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1 00:39:49

국제정보올림피아드


🌐 국제 과학 올림피아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형식과학
[[국제수학올림피아드|
파일:IMO.png
]]
[[국제정보올림피아드|
파일:IOI.png
]]
수학 정보과학
자연과학
[[국제물리올림피아드|
파일:IPHO.jpg
]]
[[국제화학올림피아드|
파일:IChO.jpg
]]
[[국제청소년물리토너먼트|
파일:IYPT.png
]]
[[국제생물올림피아드|
파일:IBO.svg
]]
물리학 화학 물리 토론(1) 생물학
[[국제천문올림피아드|
파일:IAO.gif
]]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
파일:IJSO.png
]]
[[국제지구과학올림피아드|
파일:IESO.png
]]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
파일:IOAA.jpg
]]
천문학 중등과학 지구과학 천체물리학
사회과학
[[국제지리올림피아드|
파일:IGEOLOGO.jpg
]]
[[국제경제올림피아드|
파일:IEO.png
]]
지리학 경제학
인문학
[[국제철학올림피아드|
파일:IPhilO.png
]]
[[국제 언어학 올림피아드|
파일:IOL_logo_wordless.png
]]
[[국제역사올림피아드|
파일:IHO.jpg
]]
철학 언어학(2) 역사학(3)
(1) 타 올림피아드와 성격이 다르지만 국제 과학 올림피아드 한국대표단 발대식에 초청 받으므로 포함
(2) 사회과학이나 형식과학에도 속함
(3) 타 올림피아드와 성격이 다르지만 해당 분야에서 유일하게 올림피아드 이름을 달고 운영되는 세계 대회이므로 포함
}}}}}}}}} ||
아시아-태평양 올림피아드 목록 / 국내 올림피아드 목록 / 국가별 물리올림피아드 목록 / 국가별 지리올림피아드 목록


International Olympiad in Informatics (IOI) / 국제정보올림피아드
<colbgcolor=#f29314><colcolor=#fff> 국제정보올림피아드
파일:IOI.png
한국어 명칭 <colbgcolor=#fff,#2d2f34>국제정보올림피아드
영문 명칭 International Olympiad in Informatics
약어 IOI
개최년도 1989년
링크 공식 홈페이지
한국 홈페이지
1. 개요2. 주요 한국인 수상자3. 설명
3.1. 국가대표 선발
3.1.1. 서류전형3.1.2. 봄 통신교육3.1.3. 여름학교3.1.4. 가을 통신교육3.1.5. 겨울학교3.1.6. 국가대표 선발3.1.7. 봄 통신교육
3.2. 국제 대회
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러시아 카잔에서 열린 2016년 제28회 IOI
1989년 개최되기 시작한 컴퓨터과학 분야의 국제 과학 올림피아드.

타 국제 올림피아드가 다 그렇듯이 참가국들이 매번 돌아가면서 개최하며 특히 2002년에는 경기도 용인시에서 개최되었다. 여담으로 IOI의 로고가 각 나라의 문화를 반영하여 참신하게 제작되며, 문제 상세 설명을 위해 그럴 듯한 상황을 만들어내야 하는 정올 특성상 각 나라의 풍습이 문제에 반영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대한민국의 IOI 2002 문제, 유토피아에 대한 비유가 인상적이다.

매년 한결 같은 난이도 인플레이션이 발생한다. 가장 중요한 이유는 참가자들의 실력이 빠르게 인플레이션 되고 있다는 점이며, 그 외 2012년까지 대회 환경이 참가자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개선된 것도 인플레의 이유.[1] 실력만 있으면 5시간 안에 풀 수는 있지만 그래도 충분히 어려운 문제, 그리고 만점자는 정확히 한 명 정도 나오는 대회를 만드는 것이 주최 측의 방향인 거 같다.

한국은 1992년부터 IOI에 참가하기 시작하여, 매년 4명의 국가대표가 꾸준히 출전하고 있다.

2015년 한국은 3명이 금메달, 1명이 은메달을 수상함으로써 러시아, 중국, 미국과 함께 종합 순위 1등의 성적을 기록했다. 또한 한국인 참가자 윤지학이 대회 참가자 중 유일하게 600점 만점을 기록함으로써 개인 순위 1등을 기록했다. 이는 한국의 24년 참여 기간 동안 가장 큰 성과이다.
파일:external/koistudy.net/ioi2015.png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3월 12일 IOI 측에서 2022년 대회에 러시아, 벨라루스 학생의 경우 온라인으로만 참가할 수 있으며,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의 경우처럼 러시아, 벨라루스 국기가 아닌 IOI 기를 사용해야 한다는 결정을 내렸다. #

2. 주요 한국인 수상자

한국은 2024년까지 금메달 48개, 은메달 47개, 동메달 28개를 땄다. 국제적으로 강호에 속하는 나라다. 전체 IOI 한국 대표단 성적.

