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혁거세 후 | 남해 후 | 유리 후 | |
알영부인 | 운제부인 | 이리생부인 | 사요왕의 딸 김씨 | |
탈해 후 | 파사 비 | 지마 후 | 일성 후 | |
아효부인 | 사성부인 | 애례부인 | 지소례왕의 딸 박씨 | |
아달라 후 | 벌휴 후 | 내해 후 | 조분 후 | |
내례부인 | 석골정의 모후 | 아루부인 | 아이혜부인 | |
조분 후 | 미추 후 | 흘해 후 | 내물 후 | |
운소부인 | 광명부인 | 석공한의 모후 | 보반부인 | |
실성 후 | 눌지 후 | 자비 후 | 소지 후 | |
아류부인 | 차로부인 | 1 복호의 딸 김씨2 미사흔의 딸 김씨 | 1 습보의 딸 김씨2 선혜부인 | |
지증왕 후 | 법흥왕 후 | 진흥왕 후 | 진지왕 후 | |
연제부인 | 보도부인 | 1 사도부인2 소비 부여씨 | 지도부인 | |
진평왕 후 | 무열왕 후 | 문무왕 후 | 신문왕 후 | |
1 마야부인2 승만부인 | 문명왕후 | 자의왕후 | 폐 폐비 김씨2 신목왕후 | |
성덕왕 후 | 효성왕 후 | 경덕왕 후 | ||
폐 성정왕후2 소덕왕후 | 1 왕비 박씨2 혜명부인3 정종의 딸 김씨 | 폐 사량부인 | 경수태후 | |
혜공왕 후 | 선덕왕 후 | 원성왕 후 | 소성왕 후 | |
1 신보왕후2 창창부인 | 구족부인 | 숙정부인 | 계화부인 | |
애장왕 후 | 헌덕왕 비 | 흥덕왕 후 | 희강왕 후 | |
왕후 박씨 | 귀승부인 | 정목왕후 | 문목왕후 | |
민애왕 후 | 신무왕 후 | 문성왕 후 | 헌안왕 후 | |
윤용왕후 | 정계부인 | 1 소명왕후2 | 문의왕후의 모후 | |
경문왕 후 | 헌강왕 비 | 효공왕 후 | 신덕왕 후 | |
1 문의왕후2 차비 김씨 | 의명부인 | 왕비 박씨 | 의성왕후 | |
경명왕 후 | 경애왕 후 | 경순왕 후 | ||
왕비 김씨 | 왕비 | 죽방부인 | ||
}}}}}}}}} |
<colbgcolor=#C32A62><colcolor=#fbe673> 신라 문성왕의 정혼자 | |
신라 장보고의 딸 | |
생몰년 | 미상 |
성씨 | 장(張) |
부모 | 부친: 장보고 |
부군 | |
자녀 | 슬하 1남? 아들 - 궁예추정 |
봉작 |
1. 개요
신라의 여성. 문성왕의 차비가 될 뻔했지만 협상이 결렬되어 사서에서 어떠한 공식 직함도 갖지 못하게 된 비운의 여성이다.김우징(후일 신무왕)이 장보고의 군대를 통해 민애왕을 몰아내고 왕위를 빼앗는 대신, 그의 딸을 맞아 왕비로 삼는 것을 장보고에게 제안했고, 이로서 왕위 탈환에 성공했다. 그러나 약속한 신무왕은 즉위 후 얼마 되지 않아 사망했고, 뒤이어 즉위한 문성왕은 그의 딸을 차비[1]로 삼으려고 했으나 신하들이 장보고 가문의 미천한 신분을 문제로 삼아 혼인은 결렬되었다. 이에 장보고는 신무왕이 약속을 어긴 것을 원망하여 반란을 시도하였으나 장군 염장에 의해 결국 암살당한다.
2. 왕비?
일반적으로는 위와 같이 알려져 있으나, 사실 그녀가 궁예의 생모라는 설이 있다.##[1] 후궁이 아니라 두 번째 정실 부인이다. 동아시아 사회에서 임금은 여러 명의 정실 부인을 둘 수 있었고 정실 부인을 반드시 한 명만 두어야 한다고 정한 것은 조선 태종 이후의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