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사요왕 후 | 허루왕 후 | 마제왕 후 | 지소례왕 후 |
유리 이사금의 장모 | 파사 이사금의 장모 | 지마 이사금의 장모 | 일성 이사금의 장모 | |
일지왕 후 | 아도왕 후 | 세신왕 후 | 구도왕 후 | |
일성 이사금의 외조모? | 파사 이사금의 손자며느리 | 옥모부인 | 술례부인 | |
이칠왕 후 | 내음왕 후 | 파호왕 후 | 습보왕 후 | |
미추 이사금의 장모 | 내해 이사금의 며느리 | 자비 마립간의 장모 | 조생부인 | |
지도로왕 후 | 입종왕 후 | 동륜왕 후 | 복승왕 후 | |
연제부인 | 지소태후 | 만호부인 | 마야부인의 모친 | |
음갈문왕 후 | 진안왕 후 | 만천왕 후 | 문흥왕 후 | |
선덕여왕 | 월명부인 | 국반갈문왕의 장모 | 문정태후 | |
흥무왕 후 | 개성왕 후 | 신영왕 후 | 명덕왕 후 | |
지소부인 | 사소부인 | 무열왕의 딸 | 계오부인 | |
혜충왕 후 | 익성왕 후 | 선강왕 후 | 성덕왕 후 | |
성목태후 | 순성태후 | 선의태후 | 1 헌목태후2 조명부인 | |
의공왕 후 | 혜성왕 후 | 흥렴왕 후 | 신흥왕 후 | |
광의왕태후 | 부호부인 | 정화태후 | 계아태후 | |
혁거세 거서간의 생모 | ||||
선도성모 | ||||
}}}}}}}}} |
선의태후 관련 틀 | ||||||||||||||||||||||||||||||||||||||||||||||||||
|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신라 선강왕의 왕후 귀보부인 | 貴寶夫人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0%,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기타 직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신라 혜충왕의 왕녀 왕녀 박씨 | 王女 朴氏 | ||
신라 민애왕조 추존 왕태후 선의태후 | 宣懿太后 | }}}}}}}}} | ||
출생 | 연대 미상 | ||
신라 금성 추정 (現 경상북도 경주시) | |||
사망 | 연대 미상 (향년 미상) | ||
신라 금성 추정 (現 경상북도 경주시) | |||
능묘 | 미상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본관 | 경주 박씨[1] | |
휘 | 귀보(貴寶)? | ||
부모 | 부왕 혜충왕 모후 성목태후[2] | ||
형제자매 | |||
배우자 | 선강왕 | ||
자녀 | |||
종교 | 불교 | ||
작호 | 귀보부인(貴寶夫人) → 왕태후(王太后) | ||
시호 | 선의태후(宣懿太后) | ||
별호 | 귀파부인(貴巴夫人) |
1. 개요
1. 개요
신라 하대의 추존 왕후. 제 38대 원성왕의 장남 김인겸의 딸이자 제 39대 소성왕, 제 41대 헌덕왕, 제 42대 흥덕왕, 김충공의 누이이다. 남매지간인[3] 김충공과 혼인하여 제 44대 민애왕, 문목부인, 정교부인, 조명부인 등 4명의 자식을 두었다.학계에서는 대체로 남편인 김충공과 동복 남매가 아닌 이복 남매였으리라 추정하고 있다. 제아무리 근친혼을 밥 먹듯이 하는 신라 사회에서도 남매혼은 보기 드물고, "신라의 토속(土俗)을 물려받은" 고려 초 근친혼에서도 이복 남매끼리 혼인했지 동복 남매끼리 혼인한 사례는 없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귀보부인이 인겸의 차처(次妻)와의 사이에서 태어났다는 설과 소성왕-헌덕왕-흥덕왕이 사서에서 동모제(同母弟)라 명확히 명시한 반면 충공은 단순히 '동생'으로만 나오기 때문에 반대로 충공이 인겸의 차처 사이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이복 누이인 귀보부인과 혼인함으로써 혈통적 권위를 확보했다는 설로 갈린다. 민애왕도 즉위 과정이 다소 미심쩍다는 점과 신라 후기에서 친자식이 아닌 것 같은데 조선 후기 서자 왕들처럼 "적모"를 태후로 추존한 것으로 추정되는 사례가 여러 차례 발견되면서 실제로는 귀보부인의 친아들이 아니라 충공의 차처가 낳은 아들이 아니냐는 의견이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