 대주교 1954년 10월 03일 ~ 1971년 06월 28일
6대 한공렬 베드로 대주교 1971년 07월 14일 ~ 1973년 03월 07일
7대 윤공희 빅토리노 대주교 1973년 10월 25일 ~ 2000년 11월 30일
8대 최창무 안드레아 대주교 2000년 11월 30일 ~ 2010년 04월 30일
9대 김희중 히지노 대주교 2010년 04월 30일 ~ 2022년 11월 30일
10대 옥현진 시몬 대주교 2022년 11월 30일 ~ 현재

3. 성사전담사제

<rowcolor=#FFFFFF> 직책 이름
원로사목자 이상철(힐라리오) 신부
이영수(세례자요한) 신부
김성용(프란치스코) 신부
이천수(라자로) 신부
김재영(아우구스티노) 신부
서상채(유스티노) 신부
김홍언(요한보스코) 신부
박영웅(가브리엘) 신부
김무웅(율리오) 신부
이정남(루카) 신부
장용복(미카엘) 신부
김민수(티모테오) 신부
송현섭(베드로) 신부
고재영(야고보) 신부
이성규(라파엘) 신부
송종의(야고보) 신부
최형락(바오로) 신부
남재희(율리아노) 신부
정종표(토마스모어) 신부
노완석(타대오) 신부
김무웅(율리오) 신부
송홍철(루카) 신부
이영헌(마리오) 신부
장용주(알베르토) 신부
전영(안토니오) 신부
이종희(사도요한) 신부
장세현(미카엘) 신부
강길웅(요한세례자) 신부
박희동(사도요한) 신부
윤용남(가리노) 신부
안호석(안드레아) 신부
김승희(다니엘) 신부
이경철(안드레아) 신부
김서규(마태오) 신부
김희항(프란치스코) 신부
임병태(시몬) 신부
김재기(안드레아) 신부
강종훈(안드레아) 신부
진용민(핀바르) 신부
서성래(아우구스티노) 신부

4. 부서

4.1. 사무처

<rowcolor=#FFFFFF> 직책 이름
국장 양요섭(요셉)신부

4.1.1. 비서실

<rowcolor=#FFFFFF> 직책 이름
실장 이호진(요한비안네) 신부

4.2. 관리국

<rowcolor=#FFFFFF> 직책 이름
국장 장승용(베드로) 신부

4.3. 사목국

<rowcolor=#FFFFFF> 직책 이름
국장 이정주(아우구스티노) 신부
부국장 진우섭(폰시아노) 신부
임근배(바오로) 신부
박혁진(요셉) 신부

4.4. 청소년사목국

<rowcolor=#FFFFFF> 직책 이름
국장 김영호(비오) 신부
부국장 이창훈(베드로) 신부
최운(베드로) 신부[10]
장현욱(비오) 신부
양필선(베드로) 신부

4.5. 성소국

<rowcolor=#FFFFFF> 직책 이름
국장 김수만(시몬) 신부

4.6. 사회사목국

<rowcolor=#FFFFFF> 직책 이름
국장 조정훈(안토니오) 신부
부국장 한세종(모세) 신부
강기남(요셉) 신부
최철(요한보스코) 신부
손민호(요셉) 신부
강근태(베드로) 신부

5. 관할 구역

<colbgcolor=#e7290e,#e7290e><colcolor=#fff> 파일:Archdiocese_of_Gwangju.png
천주교 광주대교구 관할구역

광주대교구는 2020년 1월 기준 14개 지구에 140개 본당이 소속되어 있다. 지구는 대구대교구수원교구의 (감목)대리구와는 다른 단순한 지역적 구분일뿐이다.

5.1. 광주광산1지구

본당명 설립년도 주소 주임신부 보좌신부
비아동성당 1994년 광주광역시 광산구 비아중앙로 1 (도천동) 송태경(바오로)
사거리성당 1935년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백양로 33 (사거리) 송규진(유스티노)
사창성당 2007년 전라남도 장성군 삼계면 사창로 116-4 (사창리) 박옥규(도미니코사비오)
신창동성당 2006년 광주광역시 광산구 왕버들로289번길 22 (신창동) 김희성(가브리엘)
쌍암동성당 2000년 광주광역시 광산구 임방울대로801번길 62 (쌍암동) 김관수(시몬) 윤재형(요한보스코)
임곡동성당 1993년 광주광역시 광산구 고봉로 838 (임곡동) 오동흔(마태오)
장덕동성당 2010년 광주광역시 광산구 왕버들로 55 (장덕동) 최기원(에밀리오) 김민성(요한마리아비안네)
장성성당 1937년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 충무5길 21 (영천리) 방래혁(시몬)
하남동성당 2010년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대로54번길 7 (하남동) 조영대(프란치스코)

