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왕릉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81818,#e5e5e5 | 혁거세왕릉(오릉) | |||
파사왕릉(오릉) | 지마왕릉 | 일성왕릉 | 아달라왕릉(배동 삼릉) | |
현재 소재 파악 불가 | 현재 소재 파악 불가 | 현재 소재 파악 불가 | 현재 소재 파악 불가 | |
미추왕릉 | 현재 소재 파악 불가 | 현재 소재 파악 불가 | 현재 소재 파악 불가 | |
내물왕릉 황남대총(소수설) | 황남대총(소수설) | 황남대총(다수설) | 황남대총(소수설) | |
천마총(소수설) | 천마총(통설) | 법흥왕릉 | 진흥왕릉 | |
진지왕릉 | 진평왕릉 | 선덕여왕릉 | 진덕여왕릉 | |
무열왕릉 | 문무대왕릉(대왕암) | 신문왕릉 | 효소왕릉 | |
성덕왕릉 | 효성왕릉 | 경덕왕릉 | 현재 소재 파악 불가 | |
현재 소재 파악 불가 | 원성왕릉(괘릉) | 현재 소재 파악 불가 | 현재 소재 파악 불가 | |
헌덕왕릉 | 흥덕왕릉 | 희강왕릉 | 민애왕릉 | |
신무왕릉 | 문성왕릉 | 헌안왕릉 | 현재 소재 파악 불가 | |
헌강왕릉 | 정강왕릉 | 현재 소재 파악 불가 | 효공왕릉 | |
신덕왕릉(배동 삼릉) | 경명왕릉(배동 삼릉) | 경애왕릉 | 경순왕릉 | |
수장급 능묘 대릉원(금관총 · 금령총 · 봉황대 · 서봉총 · 식리총 · 천마총 · 호우총 · 황남대총) 금척리 고분군 ·서악동 고분군 구정동 방형분 · 김유신장군묘 · 김인문묘 · 김양묘 · 설총묘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4A2D5B><tablebgcolor=#4A2D5B> | 흥덕왕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4A2D5B,#2d2f34><colcolor=#fbe673,#f9d537> 생애 및 활동 | <colbgcolor=#fff,#1f2023>생애 | |
관련 문서 | 실상사 · 흥덕왕릉 | ||
관련 기타 | 청해진 |
대한민국의 사적 | ||
경주 흥덕왕릉 慶州 興德王陵 Royal Tomb of King Heungduk | ||
{{{#!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육통리 산42번지 |
분류 | 유적건조물 / 무덤 / 왕실무덤 / 고대 | |
수량/면적 | 62,281㎡ | |
지정연도 | 1963년 1월 21일 | |
제작시기 | 통일신라시대 | |
위치 |
[clearfix]
1. 개요
興德王陵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육통리 산 42번지에 위치한 신라 42대 국왕 흥덕왕 김경휘와 장화부인의 합장릉이다. 1963년 사적 제30호로 지정되었다.
2. 상세
원성왕릉(일명 괘릉)과 함께 통일신라의 능원 양식이 가장 잘 보존된 두 왕릉 중 하나다. 물론 완벽한 형태로 보존된 건 아니라 왕릉비도 파괴돼 일부 파편만 남아있고[1] 기둥과 기둥 사이에 세로로 끼우는 관석(貫石)이 없어지기도 했다.[2]왕릉 근처에서는 59조각[3]의 묘비 파편이 발견되었는데 거기 써 있는 얼마 안 되는 글자 중에서 흥덕대왕이 태조 성한의 24대손이라는 문구가 있어 이 무덤이 흥덕왕릉인 것이 확실해졌다. 신라의 왕릉들 중 무열왕릉 등과 함께 확실하게 특정 왕의 능이라고 제대로 밝혀진 몇 안 되는 능 중 하나다. 또한 신라의 태조라는 성한왕은 금석문에는 등장하지만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는 등장하지 않는 정체불명의 왕으로 항목 참조.
경주시에서도 상당히 외곽 지역에 있다. 경주 중심가보다 포항시 시가지에서 더 가까운 정도고, 큰 도로와도 많이 떨어져있으며 대중교통은 하루에 4번 다니는 시골지역이다. 그래서 인지도도 낮고 찾아오는 사람도 적지만 봉분 외에도 원성왕릉 등과 함께 여러 석조물이 많이 남은 신라 왕릉에 속한다.
흥덕왕은 애처가였는데, 즉위 첫 해에 정목왕후가 죽자 11년 동안 죽은 부인만 생각하다가 세상을 떠날 때 부인의 무덤에 합장하기를 유언하였다고 한다. 무덤의 주인공이 2명인 합장릉이라 그런지 무덤 봉분의 크기도 비슷한 시대의 다른 왕릉보다 큰 편이다.
