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30 23:43:15

국립해양유산연구소

파일:정부상징.svg 파일:책임운영기관.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소속책임운영기관
<colbgcolor=#003764> 파일:정부상징.svg 고용노동부 고용노동부고객상담센터
파일:정부상징.svg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중앙과학관 · 국립과천과학관
파일:정부상징.svg 교육부 국립국제교육원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국방부 국방전산정보원 · 국방홍보원
파일:정부상징.svg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 항공교통본부
파일:정부상징.svg 농림축산식품부 국립종자원 · 한국농수산대학교
파일:정부상징.svg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국립중앙극장 · 국립현대미술관 · 한국정책방송원
파일:정부상징.svg 보건복지부 국립공주병원 · 국립나주병원 · 국립부곡병원 · 국립춘천병원 · 국립재활원 · 국립정신건강센터
파일:정부상징.svg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
파일:정부상징.svg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 국립해양측위정보원 · 해양수산인재개발원
파일:정부상징.svg 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파일:정부상징.svg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 화학물질안전원
파일:대한민국 경찰청 휘장.svg 경찰청 국립경찰병원
파일:정부상징.svg 관세청 관세인재개발원
파일:정부상징.svg 국세청 국세상담센터
파일:정부상징.svg 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 · 항공기상청
파일:정부상징.svg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국립축산과학원
파일:정부상징.svg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 국립해양유산연구소 · 궁능유적본부
파일:정부상징.svg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 국립수목원 ·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파일:소방청 마크.svg 소방청 국립소방연구원
파일:정부상징.svg 질병관리청 국립마산병원 · 국립목포병원
파일:정부상징.svg 통계청 통계개발원
파일:해양경찰청 OI.svg 해양경찰청 해양경찰정비창
중앙책임운영기관
파일:정부상징.svg 특허청
군 책임운영기관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국방부 국방출판지원단 · 국방통합데이터센터 · 국군복지단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5cb531><tablebgcolor=#5cb531>
파일:목포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5cb531> 행정 목포시청
입법 목포시의회
사법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원
우정 목포우체국
세무 목포세무서
소방 목포소방서
관세 목포세관
치안 목포경찰서 서해지방해양경찰청 목포해양경찰서
금융 한국은행 목포본부 한국산업은행 목포지점 중소기업은행 목포지점
보건/검역 목포시보건소 국립목포병원 목포시의료원
국립목포검역소
중앙행정기관 광주지방고용노동청 목포지청 광주출입국관리사무소 목포출장소 광주지방검찰청 목포지청
법무부 목포준법지원센터 목포보훈지청
환경 목포기상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서부사무소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교육 목포교육지원청 목포대학교 목포해양대학교
문화 한국방송공사 목포방송국 목포문화방송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목포시립도서관
선거관리 목포시선거관리위원회
}}}}}}}}} ||
국립해양유산연구소
國立海洋遺産硏究所 |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파일:국립해양유산연구소 MI.svg
<colbgcolor=#003964> 소속 국가유산청
종류 국립 연구 기관
연구소장 김성배
주소 전라남도 목포시 남농로 136
설립일 1994년 12월 14일([age(1994-12-14)]주년)
연락처 (061) 270-3001
웹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조직3. 목포해양유물전시관
3.1. 전시3.2. 어린이박물관3.3. 기획전시
3.3.1. 특별전
4. 태안해양유물전시관
4.1. 전시
4.1.1. 특별전시
5. 소장품6. 발굴7. 국립수중고고학센터 추진8. 관련 영상

[clearfix]

1. 개요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전라남도 목포시충청남도 태안군에 있는 문화재청 소속 책임운영기관이다. 원래 국립문화재연구원 소속으로 해양문화재 발굴과 연구를 담당하던 기관(부설기관인 목포보존처리장)이었으나 별도 기관으로 독립하였다. 대한민국 최고의 해양문화재 연구 기관으로, 신안선, 달리도선, 완도선 등 난파선을 발굴하고, 그 외 대한민국 해저에 있는 여러 해양문화재를 발굴하고 연구한다. 한때는 '전시관'이라는 말이 붙기도 하였으나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1]. 2023년군산시와 수중고고학 전문인력 기관을 만들기 위해 협약했다.