5.2. 광주광산2지구

본당명 설립년도 주소 주임신부 보좌신부
선암동성당 2020년 광주광역시 광산구 어등대로449번길 25 (선암동) 정영빈(레오)
신동성당 1967년 광주광역시 광산구 도산로 49 (송정동) 임창훈(바오로)
염산성당 2004년 전라남도 영광군 염산면 칠산로 92 (봉남리) 박상현(마리오)
영광성당 1937년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읍 중앙로2길 40 (도동리) 신동술(라이문도)
우산동성당 1993년 광주광역시 광산구 사암로106번길 85 (우산동) 이상훈(파트리치오)
운남동성당 1995년 광주광역시 광산구 목련로273번길 52 (운남동) 한분도(베네딕토) 박휘영(사무엘)
원동성당 1949년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산로68번길 14 (송정동) 박병철(세바스티아노)
월곡동성당 1991년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곡중앙로42번길 15-11 (월곡동) 이준한(토마스)
평동성당 1996년 광주광역시 광산구 평동로735번길 29 (옥동) 조영선(베드로)
홍농성당 2004년 전라남도 영광군 홍농읍 홍농로 484 (상하리) 정경수(요한크리소스토모)

5.3. 광주남부지구

본당명 설립년도 주소 주임신부 보좌신부
노대동성당 2007년 광주광역시 남구 노대실로 71 (노대동) 윤영남(시몬) 조영헌(요셉)
대촌성당 2022년 광주광역시 남구 포충로 611 (지석동) 김동일(요셉)
방림동성당 1965년 광주광역시 남구 큰방림길 11 (방림동) 최길주(요셉) 김재훈(도미니코)
봉선2동성당 2008년 광주광역시 남구 제석로80번길 37 (봉선동) 김영수(스테파노) 정일준(루도비코)
봉선동성당 1990년 광주광역시 남구 봉선로51번길 17 (봉선동) 천정철(세례자요한) 유엘임(요한마리아비안네)
봉선유안성당 2011년 광주광역시 남구 오방로 24 (봉선동) 구석훈(요셉)
월산동성당 1965년 광주광역시 남구 중앙로24번길 13 (월산동) 서달원(안드레아)
주월동성당 1992년 광주광역시 남구 군분로65번길 34 (주월동) 양희문(다니엘)
진월동성당 1991년 광주광역시 남구 광복마을4길 22 (진월동) 김종주(루카) 강상구(베드로)
효덕동성당 2011년 광주광역시 남구 진제4길 12 (진월동) 김소진(안드레아)

5.4. 광주동부지구

본당명 설립년도 주소 주임신부 보좌신부
계림동성당 1964년 광주광역시 동구 동계로 79-28 (계림동) 김태균(요셉)
남동성당 1949년 광주광역시 동구 제봉로 67 (남동) 김승제(판크라시오)
능주성당 2010년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죽수길 31-1 (잠정리) 박붕수(빅토리노)
산수동성당 1997년 광주광역시 동구 밤실로 121 (산수동) 김종대(안드레아) 강민균(안드레아)
지산동성당 1970년 광주광역시 동구 지산로 54 (지산동) 신혁(대건안드레아)
학운동성당 1974년 광주광역시 동구 의재로 40 (학동) 박기석(대건안드레아) 김승건(프란치스코)
호남동성당 1968년 광주광역시 동구 천변우로 393-17 (호남동) 박재완(아우구스티노)
화순성당 1958년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진각로 88 (향청리) 정도식(즈카르야)