아래 리스트는 5등 이내에 든 한국인 리스트. 탑골드는 전체 1위를 뜻한다.
  • 1992년: 김범준 (200 / 200점) 탑골드 [2] [3]
  • 1998년: 박세혁 (680 / 700점) 골드(5위) [4] [5]
  • 1999년: 임중근 (435 / 600점) 골드(4위) [6]
  • 2002년: 정완영 (510 / 600점) 탑골드 [7]
  • 2003년: 여환승 (455.4 / 600점) 탑골드 [8]
  • 2005년: 강지훈 (583 / 600점) 골드(5위) [9] [10]
  • 2006년: 박재현 (466 / 600점) 골드(2위) [11]
  • 2009년: 강동구 (710 / 800점) 골드(5위) [12]
  • 2015년: 윤지학 (600 / 600점) 탑골드 [13][14]
  • 2020년: 최은수 (593 / 600점) 골드(2위) [15]

3. 설명

3.1. 국가대표 선발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과학 올림피아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47a0> 형식과학
[[한국수학올림피아드|
파일:KMO_small.png
한국수학올림피아드]] · [[한국정보올림피아드|
파일:KOI.png
한국정보올림피아드]]
· [[충북정보올림피아드|
파일:DALL·E 2024-12-12 15.08.53 - A high-quality logo design featuring a blue background with a laurel wreath encircling the text '2024 COI' in bold white font. The design is clean, pr.webp
충북정보올림피아드]](4)
자연과학
[[한국물리올림피아드|
파일:kps_logo.jpg
한국물리올림피아드]] · [[한국화학올림피아드|
파일:KChO.jpg
한국화학올림피아드]] · [[한국청소년물리토너먼트|
파일:KYPT.png
한국청소년물리토너먼트]](1) · [[한국생물올림피아드|
파일:KBO.png
한국생물올림피아드]] · [[한국천문올림피아드|
파일:KAO_logo.png
한국천문올림피아드]] · [[한국중등과학올림피아드|
파일:KJSO.png
한국중등과학올림피아드]] ·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
파일:KESO_logo.png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
사회과학
[[전국지리올림피아드|
파일:대한지리학회 로고.svg
전국지리올림피아드]] · [[한국경제올림피아드|
파일:KEO.png
한국경제올림피아드]]
인문학
[[한국철학올림피아드|
파일:KPO.png
한국철학올림피아드]](2) · [[한국 언어학 올림피아드|
파일:KLO.png
한국언어학올림피아드]](3)
(1) 타 올림피아드와 성격이 다르지만 국제청소년물리토너먼트 대표단도 국제 과학 올림피아드 한국대표단 발대식에 초청 받으므로 포함
(2) 국제철학올림피아드 국내 예선과 주최는 같지만 별개의 대회임
(3) 사회과학이나 형식과학에도 속함
(4)대한민국 내 지역대회
}}}}}}}}} ||
국제 올림피아드 목록 / 아시아-태평양 올림피아드 목록 / 국가별 물리올림피아드 목록 / 국가별 지리올림피아드 목록


국내 올림피아드를 거치고 나서 우수한 학생을 국가대표로 선발하거나 혹은 아예 국내 올림피아드가 국가대표 선발의 목적만을 가지고 있는 타 올림피아드와는 다르게 한국정보올림피아드와 기본적으로는 별개이다. 이쪽은 일부는 처음부터 IOI 교육생 선발을 접수받아 교육을 하는 상황. 2015년 기준으로 접수 20명/KOI 성적 우수자 30명이다.

이렇게 선발된 학생들은 여름학교, 겨울학교, 통신교육 등의 교육과정을 거친 뒤 국가대표 선발고사에 참여한다. 겨울학교를 수료한 학생은 모두 선발고사에 참여할 수 있다.

중학교 2학년 ~ 고등학교 2학년을 모집하며, 2년 교육 과정이다. 처음 교육에 참여하면 처음반, 한 번 교육을 이수하면 계속반으로 간다. 교육을 마치면 졸업반이라고 불리는데, 모의고사 / 선발고사 / 통신교육 권한이 주어지는 것이 전부. 아재

3.1.1. 서류전형

지원서와 200 · 400 · 400자 가량의 간단한 자소서를 온라인으로 접수하고, (보통 담당 학교 측에서) 추천서를 우편으로 접수한다. 또한 생기부와 챙길 대회 상장 등이 있으면 본인이 직접 우편으로 보내야 한다.

