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5 15:48:04

구준범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d2764><tablebgcolor=#1d2764> 파일:파주 챌린저스(NEW-2).png파주 챌린저스
2025 시즌 로스터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d2764,#1d2764
투수 <colbgcolor=#ffffff,#191919> 1 최민수 · 2 맹성주 · 11 박준호 · 12 하상범
· 15 장요셉 · 19 구준범 · 20 여도건 · 29 김기탁
· 38 서경찬 · 45 김군철 · 56 김성훈 · 61 노윤상
· 65 정지안 · 99 정현우
포수 22 박성우 · 27 박유연 · 42 배현호
내야수 3 김혜성 · 5 유현우 · 6 이예찬 · 16 김동호
· 35 임동혁 · 47 김성균 · 53 지강혁
외야수 13 배현우 · 17 박준혁 · 55 이혁준
'''
단장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양승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기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철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민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환우'''
}}}}}}}}}}}}}}}
구준범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98번
조범현
(2013)
<colbgcolor=#c0c0c0><colcolor=#074ca1> 구준범
(2014~2014. 5. 4.)
김동호
(2014. 5. 5.~2014)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15번
박해민
(2012~2013)
구준범
(2014. 5. 5.~2015)
조유성
(2017)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59번
박찬도
(2013~2015)
구준범
(2016~2017)
박찬도
(2018)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54번
김태우
(2018~2019)
구준범
(2020)
이승현
(2021~2023)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9번
김용하
(2020)
구준범
(2021~2022)
최하늘
(2023)
}}} ||
파일:구준범선수파주.jpg
<colbgcolor=#1d2764><colcolor=#fff> 파주 챌린저스 No.
구준범
具峻範 | Koo Jun-Bum
출생 1995년 3월 18일 ([age(1995-03-18)]세)
대구광역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서울학동초 - 대치중 - 배명고
신체 178cm, 74kg
포지션 투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 입단 2014년 2차 6라운드 (전체 57번, 삼성)
소속팀 삼성 라이온즈 (2014~2022)
파주 챌린저스 (2024~)

1. 개요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2.2. 삼성 라이온즈
2.2.1. 2014 시즌2.2.2. 2015 시즌2.2.3. 2016 시즌2.2.4. 2017 시즌2.2.5. 2020 시즌2.2.6. 2021 시즌2.2.7. 2022 시즌
2.3. 파주 챌린저스
3. 연도별 주요 성적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삼성 라이온즈, 현 파주 챌린저스 소속 좌완 투수. 이승민과 비슷한 유형의 투수로 느린 구속의 좌완투수 유형이다.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대구 수창초등학교에서 야구를 시작해 3학년 때 가족이 포항으로 이사하면서 포항 대해초등학교로 전학했고, 5학년 때 스카우트돼 서울 학동초등학교로 전학하면서 서울에서 야구를 했다. 서울고등학교에 입학했다가 고2 때 배명고등학교로 전학했다. 고등학교 시절 밝힌 롤 모델은 키쿠치 유세이. 고3 때 주말리그에서 장충고등학교 상대로 10이닝 1실점 완투승을 달성한 적이 있다.

2.2. 삼성 라이온즈

2.2.1. 2014 시즌

프로 1년차에는 팔꿈치 내측 인대 재건수술(UCL)을 받고 재활하느라 출전하지 못했다.

2.2.2. 2015 시즌

5월 말부터 경기에 출전하기 시작했고, 7월 5일 상무전을 계기로 2군에서 선발진에 합류했다. 시즌 최종 성적은 22경기 54이닝 39삼진 35볼넷 50피안타 4피홈런 ERA 4.67.

2.2.3. 2016 시즌

정식선수로 전환되면서 2군 전지훈련에 참가했다. 6월 29일에서야 2군 경기에 등판하기 시작했다. 시즌 성적은 12경기 42이닝 4패 ERA 6.64.

2.2.4. 2017 시즌

예년과 마찬가지로 2군에서 시즌을 보냈는데, 6월 말부터 8월 말까지 2달 가량을 결장하면서 많은 경기에 나오지는 못했다. 시즌 성적은 18경기 47⅔이닝 1승 2패 1홀드 ERA 7.17.

시즌 종료 후 11월 중순에 입대했다.