5.5. 광주북부1지구

본당명 설립년도 주소 주임신부 보좌신부
곡성성당 1958년 전라남도 곡성군 곡성읍 읍내11길 20 (읍내리) 이건(가브리엘)
담양성당 1955년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천변2길 7 (천변리) 박창진(야고보)
대치성당 2008년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 대전로 13 (대치리) 정경륜(대건안드레아)
문흥동성당 1991년 광주광역시 북구 문화소통로 309 (문흥동) 표양권(미카엘) 황인수(안드레아)
본촌동성당 2012년 광주광역시 북구 양산로71번길 5-1 (양산동) 박대남(미카엘)
서산동성당 1994년 광주광역시 북구 신촌로13번길 33 (오치동) 양완(토마스)
양산동성당 1987년 광주광역시 북구 하서로 393-16 (양산동) 박성열(토마스) 김건우(하상바오로)
오치동성당 1985년 광주광역시 북구 우치로311번길 12 (오치동) 민경철(안토니오) 최동현(로베르토)
옥과성당 2003년 전라남도 곡성군 옥과면 옥과1길 14 (옥과리) 최시영(사도요한)
창평성당 2008년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 의병로 159 (창평리) 오요안(요한세례자)

5.6. 광주북부2지구

본당명 설립년도 주소 주임신부 보좌신부
동림동성당 1993년 광주광역시 북구 북문대로249번길 37 (동림동) 김진모(펠릭스)
두암동성당 1984년 광주광역시 북구 서방로159번길 11 (두암동) 조재진(프란치스코)
북동주교좌성당 1933년 광주광역시 북구 금재로 76 (북동) 홍진국(안토니오)
삼각동성당 1999년 광주광역시 북구 설죽로471번길 46 (삼각동) 김권일(프란치스코) 권다혁(다미아노)
용봉동성당 2000년 광주광역시 북구 청계로 75 (용봉동) 김민석(루도비코) 이맑음(마오로)
운암동성당 1981년 광주광역시 북구 동운로201번길 63 (운암동) 김용운(시몬) 박찬규(미카엘)
임동주교좌성당 1967년 광주광역시 북구 태봉로 23 (임동) 임호준(대건안드레아) 류기전(바울리노)
중흥동성당 1972년 광주광역시 북구 서양로 130 (중흥동) 황규열(바오로) 장민준(가브리엘)

5.7. 광주서부지구

본당명 설립년도 주소 주임신부 보좌신부
광천동성당 1970년 광주광역시 서구 죽봉대로119번길 28-13 (광천동) 이재회(마르코)
금호2동성당 2011년 광주광역시 서구 화개중앙로114번길 20-1 (금호동) 박석렬(야고보) 정형태(세례자요한)
금호동성당 1994년 광주광역시 서구 금화로73번길 33 (금호동) 박공식(보나벤투라) 정민식(아벨)
농성동성당 1975년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로294번길 5-36 (농성동) 양귀선(안드레아)
쌍촌동성당 1981년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대로955번길 17-14 (쌍촌동) 김동하(세례자요한) 류하백(스테파노)
염주동성당 1988년 광주광역시 서구 월드컵4강로 129 (쌍촌동) 문병구(스테파노) 장원형(베드로)
유촌동성당 2015년 광주광역시 서구 칠성로 15 (유촌동) 주락권(세례자요한)
치평동성당 1998년 광주광역시 서구 치평로 93 (치평동) 이정화(가비노) 김용민(요셉)
풍암동성당 2000년 광주광역시 서구 풍암순환로 127 (풍암동) 이봉문(요한보스코) 박시흥(스테파노)
풍암운리성당 2015년 광주광역시 서구 송풍로16번길 8 (풍암동) 김선웅(시몬)
화정1동성당 2015년 광주광역시 서구 화운로 194 (화정동) 김제인(사도요한)
화정3동성당 2007년 광주광역시 서구 월드컵4강로28번길 30-2 (화정동) 김용원(토마스)
화정4동성당 2006년 광주광역시 서구 염화로65번길 24 (화정동) 주성호(레오)

