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1 23:21:47

국가체육지도위원회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UnadvisedMatureComfortablePrint, 합의사항1=r34의 디자인으로 고정 [세부 디자인은 자율])]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국무위원회 직할 부서
국가보위성 국방성 사회안전성 국가체육지도위원회
내각 부서
위원회
국가계획위원회 농업위원회
평양건설위원회 국가가격위원회 국가검열위원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국가비상재해위원회 국가품질감독위원회
건설건재공업성 경공업성 교육성 국가건설감독성
국토환경보호성 금속공업성 기계공업성 대외경제성
도시경영성 로동성 륙해운성 림업성
문화성 보건성 상업성 석탄공업성
선박공업성 수산성 외무성 원자력공업성
자원개발성 재정성 전력공업성 정보산업성
지방공업성 채취공업성 철도성 체육성
화학공업성
기타 부서
인민봉사총국 국가설계총국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 중앙은행
중앙통계국 기상수문국 내각사무국 내각정치국
국가과학원
}}}}}}}}}


파일:북한 국장.svg
북한
예술체육단체
[ 펼치기 · 접기 ]
||<-2><tablewidth=100%><tablebgcolor=white,black><bgcolor=#777,#666><color=white> 국가기관·협회·동맹 ||
<colbgcolor=#ccc,#444><colcolor=black,white> 국가기관 국가체육지도위원회 · 문화성 · 체육성
위원회·협회 조선올림픽위원회 · 조선축구협회 · 조선태권도위원회
직업동맹 조선문학예술총동맹
조선작가동맹 · 조선미술가동맹 · 조선음악가동맹 · 조선영화인동맹 · 조선연극인동맹 · 조선무용가동맹 · 조선사진가동맹 · 조선작곡가동맹
기타 조선미술작품보급사 · 광명음악사 · 대외전람총국
주요 예술체육단체
종합 국립민족예술단 · 만수대예술단 · 평양학생소년예술단
가극·교예 평양교예단 · 피바다가극단 · 금강산가극단
만화 조선4.26만화영화촬영소
미술 만수대창작사 · 중앙미술창작사
영화 조선영화문학창작사 · 조선예술영화촬영소 · 조선인민군4·25예술영화촬영소
음악 조선국립교향악단 · 만수대예술단 (공훈여성기악중주조) · 모란봉악단 · 보천보전자악단 · 사회안전성협주단 · 삼지연관현악단 · 왕재산경음악단 · 윤이상관현악단 · 은하수관현악단 · 조선인민군공훈국가합창단 · 조선인민군군악단 · 조선인민군협주단 · 청년협주단 · 청봉악단 · 평양음악무용대학 관현악단
체육 2.8체육단 · 4.25선수단 · 기관차체육단 · 압록강체육단 · 평양시체육단 · 월미도체육단 · 경공업성체육단
교육기관
전체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 · 평양연극영화대학 · 조선체육대학 · 조선미술대학 · 금성학원 · 만경대학생소년궁전 · 평양학생소년궁전 ·평양국제축구학교 · 평양미술학교

1. 개요2. 상세3. 조직도4. 관련 단체5. 역대 국가체육지도위원장

[clearfix]

1. 개요

북한의 국가기관 중 체육를 총담당하는 곳이다.

2. 상세

김정은의 집권 이후 2011년의 신년사에서 발표된 체육강국 건설을 목표로 잡으며 2012년에 신설되었다. 특이한 건 담당 분야는 체육인데 여러 명의 당 부위원장과 로동당 부장[1], 내각 부총리와 상, 군 총참모부 부총참모장, 각 사회단체의 수장들을 비롯한 당·정·군의 핵심 고위인사들이 국가체육지도위 위원으로 이름을 올렸다[2]. 하지만 장성택 숙청 후에는 이전과 같은 수준은 아니긴 했으며 최휘의 해임 이후 누가 위원장인지도 알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으나 2023년부로 내각총리 김덕훈이 국가체육지도위원장을 겸임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면서 위상이 더욱 올라갔다.

3. 조직도

4. 관련 단체

5. 역대 국가체육지도위원장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특히 근로단체부[2] 국무위원회 직속 부서라는 점을 고려하면 국가보위성, 사회안전성과 같은 감시기관인 3대혁명소조와 연관된 부처일 가능성이 있다. 정말 체육 자체가 목적인 내각 체육성이 따로 있기 때문. 이렇게 되면 “체육”의 의미가 조금 달라진다. 이외에도 북한에서 체육은 민간섹터의 외교와 관계가 깊은 부문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