능원을 지키는 무인석상은 원성왕릉의 석상들과 마찬가지로 서역인의 형상을 하고 있다. 단 원성왕릉의 수염 묘사까지 세밀한 그것에 비해서는 살짝 밋밋한 편이다. 또한 봉분의 병풍석에는 십이지신상이 아주 정교하게 조각되어 있다.
3. 교통
관광도시로 유명한 경주시에 있지만 대부분의 경주 주요 관광지가 모여있는 동 지역에서는 거리가 꽤 있는 북부 안강읍에서도 외곽지역에 있어서 교통이 매우 좋지 않다. 경주 버스 201번이 흥덕왕릉 입구 정류장을 지나지만 하루에 5번 밖에 운행하지 않기 때문에 자가용을 끌고 가거나 안강 읍내에서 택시를 이용해 가는 것이 좋다. 차를 몰고 가더라도 큰 도로와는 떨어져 있고 좁은 시골길을 좀 지나야 한다.인근에 있는 다른 주요 유적지로는 같은 안강읍 안에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양동마을, 옥산서원이 있다. 이곳들도 각각 대중교통 연결은 불편하므로 자가용이 있다면 같이 방문할 만하다.
경주 버스는 드물게 다니지만 포항 버스 기계1번이 하루 20회 다닌다. 안강서부터미널에서 200번, 기계1번을 이용하여 육통입구 정류장에서 내린 후 약 2km 정도(도보 30분 소요) 걸어가면 된다.
4. 기타
- 지금은 주변에 젖소 축사가 많이 생겨 바람의 방향에 따라 분뇨 악취가 심한 편이다. 뿐만 아니라 축사에서 개도 여러 마리를 기르고 있어 짖을 때 은근 시끄럽다.
- 능 앞으로 울창한 소나무 숲이 넓게 조성되어 있는데 배동 삼릉과 더불어 관리가 상당히 잘된 편이라 사진작가들이 자주 찾는 곳이다. 특히 안개가 자욱하거나 해가 막 뜨기 시작할 때 방문하면 몽환적이면서 굉장히 아름답다.
- 2022년 5월 KBS2에서 방영된 사극 붉은단심 2화와 3화에 소나무 숲이 나오는데 바로 이곳이다.
5. 외부 링크
6. 사적 제30호
신라 제42대 흥덕왕(興德王 재위 826∼836)의 무덤으로 무덤제도가 잘 갖추어진 왕릉이다.
흥덕왕의 본명은 김수종金秀宗(경휘景徽)이며, 제41대 헌덕왕의 아우이다. 장보고로 하여금 완도에 청해진을 설치하여 서해를 방어하게 하였고, 당으로부터 가져온 차(茶) 종자를 지리산에 심어 재배하도록 하였다.
이 능은 원형 봉토분으로 지름 20.8m, 높이 6m이다.
비교적 커다란 둥근 봉토분으로 무덤 밑에는 둘레돌을 배치하여 무덤을 보호하도록 하였다. 둘레돌은 먼저 바닥에 기단 역할을 하는 돌을 1단 깔고 그 위에 넓적한 면석을 세웠다. 면석 사이에는 기둥 역할을 하는 탱석을 끼워 넣었는데, 각 탱석에는 방향에 따라 12지신상을 조각하였다. 탱석과 면석 위에는 다시 갑석을 올려 마무리 하였다.
무덤의 주위 4모서리에는 각각 돌사자를 한마리씩 배치하였고, 앞쪽의 왼쪽과 오른쪽에 문인석·무인석을 각 1쌍씩 배치하였다. 무덤의 앞 왼쪽에는 비석을 세웠는데, 지금은 비석을 받쳤던 거북이 모양의 귀부만 손상된 채 남아있다.
『삼국유사』에 전하는 무덤의 위치가 이 무덤과 대체로 일치하며, 왕릉 주위에서 ‘흥덕’이라는 글자가 쓰여진 비석조각이 발견되어 이 무덤이 흥덕왕의 무덤이라는 것을 뒷받침해 주고있다. 전체적인 배치와 장식물의 양식으로 볼 때 성덕왕릉과 원성왕릉의 형식을 많이 본뜨고 있다.
※(신라흥덕왕릉 → 경주 흥덕왕릉)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2011.07.28 고시)
흥덕왕의 본명은 김수종金秀宗(경휘景徽)이며, 제41대 헌덕왕의 아우이다. 장보고로 하여금 완도에 청해진을 설치하여 서해를 방어하게 하였고, 당으로부터 가져온 차(茶) 종자를 지리산에 심어 재배하도록 하였다.