5.8. 나주함평지구

본당명 설립년도 주소 주임신부 보좌신부
금암성당 2004년 전라남도 나주시 노안면 금산로 82 (금동리) 이종민(요셉)
나주성당 1935년 전라남도 나주시 박정길 3 (산정동) 노성기(루포)
남평성당 1971년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남평3로 66 (동사리) 허우영(안드레아)
노안성당 1908년 전라남도 나주시 노안면 이슬촌길 108 (양천리) 이요한(사도요한)
다시성당 1998년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대용길 22 (월태리) 김성훈(사무엘)
문장성당[함평하상성당] 2001년 전라남도 함평군 해보면 밀재로 1309 (문장리) 함경주(아우구스티노)
빛가람동성당 2015년 전라남도 나주시 한빛로 167 (빛가람동) 김연준(프란치스코)
손불성당[함평호영성당] 2012년 전라남도 함평군 손불면 손무로 708 (대전리) 이현민(가밀로)
신광성당[함평호영성당] 2012년 전라남도 함평군 신광면 종곡길 16 (백운리) 이현민(가밀로)
영산포성당 1954년 전라남도 나주시 영산1길 23-2 (영산동) 천정기(요셉)
하상성당[함평하상성당] 2001년 전라남도 함평군 나산면 체암로 1028 (나산리) 함경주(아우구스티노)
학다리성당 1996년 전라남도 함평군 학교면 백학길 58 (학교리) 문현철(라파엘)
함평성당 1945년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남일길 21 (내교리) 장욱종(안토니오)

5.9. 목포무안지구

본당명 설립년도 주소 주임신부 보좌신부
남악성당 2010년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 남악영산길 62 (남악리) 윤종윤(스테파노)
독천성당 2007년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영산로 76-5 (독천리) 배행기(모세)
망운성당 1993년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망운로 13-9 (목서리) 옥준상(가브리엘)
몽탄성당 1998년 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몽탄로 864-9 (사천리) 오경섭(안젤로)
무안성당 1954년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무안로 515 (성동리) 민세영(시몬)
삼호성당 2004년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모밀항길 13 (용당리) 이재경(사도요한)
옥암동성당 2002년 전라남도 목포시 복산길 64-4 (옥암동) 박홍기(프란치스코하비에르) 조성훈(빅토리노)
용당동성당 1979년 전라남도 목포시 용당로216번길 36 (용당동) 최상준(유스티노)
일로성당 1956년 전라남도 무안군 일로읍 일로로 40 (월암리) 최용환(도날드)
청계성당 1997년 전라남도 무안군 청계면 해안로 62-6 (남성리) 이현석(베드로)
하당성당 1995년 전라남도 목포시 입암로4번길 27 (상동) 박상선(헨리코) 배상원(로마노)

5.10. 목포신안지구

본당명 설립년도 주소 주임신부 보좌신부
경동성당 1952년 전라남도 목포시 해안로165번길 33 (경동2가) 고을식(토마스)
구영성당[자은성당] 2012년 전라남도 신안군 자은면 구영1길 14-11 (구영리) 변찬석(안셀모)
대성동성당 1971년 전라남도 목포시 양을로33번길 6 (산정동) 손병현(바실리오) 최성욱(도미니코사비오)
대율성당[자은성당] 2012년 전라남도 신안군 자은면 두봉길 575 (대율리) 변찬석(안셀모)
도초성당 2022년 전라남도 신안군 도초면 외남길 84 (외남리)[건립중] 조창현(클레멘스)
북교동성당 1958년 전라남도 목포시 북교길17번길 1 (죽교동) 정정원(마론)
비금성당 2000년 전라남도 신안군 비금면 읍동길 58 (덕산리) 홍진석(토마스아퀴나스)
산정동성당 1897년 전라남도 목포시 노송길 35 (산정동) 정윤수(프란치스코)
삼학도성당 1982년 전라남도 목포시 자유로 22-1 (산정동) 박래형(베드로)
신석성당[인덕성당] 2004년 전라남도 신안군 암태면 신석길 8-9 (신석리) 정대영(모세)
신의성당 2012년 전라남도 신안군 신의면 상동길 15-4 (상태동리) 이홍석(안토니오)
압해도성당 1993년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 복룡로 53 (동서리) 강영식(사도요한)
연동성당 1967년 전라남도 목포시 산정로142번길 8 (산정동) 오갑현(가브리엘)
연산동성당 2018년 전라남도 목포시 연산백련로1번길 73 (연산동) 장민휘(베네딕토)
읍동성당[인덕성당] 2004년 전라남도 신안군 안좌면 중부로 875 (읍동리) 정대영(모세)
흑산성당 1958년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흑산일주로 180-20 (진리) 유창훈(요셉)