지원서 · 자소서를 온라인으로 쓰니까 우편으로 이 생기부 보내는 걸 까맣게 잊어버리는 경우가 드문드문 있다. 특히 학교 측에서 추천서 써 줄 테니까 참고자료로 생기부 뽑아오라는 경우에는, 자기가 직접 부쳐야 한다는 것을 까먹고 생기부 보내는 것도 학교에서 알아서 해 주겠지 하는 안일한 생각으로 시간을 때우는 경우가 많다. 문제는 대회 측에서 서류미비 사실을 해당 학생에게 고지를 안 한다. 결국 이 경우 1달동안 희망을 가지며 열심히 대회를 준비하다가 갑작스런 서류탈락 소식을 듣고 항의전화해서 서류미비라는 청천벽력 같은 상황을 맞이하는 수밖에 없다... 다른 누구도 아니고 자기 대회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서류는 다른 누구도 아닌 자신이 챙겨야 한다.

서류 합격이 되면 면접 심사와 봄 통신 교육을 통해서 여름학교 선발 여부가 결정된다. 면접 심사는 매년 지정 대학교에서 실시하며 난이도는 매년 다르다.

3.1.2. 봄 통신교육

서류전형 지원자 + 전년도 처음반 수료자 + 전년도 계속반 수료자 + 졸업반을 대상으로 한 봄 통신교육이 진행된다. 반마다 제공되는 문제들이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자체 서버에서 통신교육이 진행된다.

3.1.3. 여름학교

IOI 2015 겨울학교부터 2017 여름학교까지 계절학교는 삼성전자 인재개발원에서 시설을 지원해주고 있다. 기사 2018 겨울학교와 2018 여름학교는 대학교에서 진행했고, 2019 겨울학교부터 다시 심성전자 인재개발원에서 진행한다. 2020, 2021, 2022, 2023년 여름학교는 온라인으로 진행했다. 삼성의 지원 이후로 계절학교의 교육 환경이 아주 많이 개선되었다. 숙소, 식사, 교육 시설은 그 어떤 계절학교와 비교해도 우수한 편. 꼭 삼성 직원 분들한테 감사한 마음으로 다니자. 다만 회사 시설인지라 외부와의 단절이 완벽하다.

여름학교에서는 처음반과 계속반이 참가하며, 처음반은 오전에 수업을 듣고 오후에 실습을 하며, 계속반은 하루종일 IOI 등 여러 대회 기출문제로 실습을 한다. 특이한 점으로는 코치의 퀄리티가 높다는 것인데, 그냥 단순히 지도/보조를 하는 게 아니라 학생을 가르친다. 이러한 현상의 이유는 1. 거의 모든 코치가 IOI/ICPC 등에서 활약해본 고수들이며 2. 고로 최근 출제 경향 같은 데도 민감한데 3. 출제 경향이 자주 바뀌는 편이고[16] 4. IOI는 코딩을 통해 자기 논리의 정당성을 보여줘야 하는데 교수님들은 코딩과는 거리가 있으니..

최근 여름학교 처음반에서는 교수님들은 수업을 진행하시고, 코치들은 문제 풀이를 한다.

2015년 현재는 경기과학고등학교에 강력한 학생들이 많은 편이다. 옛날에는 KSA가 강력했다는 내용이 적힌 백괴사전 글을 보면 이건 시대에 따라 좀 가변적인 거 같지만. 영재학교가 올림피아드를 대비하기도, 대비하는 학생들이 진학하기도 좋은 환경이며, 또한 현재 정보를 좋아하는 사람(선생님 포함)들 간의 커뮤니티가 가장 활발한 학교가 경기과학고인 점이 크다. 2019년부터는 선린인터넷고등학교,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같은 일부 특성화고등학교에서도 실력자가 보인다.

게임(컴퓨터 게임/보드게임/카드게임 등)을 한다든지 휴대전화를 제출하지 않는다든지 무단으로 인터넷에 접속한다든지 하는 등의 사고를 치면 퇴교되어, 영원히 IOI 교육생 선발에서 제명된다. 실제로 퇴교되는 사람이 매년 있으니 각별히 주의할 것.

3.1.4. 가을 통신교육

여름학교 수료자 전원 + 졸업반에 대해, 봄 통신교육과 동일하게 9월 중~후반부터 11월 말까지 가을 통신교육을 진행한다. 봄 통신교육과 문제가 차이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으며, 처음반 / 계속반 + 졸업반이 받는 문제 역시 차이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이건 년도마다 다르다. 일반적으로 통신교육 문제라 하면 처음반 가을통신교육 문제를 뜻한다.