이 능은 원형 봉토분으로 지름 20.8m, 높이 6m이다.
비교적 커다란 둥근 봉토분으로 무덤 밑에는 둘레돌을 배치하여 무덤을 보호하도록 하였다. 둘레돌은 먼저 바닥에 기단 역할을 하는 돌을 1단 깔고 그 위에 넓적한 면석을 세웠다. 면석 사이에는 기둥 역할을 하는 탱석을 끼워 넣었는데, 각 탱석에는 방향에 따라 12지신상을 조각하였다. 탱석과 면석 위에는 다시 갑석을 올려 마무리 하였다.
무덤의 주위 4모서리에는 각각 돌사자를 한마리씩 배치하였고, 앞쪽의 왼쪽과 오른쪽에 문인석·무인석을 각 1쌍씩 배치하였다. 무덤의 앞 왼쪽에는 비석을 세웠는데, 지금은 비석을 받쳤던 거북이 모양의 귀부만 손상된 채 남아있다.
『삼국유사』에 전하는 무덤의 위치가 이 무덤과 대체로 일치하며, 왕릉 주위에서 ‘흥덕’이라는 글자가 쓰여진 비석조각이 발견되어 이 무덤이 흥덕왕의 무덤이라는 것을 뒷받침해 주고있다. 전체적인 배치와 장식물의 양식으로 볼 때 성덕왕릉과 원성왕릉의 형식을 많이 본뜨고 있다.
※(신라흥덕왕릉 → 경주 흥덕왕릉)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2011.07.28 고시)
7. 둘러보기 틀
경주시의 관광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3F5765> 경주 시내 | 경주읍성 ‧ 동궁과 월지 ‧ 국립경주박물관(성덕대왕신종) ‧ 첨성대& 동부 사적지대, ‧ 대릉원(천마총, 황남대총) ‧ 노서 ‧ 노동동 고분군(봉황대, 금관총, 서봉총, 호우총), ‧ 경주 월성 ‧ 분황사 ‧ 월정교 ‧ 일정교 ‧ 황룡사지 ‧ 황리단길 ‧ 경리단길 ‧ 계림 ‧ 교촌마을 ‧ 최씨고택 ‧ 금장대 |
북부 유교문화권 | 양동마을 ‧ 옥산서원 ‧ 운곡서원 | |
송화산 | 김유신장군묘 ‧ 태종무열왕릉 ‧ 서악동 고분군 | |
소금강산 | 백률사 ‧ 소금강산 ‧ 탈해왕릉 ‧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 |
남산 | 남산 ‧ 나정 ‧ 망덕사지 ‧ 배동 삼릉 ‧ 오릉 ‧ 포석정 ‧ 서출지 ‧ 배동 삼릉 ‧용장사곡 삼층석탑 ‧ 경주 남산 불곡 마애여래좌상 ‧ 지암곡삼층석탑 ‧ 탑곡마애조상군 ‧ 신선암마애보살반가상 ‧ 미륵곡석불좌상 | |
낭산 | 사천왕사지 ‧ 선덕여왕릉 ‧ 능지탑지 ‧ 최지원 독서당 ‧ 황복사지 3층석탑 | |
토함산 | 토함산 ‧ 불국사(다보탑, 석가탑) ‧ 석굴암 ‧ 원성왕릉(괘릉) ‧ 토함산자연휴양림 | |
동해안 | 감은사지‧ 봉길대왕암해변‧ 문무대왕릉 ‧ 이견대 ‧ 경주 양남 주상절리 ‧ 나정고운모래해변 ‧ 오류고아라해변 | |
보문관광단지 | 보문관광단지 ‧ 경주월드(캘리포니아 비치) ‧ 신라밀레니엄파크 ‧ 경주세계문화엑스포(경주타워, 중도타워, 솔거미술관) ‧ 강동리조트 ‧ 강동워터파크 ‧ 경주화백컨벤션센터 (HICO)‧ 명활성 ‧ 보문호반길 ‧ 경주동궁원 ‧ 경주버드파크 ‧ 힐튼호텔 경주 | |
교통 | 경주역 ‧ 경주고속버스터미널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
기타 | 골굴사 ‧ 기림사 ‧ 화랑의 언덕 ‧ 흥덕왕릉 ‧ 진덕여왕릉 ‧ 진평왕릉 ‧ 장항리 사지 | |
※ 관광객들이 명소로 많이 찾는 곳은 밑줄 표시.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