5.11. 서남부지구

본당명 설립년도 주소 주임신부 보좌신부
강진성당 1961년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평동2길 21 (평동리) 이창현(사무엘)
고금성당 2019년 전라남도 완도군 고금면 고금로 639 (덕암리) 최종서(이냐시오)
신북성당 2007년 전라남도 영암군 신북면 황금동로 16-9 (이천리) 박종원(안토니오)
영암성당 1968년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서남역로 27-4 (서남리) 신영철(베드로)
완도성당 1970년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중앙길 27 (군내리) 김정철(다니엘)
우수영성당 1999년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명량로 159 (동외리) 송형근(야고보)
진길성당 2002년 전라남도 진도군 고군면 고성길 15-18 (고성리) 김성기(요한크리소스토모)
진도성당 1954년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남동4길 5 (남동리) 조용한(베드로)
해남성당 1954년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중앙1로 208 (구교리) 우원주(베드로)

5.12. 순천지구

본당명 설립년도 주소 주임신부 보좌신부
광양성당 1975년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매천로 877 (목성리) 성종명(빈첸시오)
광영동성당 1990년 전라남도 광양시 가야로 417 (광영동) 오재선(토비아)
구례성당 1970년 전라남도 구례군 구례읍 학교길 99 (봉동리) 왕승수(안드레아)
금당성당 1998년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동명초등길 59 (상삼리) 안성완(이냐시오)
매곡동성당 1975년 전라남도 순천시 중앙로 175 (매곡동) 이영선(골룸바노)
상사성당 2009년 전라남도 순천시 상사면 상사초등길 49 (응령리) 마요안(세례자요한)[과]
서면성당 2015년 전라남도 순천시 서면 건보길 24 (선평리) 김도균(안셀모)
신대성당 2015년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향매1길 22-12 (신대리) 임동혁(우발도)
연향동성당 1993년 전라남도 순천시 연향번영3길 12-17 (연향동) 김계홍(요한크리소스토모)
저전동성당 1932년 전라남도 순천시 서문로 19-1 (저전동) 김종원(십자가의성요한) 신동훈(요한크리소스토모)
조곡동성당 1970년 전라남도 순천시 장대길 1 (조곡동) 이호(요셉)
조례동성당 2003년 전라남도 순천시 봉화3길 14-23 (조례동) 김양수(프란치스코) 김안식(세례자요한)
중동성당 2000년 전라남도 광양시 중마용소1길 11-5 (중동) 기영호(시몬)

5.13. 여수지구

본당명 설립년도 주소 주임신부 보좌신부
동산동성당 1936년 전라남도 여수시 동산7길 8 (공화동) 조일도(스테파노)
문수동성당 1988년 전라남도 여수시 문수로 137 (문수동) 배재승(바오로)
미평동성당 2000년 전라남도 여수시 미평5길 5 (미평동) 박재홍(베드로)
서교동성당 1961년 전라남도 여수시 신월로 799-1 (서교동) 정승욱(다니엘)
선원동성당 1981년 전라남도 여수시 선원2길 27 (선원동) 손대철(안드레아)
소호동성당 2008년 전라남도 여수시 안산1길 49-6 (소호동) 김민호(베드로)
신기동성당 1992년 전라남도 여수시 신기북6길 17 (신기동) 김양회(요한보스코) 윤장근(요셉)
율촌성당 1992년 전라남도 여수시 율촌면 율촌초교길 3 (조화리) 유기영(바오로)

5.14. 중남부지구

본당명 설립년도 주소 주임신부 보좌신부
고흥성당 1970년 전라남도 고흥군 고흥읍 신계학림길 20 (남계리) 김진수(베르나르도)
녹동성당 1980년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남촌길 4-14 (봉암리) 김종복(이냐시오)
대덕성당 2011년 전라남도 장흥군 대덕읍 도청신월로 156 (신월리) 이준용(대건안드레아)
도화성당 2002년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신길 61 (당오리) 김창근(미카엘)
벌교성당 1957년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채동선로 359 (벌교리) 최대성(스테파노)
보성성당 1941년 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 현충로 136 (보성리) 윤홍근(바오로)
소록도성당 1961년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소록선창길 55 (소록리)[제1성전]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양지회관길 35 (소록리)[제2성전]
이준호(세례자요한)
장흥성당 1965년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 물레방앗간길 25-18 (건산리) 천정선(도미니코)

6. 미사 있는 성지

성지명 주소 전담신부 성사신부
가톨릭목포성지 전라남도 목포시 노송길 35 (산정동) 최종훈(토마스) 고제희(안드레아)