계절학교 자체가 국가대표 선발을 위한 교육 기관인지라 처음반 통신교육은 원래 IOI 수준의 어려운 문제들로 가득 차 있었으며 아직도 그렇다. 이 과정에서 너무 어렵다는 민원이 들어왔는지 쉬운 문제가 20개 정도 추가됐는데 쉽다기 보다는 코딩 노가다류 문제가 많아서 말이 많다. 확실한 건 어려운 문제들은 정말 수준이 높다. 다만 통신교육 자체의 문제량이 그렇게 많지는 않으니 제대로 공부하려면 더블릿 여기이나 백준 온라인 저지 같은 타 OJ 역시 병행해서 사용해야 한다.

3.1.5. 겨울학교

가을 통신교육 참가자에 대하여 겨울학교 참가자를 선발한다. 가을 통신교육에서 어느 정도 성실하게 참여해야 겨울학교에 들어갈 수 있다. 겨울학교의 교육 시스템은 여름학교와 거의 동일. 처음/계속반 모두 여름학교보다 어려운 내용으로 교육한다.

3.1.6. 국가대표 선발

1차, 2차에 걸쳐서 선발고사가 진행되며, 1차는 겨울학교 마지막 날에, 2차는 2~3월에 진행된다. 2016년부터 선발고사 성적은 시험 직후 공개되어서 국가대표가 누군지가 선발고사 종료와 동시에 결정된다. [17] 선발된 4명의 국가대표와 1명의 후보는 합숙 훈련 등을 거쳐서 국제 대회를 나간다.

국가대표 선발이 안되더라도 처음반에게는 선발고사의 성적이 계속반 진급여부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처음반에서 오직 1/4 정도만 계속반으로 진급할 수 있기 때문에 선발고사는 아주 중요하다.

2010년대 중반 당시에는 경기과학고등학교 에서 가장 많은 국가대표를 배출 중이었다. 2015년에는 경기과학고에서 3명, 서울과학고에서 1명 선발되었다. 2016년에도 4명 중 3명이 경기과학고 재학생이고, 1명은 서울과학고 재학생이다.

2017년에는 경기과학고 2명, 서울과학고 1명, 대구과학고 1명이 선발되었고, 2018년에는 경기과학고 2명, 서울과학고 2명이 선발되었다. 2019년에는 경기과학고 3명, 충북과학고 1명, 2020년에는 경기과학고 3명, 서울과학고 1명이 선발되었으며, 2021년에는 경기과학고 1명, 서울과학고 2명, 압구정중학교 1명이 선발되었는데 이 해에는 선발고사 4등과 5등의 성적이 완벽히 동일하여 논의 끝에 약 1달 후 열린 JOISC open contest 1일차 성적으로 국가대표를 결정하였다. (모든 문제에서 동일한 부분점수를 얻었을 때의 타이브레이커까지는 명시적으로 준비되어 있지 않았다고 한다.) 2022년에는 서울과학고등학교 2명, 선린인터넷고등학교 1명, 대구과학고등학교 1명이 선발되었고 경기과학고에서는 국가대표가 한 명도 나오지 않았다. 2023년에는 서울과학고등학교 2명, 경기과학고등학교 2명이 선발되었다.

3.1.7. 봄 통신교육

선발고사가 종료된 후 가을 통신교육과 마찬가지로 봄 통신교육이 진행된다. 똑같이 9주로 진행되며, 통신교육이 끝난 후 다음 해 여름학교 인원 선발이 진행된다.

3.2. 국제 대회

기출문제 번역(2008년 20회까지) [18]

대회 참가자들은 일주일 정도 개최지에서 생활하게 된다. 대회 전날에 예비소집을 해서 연습문제를 풀거나 컴퓨터를 점검하게 한다.
본격적인 대회는 이틀 동안 열리며, 참가자는 하루에 5시간 동안 3문제를 풀어야 한다. '원하는 입력을 한 번에 넣어서', '제한시간 내에 연산하여', '조건을 완벽히 만족하는 출력을 한 번에 내는' 세 가지 제약만 있는 프로그램을 짜는 유형만 있는 한국정보올림피아드의 경우와는 다르게, '주최측이 제시한 최적해와 가장 가까운/보다 높은 최적해를 찾는 문제', '주최측에서 함수를 하나 제공하고 함수의 출력결과를 받아, 그 함수를 최대한 적게 호출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는 인터랙티브 문제', 필기문제[19] 같은 다양한 유형이 나온다.

