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KCC'''{{{#!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 }}}[[]]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기업 집단 - KCC그룹
- 프로 농구단 - 부산 KCC 이지스
- 대통령 직속 기관 - 방송통신위원회
- 공공기관 - 한국저작권위원회
- 유튜브 채널 및 웹사이트 - Kaiser Cat Cinema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계열사 | |
KCC | KCC건설 | KCC글라스 | KCC실리콘 | 금강레저 |
<colcolor=#fff> KCC 케이씨씨 | |
| |
<colbgcolor=#0C4CA3> 국가 |
(다국적 기업) |
창립일 | 1958년 8월 12일([age(1958-08-12)]주년) |
창업주 | 정상영 |
대표자 | 정몽진, 정재훈 |
규모 | 대기업 |
상장 여부 | 상장 기업 |
상장 시장 | 유가증권시장 (1973~ ) |
종목 코드 | 002380 |
자본금 | 480억 8,466만 원(2024) |
매출액 | 6조 7,063억 원(2024) |
영업 이익 | 4,527억 원(2024) |
순이익 | 3,291억 원(2024) |
직원 수 | 3,729명(2024.09.) |
본사 |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평대로 344 (서초동) |
링크 | |
1. 개요
KCC그룹의 종합 화학 회사로 실리콘, 도료, 건자재 부문의 사업을 펼치고 있다. 2024년 기준 매출 약 6.7조 원, 영업이익 4,527억 규모다.2. 역사
본사의 역사는 두 갈래로 나뉘는데, 전자는 1958년 정상영 창업주가 서울 영등포구 양평동 1-15에 세운 '금강스레트공업(주)'가 모태이다. 초기에는 석면 슬레이트 지붕 같은 건자재를 만들며 1960년 보광공영에 처음 골슬레이트를 팔았다. 1962년 부산 및 대구에 첫 지방영업소를 차린 뒤 1963년 건설부로부터 건설업 면허(제675호)를 따내 1965년에 건설사업부를 신설했고, 부산시 우2동 1100번지에 공장을 세웠다.1969년 경기도 수원시 서둔동 296-3에 수원공장[1]을 세워 1970년 부산 및 영등포공장 설비를 그리로 옮겼다. 또 서울 중구 저동2가 78번지에 처음으로 사옥을 마련했다. 1973년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하여 1974년 밤라이트, 1975년 나무라이트, 1976년 미네랄울을 각각 생산하고 같은 해 사명을 (주)금강으로 변경했고, 1977년 아미텍스, 1978년 실리카까지 영역을 넓히고 1979년에 중앙연구소를 세웠다. 1981년에 언양공장을 세우고 1983년 건자재 수출을 개시했다. 1985년 전남 여천공장, 1987년 경기 여주공장을 각각 세우고 1989년에 건설사업부를 '금강종합건설'로 분사시켰다. 1994년에 전주1공장까지 준공했다.
후자는 1974년에 세워진 건축용 도료제조업체 고려화학(주)이며, 1975년 경남 울산시 양정동 700번지에 공장을 세우고 1976년 본사를 염포동 414번지로 옮겼다. 1978년엔 선박용 용접도료 9개 품목과 폴리에스테르 레진 2개 품목이 로이드선급협회 인증을 받았으며, 같은 해 일본 카와카미 도료와 신토 도료로부터 분체와 음이온 전착도료 기술을 각각 들여왔다. 또한 증권감독원으로부터 유가증권 등록법인으로 지정 받았다. 1979년 카보라인 사로부터 중방식도료 기술을 들여온 후 1980년 중앙연구소를 세웠고 1984년 한국전력공사 울진원자력발전소[2] 9, 10호기 건설에 참여했다. 1986년 한국증권거래소에 주식상장하고 1992년 싱가포르에 첫 해외 법인을 세웠다.
2000년에 두 회사를 합쳐 '금강고려화학'으로 출범시켰고 존속 법인을 구 금강으로 했다. 출범 후 중국 곤산(昆山)에 현지 법인을 세워 중국 시장에 진출했고 2002년에 자동차안전유리 영업권 및 설비를 코리아오토글라스로 넘겼다. 2003년 친환경 페인트 '숲으로'를 출시했다. 2005년에는 현재의 명칭 KCC[3]로 변경했다. 2007년 전남 목포시 상동에 홈씨씨 1호점을 열었으나 2017년 폐점했다.