7. 미사 있는 공소

공소명 관할본당명 주소 담당신부
거문도공소 서교동성당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장덕로 25 (덕촌리)
고당공소 우수영성당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문내화원로 535-8 (고당리)
과역공소 고흥성당 전라남도 고흥군 과역면 송학샘길 24-29 (과역리)
관산공소 대덕성당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관산우회로 47 (옥당리)
군서공소 독천성당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구림로 57-2 (동구림리)
금당공소 녹동성당 전라남도 완도군 금당면 금당로 118-1 (차우리)
금산공소 녹동성당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 거금중앙길 139-11 (대흥리)
금천공소 나주성당 전라남도 나주시 금천면 광탄길 12-7 (원곡리)
남창공소 해남성당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달량진길 25 (남창리)
노화공소 완도성당 전라남도 완도군 노화읍 이목25번길 49-1 (이포리)
다촌공소 흑산성당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다물도길 45-43 (다물도리)
당사공소 완도성당 전라남도 완도군 소안면 당사도길 28-14 (당사리)
대리공소 신의성당 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면 덕봉길 40 (대리)
도포공소 신북성당 전라남도 영암군 도포면 영호길 38 (영호리)
동강공소 다시성당 전라남도 나주시 동강면 동강로 617-14 (월양리)
동강공소 벌교성당 전라남도 고흥군 동강면 원유둔1길 41-1 (대강리)
땅끝공소 해남성당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산정4길 29 (산정리)
말바우시장공소 두암동성당 광주광역시 북구 동문대로 93-1 (우산동) 2층 김선우(라파엘)[과]
매남공소 사거리성당 전라남도 장성군 북일면 매남길 5 (문암리)
백수공소 염산성당 전라남도 영광군 백수읍 하사길3길 16 (하사리)
별량공소 상사성당 전라남도 순천시 별량면 송천1길 13 (동송리)
본량공소 임곡동성당 광주광역시 광산구 용진로 431 (송치동)
봉황공소 영산포성당 전라남도 나주시 봉황면 죽황로 17 (죽석리)
사리공소 흑산성당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정약전길 26 (사리)
사평공소 화순성당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사호로 200 (사평리)
산동공소 구례성당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 지리산온천로 150-6 (탑정리)
삼도공소 선암동성당 광주광역시 광산구 삼도로 362-7 (도덕동)
석곡공소 곡성성당 전라남도 곡성군 석곡면 석곡3길 22-2 (석곡리)
석교공소 진도성당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석교길 79 (석교리)
석정공소 학다리성당 전라남도 함평군 학교면 중천포로 442-1 (금송리)
성재공소 독천성당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서호로 877 (성재리)
성전공소 강진성당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별뫼로 335 (월평리)
성진공소 사거리성당 전라남도 장성군 북일면 성진길 58-4 (문암리)
시종공소 신북성당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고분로 7-6 (만수리)
신장공소 압해도성당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 압해로 399-10 (신장리)
신전공소 강진성당 전라남도 강진군 신전면 백도로 1517 (수양리)
양동시장공소 북동주교좌성당 광주광역시 서구 천변좌로 260 (양동) 4층 한정훈(호르헤)[과]
영민공소 영광성당 전라남도 영광군 묘량면 덕흥길2길 4 (덕흥리)
영보공소 영암성당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송외길 7-12 (노송리)
영전공소 해남성당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땅끝해안로 3233 (영전리)
예락공소 우수영성당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예락길 50 (예락리)
용산공소 대덕성당 전라남도 장흥군 용산면 용인길 7 (인암리)
용앙공소 삼호성당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대불주거로 31 (용앙리)
웅곡공소 신의성당 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면 하의로 245 (웅곡리)
인암공소 계림동성당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인암길 19-17 (인암리)
인지공소 진도성당 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 인지독치2길 19-1 (인지리)
임성공소 옥암동성당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 삼향로 127-5 (임성리)
임자공소 망운성당 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면 임자로 139 (진리)
장도공소 흑산성당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장도길 20-2 (비리)
장산공소 산정동성당 전라남도 신안군 장산면 장산동면길 183 (공수리)
장평공소 장흥성당 전라남도 장흥군 장평면 하탑동길 9-16 (용강리)
재생공소 학다리성당 전라남도 함평군 학교면 영산로 3925 (고막리)
조성공소 벌교성당 전라남도 보성군 조성면 석부길 51-33 (조성리)
중산공소 율촌성당 전라남도 여수시 율촌면 서부로 1436 (가장리)
지도공소 망운성당 전라남도 신안군 지도읍 지도증도로 3 (읍내리)
해제공소 망운성당 전라남도 무안군 해제면 양간로 106 (양매리)
현애공소 금암성당 전라남도 나주시 노안면 유현1길 45 (유곡리)
호혜공소 남평성당 전라남도 나주시 산포면 새벽길 16 (신도리)
홍도1구공소 흑산성당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홍도1길 21 (홍도리)
홍도2구공소 흑산성당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홍도2길 33 (홍도리)
화원공소 우수영성당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청용2길 9 (청용리)
환학동공소 일로성당 전라남도 무안군 일로읍 환학길 1 (상신기리)
황산공소 우수영성당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시등로 122-11 (우항리)
회천공소 보성성당 전라남도 보성군 회천면 남부관광로 2293-17 (율포리)

