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15:27:31

강릉대도호부 관아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사적 제388호
강릉대도호부 관아
江陵大都護府 官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15288> 소재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임영로131번길 6 (용강동)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면적 18,951㎡
지정연도 1994년 7월 11일
제작시기 고려 태조 19년(936)
위치
}}}}}}}}}
파일:강릉대도호부_관아_전경.jpg

1. 개요2. 역사3. 건물
3.1. 지도
4. 외부 링크5. 사적 제388호

[clearfix]

1. 개요

강릉대도호부 관아(江陵大都護府 官衙)는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걸쳐 중앙의 관리들이 강릉에 내려오면 머물던 건물터이다.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용강동에 위치한다. 국보로 지정된 객사문보물로 지정된 칠사당이 관아 경내에 남아 있다.

강릉대도호부 관아는 1994년 사적 제388호로 지정됐다.

2. 역사

고려 태조 19년(936년)에 세워져 중수를 거쳐서 동헌과 객사를 비롯하여 총 83칸 건물이 들어서 있었으나 일제강점기에 거의 모두 헐렸고 지금은 강릉 객사문과 칠사당만이 제자리에 남아 있다.

이 외에도 관아 건물의 일부가 남아 있는데, 강릉시 남산에 위치한 오성정, 금산의 월화정, 경포의 방해정 등이 관아 건물들의 일부를 옮겨 지은 것이라고 한다. 이 정자들은 조선시대에 강릉도호부 관아의 건물들 중 일부를 헐었을 때 그 자재들을 가져와 새로 세웠다.

일제강점기인 1929년에 임영관을 헐고 강릉보통학교를 세웠다. 1975년 9월에 강릉보통학교 자리에 강릉경찰서가 들어섰다가, 강릉경찰서가 포남동 신청사로 이전함에 따라 공터로 남아 있었다. 이 공터에 강릉시청사를 신축하기 위해 땅을 파던 중에 관아 유구가 발굴되면서 공사가 중단되고 발굴조사가 행해졌다.[1] 1993년 발굴조사 이후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3. 건물

3.1. 지도

파일:강릉대도호부 관아 안내도.jpg

4. 외부 링크

5. 사적 제388호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중앙의 관리들이 강릉에 내려오면 머물던 건물터이다.

조선시대 기록을 보면 고려 태조 19년(936)에 세워져, 83칸의 건물이 있었으나 지금은 객사문(국보)만 남아 있다. 객사문은 고려시대 건축물 가운데 현재까지 남아있는 몇 안되는 건물 가운데 하나로, 공민왕이 쓴 ‘임영관’이란 현판이 걸려 있다.

1993년에 강릉 시청 건물을 지을 계획으로 실시한 발굴 조사한 결과, 고려·조선에 이르기까지 관아 성격의 건물터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얻을 수 있는 자리임을 알게 되었다. 또한 조선시대 『임영지』의 기록을 통해 이 유적의 중요성과 옛 강릉부의 역사와 문화를 알려준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강릉임영관 → 강릉대도호부)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2014.11.27 고시)

[1] 출처: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 강릉 대도호부 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