문제 배점은 1997년 이후로는 1문제를 제외하고 문제당 100점이다.[20] 부분 점수 시스템이 존재하며, 부분 점수를 맞는 이유는 주로 1) 큰 데이터에서 느리거나 2) 특수한 경우에서만 제대로 작동하거나 3) 신유형에서는 함수 호출 횟수가 많다던지 압축률이 낮다던지 등등... 생각보다 복잡하니 자세한 건 IOI 기출문제를 보는게 좋다.
많은 OJ 컨테스트와 마찬가지로 실시간 채점을 하여 프로그램이 맞았는지, 시간초과가 났는지, 답이 틀렸는지 따위를 확인할 수 있다. 고로 실시간으로 자신의 점수를 알 수 있지만, 등수는 알 수 없다. [21] 2013년에는 채점서버 과부하로 채점이 지연되다 중단되는 사고가 일어난 적도 있다.

여담으로 몇년 전부터 인터넷으로 학생들의 성적을 생중계해준다. 맨 위 사진도 생중계 사이트의 일부이다. 정보올림피아드에서만 가능한 시스템으로, 관심이 있다면 재밌게 볼 수 있을 것이다. 대회 참가자에게는 공개되지 않는다.

2020년은 온라인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실시간 스코어보드를 보여주지 않는다.

자신의 최종 등수에 따라 금·은·동메달이 수여된다. 전체 참가자 중 상위 1/12까지가 금메달, 1/4까지가 은메달, 1/2까지가 동메달이며 동점자는 상위 메달을 수여한다.

4. 관련 문서

나무위키에 문서가 작성된 알고리즘 트레이닝 사이트
[[CodeUp|
파일:CODEUP_LOGO.png
]]
[[KOISTUDY|
파일:koistudy logo.png
]]
[[Baekjoon OJ|
파일:external/d2gd6pc034wcta.cloudfront.net/logo
]]
[[정올(사이트)|
파일:jungol_logo_new.png
]]
[[더블릿|
파일:jb7.gif
]]
[[Codeforces|
파일:CF_LOGO.png
]]
[[AtCoder|
파일:AtCoder LOGO.png
]]


[1] 옛날에는 KOI 지역본선처럼 자기가 낸 답안의 점수를 알 수 없었다. 즉, 자기가 만점이라고 생각하고 제출했다 해도 실수 한 번에 0점이 충분히 나올수 있다는 말. 약간의 과도기를 거친 후 2012년 이후에는 답안을 그때그때 제출 가능하며 자기가 낸 답안의 점수를 실시간으로 검사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적용되어서, 실수의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했다. 아마 더 이상 편리해질 일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2] 당시 서울과학고등학교 재학생으로 이후 KAIST로 진학했다.[3] 현재 배달의민족 CEO.[4] 당시 경남과학고등학교 재학생으로 이후 서울대학교로 진학했다.[5] 현재 Moloco 공동창업자 겸 CIO.[6] 당시 서울과학고등학교 재학생으로 이후 KAIST로 진학했다.[7] 당시 서울과학고등학교 재학생으로 이후 서울대학교로 진학했다. 현재 카이스트 전기 및 전자공학부 재직 중.[8] 당시 대구과학고등학교 재학생으로 이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로 진학했다.[9] 당시 서울과학고등학교 재학생으로 이후 서울대학교로 진학했다.[10] 현재 KAIST 전산학부에서 조교수로 재직중이다.[11] 당시 서울과학고등학교 재학생으로 이후 스탠퍼드 대학교로 진학했다.[12] 당시 서울과학고등학교 재학생으로 이후 MIT로 진학했다.[13] 대회 유일 만점자다.[14] 당시 경기과학고등학교 재학생으로 이후 서울대학교로 진학했다. 현장에서 MIT교수에게 입학권유를 받았다고 한다.[15] 당시 경기과학고등학교 재학생으로 이후 KAIST로 진학했다.[16] 해를 거듭할 수록 난이도 차가 가파르게 올라간다. 당장 10년 전 문제랑 요즘 문제랑 비교해보면...[17] 그게 아니더라도 자기 점수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으니, 점수 공유하면 대충 윤곽이 잡혔지만...[18] 원문은 위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19] 옛날 기출문제 중에는 필기문제도 있었지만 지금은 다 컴퓨터로 한다.[20] IOI 2010 Languages, http://ioi2010.org/Tasks/Day1/Language.shtml 참고. 110점이 만점이며 대회때 101점이 최고였다.[21] 외부인들은 등수까지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