8. 교포사목

본당명 주소 주임신부 보좌신부
성김제준이냐시오올랜도한인성당 St. Ignatius Kim Catholic Mission, 1518 Muriel Street. Orlando, FL 32806, USA 김명섭(베드로)
성정하상바오로마이애미한인성당 3600 SW 32nd Blvd, West Park,Fl.33023 USA 이준(대건안드레아)
성정하상바오로에드몬튼한인성당 St. Jung Ha Sang Korean R.C. Church, 8350-77 Ave. Edmonton, Alberta T6C 0L4, CANADA 조승준(야고보)
성최경환프란치스코한인성당 St. Franci?s Choe Korean Catholic Mission, 8051 Rampart Rd. Jacksonville, FL 32244, USA 이건승(토마스아퀴나스)
파리한인성당 Communaute Catholique Coreenne, 15 Rue Boissonade, 75014 PARIS, FRANCE 최영희(바오로)

9. 기관 및 단체

9.1. 광주가톨릭대학교

<rowcolor=#FFFFFF> 주소 총장신부 교수신부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중남길 12-25 (남석리) 김정용(베드로) 안세환(대건안드레아)

김영남(가브리엘)

김명철(요셉)

주영일(스테파노)

김상용(요셉)[전주교구]

남종기(고스마)[전주교구]

하성훈(요셉)[전주교구]

박민호(펠릭스)[전주교구]

김경민(판크라시오)[제주교구]

김영일(요한보스코)[제주교구]

김정훈(도미니코)[마산교구]

조우현(십자가의요한)[마산교구]

9.2. 목포가톨릭대학교

<rowcolor=#FFFFFF> 주소 총장신부 교수신부
전라남도 목포시 영산로 697 (석현동) 윤빈호(루치오) 허찬(베드로)

김일두(베드로)

한병학(마태오)

9.3. 광주가톨릭평화방송

<rowcolor=#FFFFFF> 주소 사장신부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시민로 75 (치평동) 이옥수(도미니코)

9.4. 광주구천주교공원묘원

<rowcolor=#FFFFFF> 주소 담당신부
전라남도 담양군 월산면 월광로 512 (광암리) 김영철(요한보스코)

9.5. 피아골피정집

<rowcolor=#FFFFFF> 주소 관장신부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피아골로 732 (내동리) 유기종(요셉)

10. 살레시오회

학교법인 살레시오회
살레시오중학교 살레시오고등학교

학교법인 살레시오수녀학원
살레시오초등학교 살레시오여자중학교 살레시오여자고등학교

요한 보스코 신부가 세운 살레시오 수도회(남자)[33]살레시오 수녀회(여자)는 전세계에서 청소년&청년들을 위한 사도직과 교육사업을 하고 있다.