2.2.5. 2020 시즌

2군에서 주로 선발로 등판했다. 시즌 성적은 11경기 46이닝 1승 3패 ERA 4.50. 6월까지는 6경기 동안 ERA 7.92로 부진하면서 2달 가량 결장했는데, 8월 말에 복귀한 후 5경기 동안 2실점(1자책)만 기록했다.

2.2.6. 2021 시즌

2군에서 상당히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팬들에게 생중계된 4월 20일 경기에서 호투를 펼치며 선발승을 기록해 삼팬들의 기대를 받기 시작했다. 이 날 오후 펼쳐진 1군 경기에서 대체선발로 3번째 나온 이승민이 부진하면서 양창섭에 이은 제 3옵션 평가를 받는 중. 하지만 이 날 막판에 투구수가 80개를 넘기며 힘이 빠지고 부진했던 점에서 더 다듬어야 한다는 평가가 대다수.

6월 1일, 데뷔 후 처음으로 1군에 등록되었다. 다음날인 6월 2일 문학 SSG전의 대체 선발로 예고되며 1군 데뷔전을 치르게 됐다.

이 날 첫 1군 선발 등판에서 1회는 볼넷 한개를 내준 걸 제외하면 주자를 출루시키지 않으며 잘 막아냈으나, 2회에서 2아웃까지 잘 잡아놓고도 갑자기 영점이 흔들리며 볼넷-사구-볼넷으로 위기를 스스로 자초하더니 결국 오태곤에게 만루홈런을 허용했다. 다음 타자인 제이미 로맥에게도 백투백 솔로 홈런을 허용했다. 결국 2이닝 5실점(5자책)의 기대에 못 미친 투구로 조기 강판당하고 김대우에게 마운드를 넘겼으며, 이 날 평균자책점 22.50으로 혹독한 1군 신고식을 치렀다. 다행히 삼성 타선이 동점을 만들며 패전은 면했다.

6월 3일 결국 1군에서 말소되고 대신 이재익이 등록되었다.

이와 별개로 퓨처스리그 최종 성적은 17경기 6승 5패 104피안타(5피홈런) 62탈삼진 34사사구 ERA 4.52. 신인 시절인 2014년부터 2군 평균자책점이 모두 4점대 이상으로 큰 성과를 보이지 못했다. 그래도 입단 후 처음으로 선발로서 90이닝 이상을 소화했으므로 어느 정도 발전을 이뤘다고도 볼 수도 있다.[1]

시즌이 끝나고 신인왕 시상식에서 1경기밖에 못나왔는데 뜬금없이 1표를 받았다.#

2.2.7. 2022 시즌

2군 성적은 9경기 42이닝 3승 1패 ERA 3.64. 성적 자체는 그리 나쁘지 않았으나 3달 가량 결장하면서 예년과 달리 2군에서 선발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 결국 시즌 후 10월 15일 김성표, 김승현, 김선우, 이수민 등과 함께 웨이버 공시되었다.

방출된 후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대한민국 대표팀의 좌완 배팅볼 투수로 뽑혔다. 또한 프로에 재도전할 것임을 밝혔다. [WBC 캠프] 배팅볼 투수로 이룬 태극마크 꿈…"다음엔 정식 선수로"

이후 썩코치의 유튜브 채널에 간만에 등장했다. #

2.3. 파주 챌린저스

고등학교 후배이자, 삼성 시절 같이 있던 후배인 맹성주의 유튜브 채널에 출연하여 2024시즌 파주 챌린저스에 입단 했다는 소식을 알렸다.

3. 연도별 주요 성적

역대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승률 ERA 피안타 피홈런 4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WHIP
2014 삼성 1군 기록 없음
2015
2016
2017
2018 군 복무
2019
2020 1군 기록 없음
2021 1 2 0 0 0 0 - 22.50 2 2 4 1 5 5 2.50
2022 1군 기록 없음
KBO 통산
(1시즌)
1 2 0 0 0 0 - 22.50 2 2 4 1 5 5 2.50

4. 관련 문서


[1] 참고로 삼성 2군 투수 중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선발로서 90이닝 이상을 소화한 건 2019년 박용민과 구준범 2명 뿐이며, 2010년대 이후로도 기준을 잡아도 오직 선발로서 90이닝 이상을 소화한 삼성 2군 투수는 7명 밖에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