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8 17:33:32

근고한어

중국티베트어족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중국티베트조어, 중국티베트어족 한어파 중국제어 관화 (표준중국어) · 오어 · 상어 · 감어 · 객가어 · 민어 (대만어) · 광동어 · 둥간어
티베트버마어파 보도나가어군 보드어 · 나가어 · 타니어 · 발티어 · 라다크어
히말라야어군 티베트어 · 종카어 · 셰르파어 · 렙차어 · 키란티어 · 림부어 · 네와르어
창어군 얼수어 · 리주어 · 창어 · 서하어
롤로버마어군 미얀마어 · 이어 · 나시어 · 하니어 · 라후어
카친어군 카친어 · 농어 · 삭어
카렌어군 파오어 · 풔어
기타 바이어 · 마니푸르어 · 투자어
  • 취소선 표시가 된 것은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 ||

중국어의 역사와 변천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상고한어
(上古漢語)
(기원전 13세기~기원후 3세기)
중고한어
(中古漢語)
(3세기~13세기)
관화 - 진어 관화
(官話)
북경관화(표준중국어) · 동북관화 · 중원관화 · 난은관화 · 기로관화 · 강회관화(남경어) · 교료관화 · 서남관화(민강화)
진어
(晉語)
오어 - 휘어 오어
(吳語)
북부오어(상해어 · 조주어) · 남부오어 · 서부오어
휘어
(徽語)
상어
(湘語)
호남어(湖南語) · 길숙방언 · 장사방언 · 누소방언
감어 - 객어 감어
(竷語)
창정방언 · 의유방언 · 길차방언 · 무광방언 · 회악방언
객가어
(客家語)
오화어 · 매현방언 · 대만 객가어
월어 - 평어 월어
(粤語)
광동어(廣東語) · 싱가포르 광동어 · 태산어(台山語)
평어
(平語)
민어
(閩語)
민남어
(閩南語)
복건어
(福建語)
대만어(臺灣語) · 하문어(廈門語) · 천주어 · 싱가포르 민남어
조주어
(潮州語)
민북어
(閩北語)
건구어 · 건양어
민동어
(閩東語)
복주어 · 복청어 · 복안어 · 만어 · 마조어
민중어
(閩中語)
삼명방언 · 영안방언 · 사현방언
보선어
(莆仙語)
소장어
(邵將語)
경뢰어
(瓊雷語)
해남경어
(海南瓊語)
뇌주어
(雷洲語)
한문(漢文) }}}}}}}}}


1. 개요2. 만기중고한어와 근고한어 사이의 변화3. 근고한어와 현대한어 사이의 변화4. 성모5. 운모6. 성조7. 대중매체에서 근고한어

1. 개요

근고한어()는 대략적으로 몽골제국남송을 점령한 시기부터 청나라 중후기까지 사용된 한어(; 중국어)를 말한다.

2. 만기중고한어와 근고한어 사이의 변화

오어(吳語)노상어(老湘語)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전탁음(유성음)이 소실되었다. 이 시기에 남아 있는 전탁음인 \[v\], \ʐ\]은 청나라 말기에 서남관화 등을 제외하고는 소멸된다.

반치성모가 유성권설마찰음에서 권설접근음으로 변화되었다. 단, 이 현상은 현재의 화북지방과 화동지방에서만 진행되었다.

입성이 소멸하면서 입성이 다른 성조로 변화되었다.

3. 근고한어와 현대한어 사이의 변화

근고서남관화에서 일어난, '-m' 운미와 '-n' 운미의 통합[1]이 다른 지역어에서도 일어났다.

구개음화 현상으로 'gi'와 'zii'가 'ji'로, 'ki'와 'cii'가 'qi'로, 'hi'와 'sii'가 'xi'로 각각 통합되었다.

'-io' 운모가 '-üe' 운모로 변화되었다. 예를 들어 청나라의 황성인 아이신가 아이신뤄로 발음이 바뀌었다.

'-iai' 운모가 보통화 제정 이후 대륙에서 소멸되어 '-ie'로 합류하였다. 단 중화민국 국어에는 현존한다.

4. 성모

양순음 치경음
무성음 유성음 무성음 유성음
공명음 m n
파열음 무기음 p t
유기음

5. 운모

6. 성조

만기중고한어 8성조(음평, 양평, 음상, 양상, 음거, 양거, 음립, 양립)에서 지역마다 다르게 줄어 중국 지방어 4~9성조가 되었다.
사성 항목에 각 지역어 성좃값이 나와 있다.

7. 대중매체에서 근고한어

2023년 12월에 개봉한 노량: 죽음의 바다에서 작중 진린명나라 측 등장 인물들의 대사는 모두 현대 표준중국어가 아닌 명나라 시절 근세 중국어(근고한어)로 나온다. 기사[2] 예고편 공개 당시 중국인들이 못 알아듣는다며 외국어 연기가 어색하다는 지적이 나왔는데, 시대가 수백년이나 다른 근세시절 중국어(근고한어)라 그런 것이었다.


[1] 중국 사천방언권 학습자의 한국어 종성 발음 교육 연구[2] 기사에는 편의상 ‘고대 중국어’라고 서술됐지만 당연히 근세 중국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