11. 기타

  • 성요셉여자고등학교 -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에 위치했던 여자고등학교. 사랑의 씨튼 수녀회에서 세운 학교법인 성요셉금릉학원이 운영했다. 2016년 졸업식을 끝으로 폐교되었다.
  • 성요셉상호문화고등학교 - 위의 성요셉여자고등학교 시설을 개보수하여 2018년 개교한 대안학교로 운영주체는 마찬가지로 성요셉금릉학원이다.
  • 목포마리아회고등학교 - 전라남도 목포시 용당동에 위치한 일반계 고등학교. 학교법인 목포마리아회학원이 운영하고 있다. 이름에 마리아가 들어가서 여고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목포 현지에서도 많은데, 남고다. [34]

11.1. 의료기관

  • 목포 성 골롬반 병원 (1955~2002) 가톨릭 목포성지에 위치했었던 종합병원으로, 전쟁 직후부터 21세기 초입까지 목포시립병원(현. 목포시의료원)과 함께 목포, 신안, 무안, 해남, 완도, 진도, 영암, 함평 등의 의료를 책임졌다. 현재 20대~50대 등 수많은 목포시민들의 출생지 역할을 했으며, 가난한 이들에게는 무료로 진료하는 병원이었으나, 2002년에 간호사를 비롯한 병원 임직원의 파업으로 인하여, 최창무 대주교는 폐업을 선언하고 2002년 9월 17일 자로 문을 닫았다. 그 이후로 2020년 현재까지도 목포시 원도심에는 제대로된 종합병원 하나가 없을 정도로 급격하게 원도심의 기반 시설들이 무너지기 시작했고 이는 현재 진행형이다. 폐업 당시 기사에서 폐업 원인이 자세하게 나와 있다.
  • 순천 성가롤로병원 - 1969년 독일의 가롤로 보르메오 수녀회가 순천시에 설립한 후 1974년 까리따스 수녀회에서 운영권을 인수한 후 전남 동부 7개 시군(순천시, 여수시, 광양시, 고흥군, 구례군, 곡성군, 보성군) 을 통틀어 가장 큰 종합병원으로 지역내 의료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순천에서 광양 가는 순광로고개 위에 있다.
  • 천주의 성 요한 병원 - 1960년 아일랜드의 천주의 성 요한 의료봉사 수도회광주광역시에 설립한 병원으로 정신건강의학과, 피부과, 내과 3개 진료과가 있으며, 특히 정신건강의학과와 피부과가 광주광역시 지역에서 평판이 좋은 편이다. 내과는 말기 암환자를 위한 호스피스 병동을 운영하고 있다. 북구 임동성당 바로 건너편에 위치하고 있다.

12. 여담

매주 주일에 발부되는 주보는 '빛고을'로, 광주의 별칭인 빛고을에서 따 왔다. 신부님의 강론글, 교구 내 공소 이야기, 교구 소식, 본당별 공지 및 소식을 볼 수 있다. 어린이 미사를 위한 주보 '어린이 빛고을'도 있다.

13. 관련 문서


[1] 이때 전북지역도 전주지목구로 같이 분리되었다.[2] 현직 교구장 대주교 1명 은퇴 대주교 3명[3] 그후 요코하마 교구장 주교가 되었다[4] 브레난 안 교구장은 산정동 주임 고 토마스 신부와 보좌 오 요한 신부와 함께 피랍 후 1950년 9월 24일 북한군에 의해 피살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5] 등록문화재 제681호, 광주가톨릭대학교 옛터[6] McPolin, Owen, 성 골룸반 외방전교회 소속, 아일랜드 출신. 생몰은 1889-1963[7] 脇田淺五郞, 일본인 사제. 생몰은 1881 ~ 1965[8] 본명은 패트릭 토마스 브레넌(Patrick Thomas Brennan)이다. 콜룸반외방선교회의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출신이며 생몰은 1901-1950[9] 본명은 해롤드 윌리엄 헨리(Harold William Henr)이다.콜룸반외방선교회의 미네소타 주 노스필드 출신이며 제주도에서 행정 업무를 보다가 병으로 사망했다. 생몰은 1909 ~ 1976[10] 전남대학교 전담[함평하상성당] [함평호영성당] [함평호영성당] [함평하상성당] [자은성당] [자은성당] [건립중] [인덕성당] [인덕성당] [과] 과달루페외방선교회 소속[제1성전] [제2성전] [과] [과] [전주교구] 전주교구 소속[전주교구] 전주교구 소속[전주교구] 전주교구 소속[전주교구] 전주교구 소속[제주교구] 제주교구 소속[제주교구] 제주교구 소속[마산교구] 마산교구 소속[마산교구] 마산교구 소속[33] 이태석 세례자 요한 신부가 살레시오 수도회 소속 수도사제였다.[34] 목포마리아회중학교도 있었으나 1977년 2월 28일부로 폐교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