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02 21:37:19

이견대

파일:hEgtBOyW_400x400_nobg.png 경주시의 관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F5765> 경주 시내 경주읍성동궁과 월지국립경주박물관(성덕대왕신종)첨성대& 동부 사적지대, ‧ 대릉원(천마총, 황남대총) ‧ 노서 ‧ 노동동 고분군(봉황대, 금관총, 서봉총, 호우총), ‧ 경주 월성분황사월정교일정교황룡사지황리단길 ‧ 경리단길 ‧ 경주 계림 ‧ 교촌마을 ‧ 최씨고택 ‧ 금장대
북부 유교문화권 양동마을옥산서원 ‧ 운곡서원
송화산 김유신장군묘태종무열왕릉 ‧ 서악동 고분군
소금강산 백률사소금강산탈해왕릉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남산 남산나정망덕사지배동 삼릉오릉포석정서출지경주 삼릉용장사곡 삼층석탑남산불곡마애여래좌상 ‧ 지암곡삼층석탑 ‧ 탑곡마애조상군 ‧ 신선암마애보살반가상 ‧ 미륵곡석불좌상
낭산 사천왕사지선덕여왕릉 ‧ 능지탑지 ‧ 최지원 독서당 ‧ 황복사지 3층석탑
토함산 토함산불국사(다보탑, 석가탑)석굴암원성왕릉(괘릉) ‧ 토함산자연휴양림
동해안 감은사지‧ 봉길대왕암해변‧ 문무대왕릉이견대경주 양남 주상절리 ‧ 나정고운모래해변 ‧ 오류고아라해변
보문관광단지 보문관광단지경주월드(캘리포니아 비치) ‧ 신라밀레니엄파크경주세계문화엑스포(경주타워, 중도타워, 솔거미술관) ‧ 블루원리조트블루원 워터파크경주화백컨벤션센터 (HICO)‧ 명활성보문호반길 ‧ 경주동궁원 ‧ 경주버드파크 ‧ 힐튼호텔 경주
교통 경주역경주고속버스터미널경주시외버스터미널
기타 골굴사기림사 ‧ 화랑의 언덕 ‧ 흥덕왕릉진평왕릉 ‧ 장항리 사지
※ 관광객들이 명소로 많이 찾는 곳은 밑줄 표시. }}}}}}}}}

파일:external/www.idaegu.com/01010101401.20140416.000044358.02.jpg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사적 제159호
경주 이견대
慶州 利見臺
{{{#!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감포읍 대본리 661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구비전승지
면적 4,197㎡
지정연도 1967년 8월 1일
제작시기 통일신라 신문왕
위치
}}}}}}}}} ||

1. 개요2. 역사3. 외부 링크4. 사적 제159호

[clearfix]

1. 개요

경상북도 경주시 감포읍 대본리 661에 있는 문무대왕릉이 내려다보이는 언덕 위에 자리잡은 정자.

통일신라시대 문무왕의 아들 신문왕대에 만들어졌으며, 1967년에 사적 제159호로 지정되었다.

2. 역사

신문왕은 아버지 문무왕을 동해바다에 장사지낸 뒤, 왜구에게서 신라를 지키는 이 되었다고 여긴 문무왕을 참배하기 위하여 문무대왕릉이 잘 보이는 바닷가 언덕 위에 이견대를 지었다. 신문왕이 용에게 만파식적을 받은 곳도 이견대이다.

지금 이견대에 존재하는 이견정(利見亭)은 당연히 신문왕 때 만든 그 건물은 아니고 1970년 발굴로 건물지를 확인한 후 안압지 등에서 확인한 신라의 건축양식을 추정해서 1979년에 새로 지은 것이다. 원래 역할이 전망대이니만큼 여기서 내려다보는 바닷가 풍경이 꽤 괜찮다.

다만 이견대의 원래 위치는 이곳이 아니라 좀 더 위쪽[1]이었고, 현재 알려진 이견대는 조선 시대에 역원이 있던 자리일 뿐이라는 지적도 있다.관련 기사

2020년 경주시는 문무대왕릉 주변을 정비하는 사업을 발표했는데 문무대왕릉-이견대-감은사지 간에 보행자 탐방로를 설치하고, 이견대에는 해양역사문화관을 만든다고 한다.#

3. 외부 링크

4. 사적 제159호

삼국통일을 이룬 신라 제30대 문무왕의 수중릉인 대왕암이 가장 잘 보이는 곳에 위치한 건물이다. 죽어서도 용이 되어 나라를 지키겠다는 문무왕의 호국정신을 받들어 31대 왕인 신문왕이 681년에 세웠다.

신문왕은 해변에 감은사라는 절을 짓고, 용이 된 아버지가 절에 들어와서 돌아다닐 수 있도록 법당 밑에 동해를 향하여 구멍을 하나 뚫어 두었다. 그 뒤에 용이 나타난 곳을 이견대라고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또 이견대에서 신문왕이 용으로부터 세상을 구하고 평화롭게 할 수 있는 옥대와 만파식적이라는 피리를 하나 받았다고도 한다. 이견대라는 이름은 신문왕이 바다에 나타난 용을 보고 나라에 크게 이익이 있었다는 뜻을 포함한 말인데, 『주역』의 ‘비룡재천 이견대인(飛龍在天 利見大人)’이란 문구에서 따온 것이다.

발굴조사 때 건물이 있던 자리가 발견됨으로써 신라의 건축양식을 추정하여 오늘날 새롭게 다시 지었다.

※(이견대 → 경주 이견대)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2011.07.28 고시)


[1] 현재의 이견대에서 조금만 더 위로 올라가면 예전 대본초등학교(2010년 폐교되어 감포초등학교와 통합됨)가 있었던 경주치즈마을이 나오는데 그 뒷산으로 5분 정도 올라가면 400~500 m쯤 되는 넓은 공간에서 신라 시대의 기와 조각과 함께 축성의 흔적이 발견되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