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221e1f,#fff> | }}} | ||
{{{#!wiki style="color:#fff; margin:-0px -10px -5px; min-height:26px" dark-style="color:#221e1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소수서원 | 남계서원 | 옥산서원 | |
도산서원 | 필암서원 | 도동서원 | ||
병산서원 | 무성서원 | 돈암서원 | ||
}}}}}}}}} |
{{{#!wiki style="margin:-12px 0" | <tableborder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경주 포석정지
1.#26 경주 원성왕릉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1.#7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서울 삼전도비
1.#126 진도 용장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하동 고소성
1.#176 경주 법흥왕릉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01 서울 태릉과 강릉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51 여주 파사성
1.#276 서울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관
[26] 사적 제520호 서울 용산신학교와 제521호 서울 원효로 예수성심성당으로 분리지정[F] 사적 제516호 경산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으로 통합 재지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01 부여 정림사지
1.#326 합천 옥전 고분군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51 파주 오두산성
1.#376 속초 조양동 유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401 괴산 미륵산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451 화성 마하리 고분군
1.#476 경주 황성동 고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호~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01 보령 충청수영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56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대구 팔거산성
| }}}}}}}}}}}} |
{{{#!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3px solid transparent" {{{#!wiki style="margin: 0px; margin-top: -12px; margin-bottom: -7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15288> | |
<colbgcolor=#315288> 장성 필암서원 長城 筆巖書院 | Piramseowon Confucian Academy | ||
위치 | 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 필암리 378-379번지 | |
분류 |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서원 | |
수량 / 면적 | 52,666.8㎡ | |
지정연도 | 1975년 4월 23일 | |
건축시기 | 조선 중기 | |
관리자 (관리단체) | 장성군 | }}}}}} |
<colbgcolor=#7a3a2c> 필암서원 영상 |
|
필암서원 |
1. 개요
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 필암리에 위치한 조선 시대의 서원이다.1975년 사적 제242호로 지정받았으며 2019년 7월 6일에는 한국의 서원 중 하나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도 등재받았다.
2. 역사
조선의 대표적인 성리학자이자 문묘에 배향된 18명 중 한 명인 김인후를 기리기 위해 1590년에 세워졌다. 정유재란으로 서원이 소실되자 1624년에 중건되었으며 1659년에는 사액서원이 되었고 1672년에는 황룡강의 수해를 피해 현재 위치로 이전했는데 이때 서원의 이름을 따 마을 이름이 현재의 필암리가 되었다. 1786년에는 김인후의 사위이며 소쇄원을 지은 양산보의 아들인 양자징도 배향되었다.김인후는 문묘에 배향된 사람들 중 유일한 전라도 사람이었으므로 이 서원은 전라도에서 가장 중요한 서원이었다.
필암서원에는 서원의 역대 원장들과 수업을 담당한 사람과 강의에 참석한 사람들의 명단, 소속 유생들의 명단, 서원의 재산을 기록한 문서들이 남아있어 서원의 운영과 당시 교육제도 등을 연구하는데 귀한 자료가 되고 있다. 이 문서들은 '필암서원 문적 일괄'이라는 이름으로 보물 제587호에 지정되어 있다.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도 훼철되지 않은 47개소 중 한 곳이다.
3. 건물 및 비석
- 우동사 - 신실이다.
- 청절당 - 강당이다.
- 진덕재 - 원생들이 머무는 동재이다.
- 숭의재 - 원생들이 머무는 서재이다.
- 확연루 - 문루이다.
- 경장각 - 묵죽도 판각이 보관돼 있다.
- 장판각 - 상당수의 목판이 보관돼 있다.
- 전사청 - 제사 관련 건물이다.
- 계생비 - 제물로 쓸 가축을 매어놓은 비석이다.
4. 제향 인물
사당에 모신 인물을 말한다.- 하서 김인후
- 고암 양자징
5. 목판 목록
- 하서전집 - 258판
- 하서선생전집 - 392판
- 초천자문 - 18판
- 무이구곡 - 13판
- 유묵 - 4판
- 백련초해 - 13판
- 인종 필 묵죽도[1] - 3판
6. 관람
입장료는 없다.7. 교통
장성역, 장성시외버스터미널에서 1일 5회 운행하는 60, 61번 버스를 타고 원필암에서 내려서 걸어서 10분 거리에 위치해 있다.[1] 2006년 도난당했다가 2021년 15년 만에 회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