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cbbe5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읍 | 면 | ||||
감포읍 | 건천읍 | 강동면 | 내남면 | 산내면 | 서면 | |
안강읍 | 외동읍 | 양남면 | 문무대왕면 | 천북면 | 현곡면 |
||<width=30%><tablewidth=100%><tablecolor=#373a3c,#ddd><tablebgcolor=#fff,#1f2023><rowbgcolor=#1959a6> 행정동 ||<-4> 법정동 ||
}}}}}}}}} ||<colbgcolor=#cbbe53> 동천동 | 시청 동천동 | |||||||||
보덕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덕동 | 북군동 | 손곡동 | }}} | |||||
신평동 | 암곡동 | 천군동 | 황용동 | |||||||
불국동 | 구정동 | 마동 | 시동 | 시래동 | ||||||
조양동 | 진현동 | 평동 | 하동 | |||||||
선도동 | 광명동 | 서악동 | 충효동 | 효현동 | ||||||
성건동 | 성건동 | 석장동 | ||||||||
용강동 | 용강동 | |||||||||
월성동 | 교동 | 구황동 | 남산동 | 도지동 | ||||||
동방동 | 배반동 | 보문동 | 인왕동 | |||||||
중부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북부동 | }}} | |||||||
황남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황성동 | 황성동 | |||||||||
황오동 | 성동동 | 황오동 |
경주시의 읍 감포읍 甘浦邑 | Gampo-eup | |||
<colbgcolor=#cbbe53><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경상북도 | ||
기초자치단체 | 경주시 | ||
행정표준코드 | 5050056 | ||
관할 법정리 | 9리 | ||
하위 행정구역 | 20행정리 111반 | ||
면적 | 44.90㎢ | ||
인구 | 5,347명[1] | ||
인구밀도 | 119.09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국회의원 | 경주시 | |
| 김석기 (3선) | ||
경상북도의원 | 제2선거구 | |||
| 최덕규 (초선) | ||
경주시의원 | 라 선거구 | |||
| 오상도 (초선) | ||
| 이진락 (4선) | ||
| 주동열 (초선) | }}}}}}}}} | |
행정복지센터 | 감포로8길 14-8[2] | ||
감포읍 행정복지센터 |
[clearfix]
1. 개요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읍.읍소재지는 감포리. 감포항이 있는 경주시 동부의 중심지이며, 포항시 남구 장기면과 접한다. 최근에는 경주시의 해양수산업육성정책과 감포항개발로 많이 변화되고 있어 연안항 승격을 통해 항구도시로서의 초석을 마련하고 있다.
1937년에 양북면(現 문무대왕면) 해안 지역 9개 리가 분리되어 감포읍이 신설되었다. 현재의 경주 시가지인 옛 경주읍[3] 다음으로 읍으로 승격된 곳이다.
감포읍은 해안 지역에 있으므로, 소규모 해수욕장[4]이 여러 곳 존재한다.
1997년 발표된 한국 소설 용이 사는 마을의 주요 배경이기도 하다.
포항시 인근이라 대한민국 해병대 제1사단이 방어를 맡는다.
2. 주요 시설
2.1. 문화재
2.2. 산업
주로 어업을 하는 경우가 많다.2.3. 기타
- 감포항
- 감포시장
3. 교육
3.1. 초등학교
- 감포초등학교
전촌초등학교 (폐교)
3.2. 중학교
- 감포중학교
3.3. 고등학교
4. 교통
4.1. 도로
4번 국도와 31번 국도가 이 곳을 지나간다.[5]고속도로는 동해고속도로가 지나가지만 그나마 가까운 나들목은 문무대왕면에 있는 동경주IC이며, 감포읍 내에는 나들목이 없다.
4.2. 시내버스
- 경주 - 타 시 · 군 간 버스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울산광역시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울산광역시 | 환승지 | 경주시 | ||||
742 | <colbgcolor=#808080,#7f7f7f> 양남 | 130 | 150 | 150-1 | |||
151 | 152 | 153 | |||||
154 | 160 | 1150 | |||||
122 | 1432 | 762 | 모화 | 600 | 604 | 605 | |
432 | 609 | 1600 | |||||
723 | 대신·녹동 | 609 | |||||
313 | 763 | 봉계 | 500 | ||||
363 | 태종 | 2 | 355 | ||||
언양터미널 정차 울산광역시 시내버스 | 언양 | 355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포항시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포항시 | 환승지 | 경주시 | ||||
800 | <colbgcolor=#808080,#7f7f7f> 감포 | 100 | 100-1 | 130 | |||
160 | 700 | 1100 | |||||
600 | 강동 | 200 | 201 | 202 | |||
203 | 205 | 206 | |||||
207 | 208 | 212 | |||||
217 | 260 | 1200 | |||||
206 | 위덕대 | 212 | 222 | 260 | |||
700 | 기계1 | 기계 | 200 | ||||
900 | 9000 | 포항경주공항 | 1000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영천시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영천시 | 환승지 | 경주시 | ||||
753 | 760번대 | 763 | <colbgcolor=#808080,#7f7f7f> 임포 | 305 | |||
753 | 아화 | 300 | 300-1 | 301 | |||
302 | 303 | 304 | |||||
305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청도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청도군 | 환승지 | 경주시 | ||||
동곡순환동곡 | <colbgcolor=#808080,#7f7f7f> 지촌 | 2-1산내 | |||||
동곡: 동곡터미널에서 청도군 농어촌버스, 경산시 시내버스 환승 가능 / 산내: 산내정류소에서 경주시 시내버스 환승 가능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양산시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양산시 | 환승지 | 경주시 | ||||
13 | 3000 | 3100 | <colbgcolor=#808080,#7f7f7f> 언양 | 355 |
그 외 지선 노선들이 양남, 전촌, 대본마을 등에서 감포읍까지 운행 중이지만, 감포 5일 장날에만 운행하는 등의 매우 다양한 노선 패턴이 있기 때문에 현지 주민들 이외에는 이용이 쉽지 않다.
5. 출신 인물
[1] 2022년 12월 주민등록인구[2] 감포리 56-1[3] 1931년 승격.[4] 대표적으로 나정해수욕장, 전촌해수욕장, 오류해수욕장.[5] 4번 국도는 이 곳이 종점이며, 경주시내 쪽으로 나가려면 원래 추령터널을 통과하고(1998년 개통.위키백과 추령터널 문서 참조.) 그 이후에는 산을 넘고 덕동호를 지났어야 했지만 토함산터널이 개통되며 통행하기 편리해졌다. 다만 토함산터널은 경주시내에서 보문관광단지를 통해 곧바로 감포읍으로 가는 추령터널과 다르게 불국사 쪽으로 우회해서 토함산터널이 추령에 비해 소요시간이 빠르다고 볼 수는 없다.[6] 카운티 전기버스 입석형으로 운행중인데, 좌석노선이라 좌석버스 요금을 징수한다.[7] 감포-울산 시외버스 노선이 인구 감소 등으로 2019년 1월 1일에 폐지된 후 대체하는 노선. 경주시 양남면에서 울산 버스 701번 버스와 연계된다. 130번과 마찬가지로 카운티 전기버스 입석형으로 운행중인데, 좌석노선이라 좌석버스 요금을 징수한다.[8] 포항시 남구 장기면, 포항시 남구 오천읍 문덕리로 건너가려면 기존에는 구간 요금을 내야 했지만, 2021년 6월 1일부로 구간 요금이 폐지되었다. 좌석버스 요금이 폐지되어 좌석버스 요금이 여전히 따로 존재하는 경주시 시내버스보다 더 저렴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