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03 06:02:05

북한산성 행궁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성부
경모궁 계동궁 남별궁 누동궁 도정궁
명례궁 사동궁 선희궁 수진궁 순화궁
안동별궁 어의궁 연희궁 영수궁 영희전
용동궁 운현궁 이현궁 인경궁 인덕궁
자수궁 죽동궁 창성궁 창의궁 칠궁
태화궁
경기도
강화행궁 개성행궁 경덕궁 남한산성 행궁 낙생행궁
낙천이궁 노량행궁 목청전 수원행궁 수창궁
시흥행궁 안산행궁 안양행궁 양주행궁 용흥궁
월미행궁 이천행궁 이태조 행궁 진위행궁 통진행궁
파주행궁 풍덕행궁 풍양궁 포천이궁 화성행궁
충청도
노은리 행궁 목천행궁 보은행궁 신도안 대궐 온양행궁
전의행궁 직산행궁 초정행궁 천안행궁
전라도
격포행궁 경기전 무풍 명례궁 전주행궁 보길도 행궁
경상도
집경전
평안도
영변행궁 영숭전 영유행궁 의주행궁 평양행궁
풍경궁
황해도
배천행궁 평산행궁 해주행궁
강원도
고성행궁 분수령 행궁 상원사 행궁 춘천이궁
함경도
영흥본궁 함흥본궁
행정구역은 조선시대 당시 기준}}}}}}}}}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사적 제479호
북한산성 행궁지
北漢山城 行宮址
{{{#!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소재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169번지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궁궐터
면적 11\,388㎡
지정연도 2007년 6월 8일
제작시기 조선시대[1]
위치
}}}}}}}}} ||
1. 개요2. 내용3. 외부 링크4. 사적 제479호

[clearfix]

1. 개요

파일:EpOC5-660x330.jpg
파일:북한산성행궁_1.jpg
파일:141465324388_20141031.jpg
파일:141465324421_20141031.jpg
<colbgcolor=#bf1400> 북한산성 행궁의 옛 모습들 [2]
북한산성 행궁은 조선행궁 가운데 하나로 북한산성 내부에 위치하고 있었다. 하지만 본래의 북한산성 행궁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완전 파괴되어 소실됐고, 현재는 그 터만 남아있다.

북한산성 행궁지는 2007년 사적 제479호로 지정되었다.

2. 내용

북한산성의 중성문을 지나 남쪽 골짜기로 진입해 동장대가 바라보이는 북한산 상원봉 아래에 위치했다. 남한산성 행궁과 달리 종묘사직은 두지 않았으나[3] 비상시에 예비 수도로서의 기능을 했기에 필요한 시설을 일단은 최대한 갖추어 놓았다. 그러나 실제로 사용한 적은 없다.

임진왜란병자호란을 겪고 난 후 한양도성방위 체제를 강화하기 위하여 북한산성을 축성할 때 같이 만들어졌다. 1711년(숙종 37년)에 착수하여 이듬해 5월 완공했다.[4]

행궁의 규모는 내전 정전이 28칸, 외전 정전이 28칸, 부속건물 68칸 등 총 124칸에 이르며, 내전 정전은 좌우 상방이 각각 2칸, 대청이 6칸, 사면에 퇴가 18칸이 있었으며, 부속 건물로 좌우 행각방이 9칸, 청이 5칸, 중문이 1칸, 대문 3칸, 수라간이 5칸, 중문이 1칸, 측소 2칸으로 이루어졌다. 외전 정전은 내전 정전과 체제가 같다. 부속건물로 대문 3칸, 북협문 1칸, 외북장중문 1칸, 외행각방 12칸, 루 4칸, 청 4칸이 있고 헛간이 2칸, 중문 2칸, 외대문 3칸, 북변외대문 1칸이 있었다.
파일:AKR20131011152451005_01_i.jpg
<colbgcolor=#bf1400> 북한산성 행궁 유구
평상시에는 행궁북한산 서고를 마련하여 고문헌을 비밀리에 보관했으며, 숙종영조 등이 이곳을 찾은 기록이 남아 있다. 수해일제의 파괴 등으로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하나도 없으며 건물 만 남아있다. 특히 외전 지역은 지반까지 유실되었다. 그러나 1999년에 실시한 지표조사 결과 내전이 있었던 지역은 기단석계단, 주춧돌 등이 뚜렷이 남아있어 당시 내전과 행각의 배치상황을 가늠해 볼 수 있다.

앞으로 발굴조사와 자료 수집이 어느 정도 완료되면 남한산성 행궁처럼 복원하려는 계획이 있다.

3. 외부 링크

4. 사적 제479호

북한산성행궁은 도성 외곽의 전략적인 요지인 북한산성에 위치한 행궁으로서 남한산성 행궁, 강화행궁과 더불어 전란을 대비한 임시궁궐이며, 도성 방어의 의지를 표출하기 위해서 축조된 것으로 다른 행궁과는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는 중요한 문화유적으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크다.

또한 북한산성 행궁은 조선 후기 집권층의 국가의식과 애민의식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유적으로 현재는 행궁으로서의 모습이 사라지고 없지만 1999년에 실시한 지표조사 결과 행궁지의 과거 모습을 알 수 있는 유구들이 노출되고 지하에도 유구가 매장되어 있는 중요 유적이다.

[1] 문화재청 홈페이지에서는 북한산성 행궁의 건설시기를 밝히지 않았다.[2] 우하단 사진은 성공회영국인 성직자들이 여름별장으로 사용할 때 촬영한 것이기에 영국 국기가 보인다.[3] 사실 남한산성 행궁에만 있었던 것이다.[4] 그리고 탕춘대성을 더하여 더 발전된 형태를 갖추려 했으나 예산부족으로 실패한다. 자세한 내용은 조선 수도성곽과 방어산성 참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