1980년 신안해저인양유물의 과학적 보존과 복원을 전담하는 기구를 설치하기로 하여 1981년 문화재연구소 부설 목포보존처리장으로 탄생했다. 1990년 목포해양유물보존처리소가 되었고, 1994년 국립해양유물전시관으로 개편되었다가 2009년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가 되었다. 2024년 문화재청이 국가유산청으로, 문화재가 국가유산으로 바뀌면서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도 국립해양유산연구소로 변경되었다.

참고로 2003년 국립해양박물관 승격 떡밥이 돌았는데 당시 이창동 문화관광부 장관이 건의서를 제출하여 긍정적인 답변까지 받아냈으나 흐지부지되었고, 2006년 부산광역시, 여수시, 제주특별자치도 등이 해양박물관 유치전을 벌이게 되자 정부가 부산으로 결정하여 2015년 부산 영도구특수법인 국립해양박물관이 생겨났다. 비용 측면으로 봐도 기존 시설이 있는 곳을 승격시키는 것이 비용 절감 측면에서 유리했으나 노무현 정권 당시 호남보다 영남(PK)에 더 팔이 굽었던 결정으로 볼 여지가 있다.

2. 조직

  • 기획운영과
  • 수중발굴과
  • 해양유물연구과
  • 전시교육과
  • 유물과학팀
  • 서해문화재과
  • 목포해양유물전시관
  • 태안해양유물전시관 - 충남 태안 근흥면에 있다. 2018년 12월 개관하였다.

3. 목포해양유물전시관

3.1. 전시

복원된 신안선, 해양문화재, 판옥선과 외국의 배 모형들이 전시되어 있다.

3.2. 어린이박물관

어린이들이 따로 문화재를 관람하고 놀 수 있게 박물관이 마련되어 있다.

3.3. 기획전시

3.3.1. 특별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특별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태안해양유물전시관

충남 태안군 근흥면 신진대교길 94-33

4.1. 전시

4.1.1. 특별전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특별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소장품

신안선 등 난파선이나 해양문화재를 발굴했던 것을 소장, 전시하고 있다.

보존 및 복원이 완료된 신안선, 완도선, 달리도선, 십이동파도선이 전시 중이며(목포), 보물 제1782호 청자철화퇴화문두꺼비형벼루, 보물 제1783호 청자국화모란버드나무무늬매병과 죽찰, 보물 제1784호 청자연꽃줄기무늬매병과 죽찰이 전시중이다(태안). 그 외에도 소소승자총통과 같은 무기류와 다양한 도자류, 철제류, 목제류 등이 전시되어있다.

또한 조선통신사선을 재현하여 체험프로그램을 운영중에 있다. 신청은 공식 홈페이지 참고

6. 발굴

  • 완도선 발굴
  • 제주도
  • 군산 선유도 해역 발굴조사(~2023.10.)

7. 국립수중고고학센터 추진

전북특별자치도에서 발견된 수중 유물을 보관할 장소가 없어 목포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로 보내고 있는 상황이라서, 전북특별자치도에서 인력 교육과 전시를 위한 국립수중고고학센터를 추진하고 있다.# 기능이 동일한 특성상 최종적으로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의 군산시 분관으로 열 듯하다. 다만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임에도 2023년 기획재정부가 예타 대상 선정을 안해서 다음 기회로 미뤄졌다.#

8. 관련 영상


당 연구소를 다룬 EBS 다큐멘터리. 발굴 - 처리 - 복원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이 과정이 20년 걸린 사례도 있을 정도로 어려운 일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의 해양유물전시관이 제1종 박물관으로 여전히 운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