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혁거세 후 | 남해 후 | 유리 후 | 탈해 후 |
알영부인 | 운제부인 | 1 이리생부인2 사요왕의 딸 김씨 | 아효부인 | |
파사 후 | 지마 후 | 일성 후 | 아달라 후 | |
사성부인 | 애례부인 | 지소례왕의 딸 박씨 | 내례부인 | |
벌휴 후 | 내해 후 | 조분 후 | 미추 후 | |
석골정의 모후 | 아루부인 | 1 아이혜부인2 운소부인 | 광명부인 | |
흘해 후 | 내물 후 | 실성 후 | 눌지 후 | |
석공한의 모후 | 보반부인 | 아류부인 | 차로부인 | |
자비 후 | 소지 후 | 지증왕 후 | 법흥왕 후 | |
1 김복호의 딸2 김미사흔의 딸 | 1 김습보의 딸2 선혜부인 | 연제부인 | 보도부인 | |
진흥왕 후 | 진지왕 후 | 진평왕 후 | 무열왕 후 | |
1 사도부인2 소비 부여씨 | 지도부인 | 1 마야부인2 승만부인 | 문명왕후 | |
문무왕 후 | 신문왕 후 | 성덕왕 후 | 효성왕 후 | |
자의왕후 | 폐 폐비 김씨2 신목왕후 | 폐 성정왕후2 소덕왕후 | 1 왕비 박씨2 혜명부인3 정종의 딸 김씨 | |
경덕왕 후 | 혜공왕 후 | 선덕왕 후 | 원성왕 후 | |
폐 사량부인2 경수태후 | 1 신보왕후2 창창부인 | 구족부인 | 숙정부인 | |
소성왕 후 | 애장왕 후 | 헌덕왕 후 | 흥덕왕 후 | |
계화부인 | 왕후 박씨 | 귀승부인 | 정목왕후 | |
희강왕 후 | 민애왕 후 | 신무왕 후 | 문성왕 후 | |
문목왕후 | 윤용왕후 | 정계부인 | 1 소명왕후2 장보고의 딸 | |
헌안왕 후 | 경문왕 후 | 헌강왕 비 | 효공왕 후 | |
문의왕후의 모후 | 1 문의왕후2 차비 김씨 | 의명부인 | 왕비 박씨 | |
신덕왕 후 | 경명왕 후 | 경애왕 후 | 경순왕 후 | |
의성왕후 | 왕비 김씨 | 왕비 | 죽방부인 | |
}}}}}}}}} |
정목왕후 관련 틀 | |||||||||||
|
신라 흥덕왕의 왕비 정목왕후 | 定穆王后 | |||
<colbgcolor=#7C2A8D><colcolor=#fbe673> 신라 소성왕의 왕녀 | |||
흥덕왕릉 전경 | |||
출생 | 미상 | ||
사망 | 826년 12월 | ||
능묘 | 흥덕왕릉(興德王陵) | ||
재임기간 (음력) | 신라 왕비 | ||
? ~ 826년 12월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7C2A8D><colcolor=#fbe673> 본관 | 경주 김씨 | |
부왕 | 소성왕 | ||
모후 | 계화부인(桂花夫人) | ||
형제자매 | 형제 - 애장왕, 김체명(金體明) | ||
부군 | 흥덕왕 | ||
호 | 장화부인(章和夫人) | ||
이칭 | 창화부인(昌花夫人) | ||
시호 | 정목왕후(定穆王后) | }}}}}}}}} |
[clearfix]
1. 개요
신라 제 39대 국왕 소성왕의 딸이자 신라 제 42대 국왕 흥덕왕의 왕비. 또한 신라 제 40대 국왕 애장왕의 누이.2. 생애
숙부 김경휘[1]와 결혼한다.이후 그녀의 형제 애장왕이 숙부 김언승[2]에 의해 쿠데타로 시해당한다.[3]
그리고 826년에 남편이 왕위에 오르고 본인 또한 왕후가 된다.
826년 12월에 졸(卒)하였고 이후 ‘정목왕후(定穆王后)’로 추존된다.
3. 여담
남편 흥덕왕은 아내를 무척 사랑하였는지 재혼하지 않고 그녀만을 그리워했다고 한다. 또한 장화부인은 신라 역사상 유일하게 왕과 합장된 왕후이기도 하다.제42대 흥덕대왕(興德大王)이 보력(寶曆) 2년 병오년(826)에 즉위하고, 얼마 안 되어 어떤 사람이 당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앵무새 한 쌍을 가지고 왔는데, 오래지 않아 암컷이 죽었다. 홀로 남은 수컷이 애처롭게 울기를 그치지 않자, 왕은 사람을 시켜 앞에 거울을 걸게 하였다. 새가 거울 속의 그림자를 보고 짝을 얻은 것으로 생각하여 그 거울을 쪼다가 그림자임을 알고서 슬피 울다가 죽었다.
삼국유사 앵무조
삼국유사 앵무조
겨울 12월에 왕비 장화부인(章和夫人)이 죽으니, 추봉하여 정목왕후(定穆王后)라 하였다. 왕이 왕비를 생각하며 잊지 못하고, 슬퍼하며 즐거워하는 일이 없자, 군신들이 표를 올려 다시 왕비를 맞아들일 것을 청하였다. 왕이 말하기를
“외짝 새도 짝을 잃은 슬픔이 있거늘, 하물며 좋은 배필을 잃고서는 어떠하겠는가. 어찌 차마 무정하게 곧바로 다시 아내를 얻겠는가.”라고 하며 따르지 않았다. 또 시녀를 가까이 하지 않고, 좌우의 시자(使者)로는 오직 환관만을 두었다.
삼국사기 흥덕왕 본기
“외짝 새도 짝을 잃은 슬픔이 있거늘, 하물며 좋은 배필을 잃고서는 어떠하겠는가. 어찌 차마 무정하게 곧바로 다시 아내를 얻겠는가.”라고 하며 따르지 않았다. 또 시녀를 가까이 하지 않고, 좌우의 시자(使者)로는 오직 환관만을 두었다.
삼국사기 흥덕왕 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