2019년 글로벌 실리콘 3위 업체 모멘티브의 지분 45.5%를 인수하며 실리콘 사업을 미래 핵심 전략으로 삼았다. 이후 실리콘 사업법인인 KCC실리콘을 물적 분할한 뒤 MOM Holding Company 산하에 편입하고, 유상증자 및 지급보증 등을 통해 지배력을 60%까지 확대하였다.
인수 이후 6년간 총 3조 원 이상이 투자됐으나, 모멘티브는 계속 적자를 기록하여 재무 부담이 커졌다. 2024년 모멘티브 지분을 전량 인수, 완전 자회사로 편입하였다. 2025년에는 KCC실리콘과 모멘티브코리아를 합병하였다.
결론적으로 모멘티브 인수는 재무 부담이 컸고, 현재까지도 실적 회복이 지연되고 있어 "성과 미완성” 단계지만, 향후 시장 성장과 구조조정이 성공하면 장기적으로는 전략적 가치는 높게 평가될 수 있다.
모멘티브의 실리콘 신소재 개발은 전자업계를 겨냥하고 있는데, 이는 KCC와 삼성 간의 관계[4]를 이용해 삼성전자에 납품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0년에는 유리, 바닥재, 홈씨씨인테리어부문을 신설법인 'KCC글라스'로 넘겼다.
3. 광고
1987년에 방영한 고려페인트 광고.
- 고려화학 시절이던 1990년에는 '도미노 광고'[5]를 브라운관에 내보내면서 대중들에게 화제를 불러일으킨 바 있으며, 이 광고들은 1991년 런던 페스티벌과 1993년 뉴욕 페스티벌 파이널리스트에 각각 선정된 바 있다.
2018년 4월에는 '계속하는 것이 힘이다 - KCC 창립 60주년'이란 타이틀로 기용한 광고를 냈다.
2020년 12월에는 KCC창호 브랜드로 '무한 광고 유니버스에 갇힌 배우 성동일'이라는 제목의 광고를 내서 대히트를 거뒀다.
2022년 9월에는 KCC페인트 브랜드로 '국가대표 발라더 KCC 국가대표 페인트 KCC 가수 KCM'이라는 제목의 광고를 냈다.
4. 지배구조
2025년 7월 기준<rowcolor=#fff> 주주명 | 지분율 |
정몽진 외 13인 | 35.6% |
Capital RMC | 5.88% |
Capital Group International 외 21인 | 5.91% |
국민연금공단 | 12.6% |
5. CI
| | | | |
1958년 ~ 1969년 | 1969년 ~ 1976년 | 1974년 ~ 1995년 | 1976년 ~ 1995년 | 1995년 ~ 현재 |
6. 역대 임원
6.1. 통합 전
6.1.1. (주)금강
- 대표이사 회장
- 정상영 (1985~1993/1996~2000)
- 대표이사 사장
- 정주영 (1958~1959)
- 정상영 (1959~1985)
- 정성구 (1975~1976/1977~1979)
- 주찬응 (1980~1983)
- 박가경 (1983~1990)
- 석강봉 (1990~1995)
- 정종순 (1995~2000)
- 대표이사 부사장
- 김영창 (1970~1971)
- 정성구 (1971~1975)
6.1.2. 고려화학
- 대표이사 회장
- 정상영 (1985~1998)
- 대표이사 부회장
- 정몽진 (1998~2000)
- 대표이사 사장
- 민재익 (1974~1976)
- 정상영 (1976~1985)
- 정성구 (1977~1978)
- 김충세 (1985~2000)
6.2. 통합 후
- 명예회장
- 정상영 (2000~2021)
- 대표이사 회장
- 정몽진 (2000~ )
- 대표이사 사장
- 정재훈 (2022~ )
- 부회장
- 김영호 (2020~ )
- 대표이사 사장
- 정종순 (2000~2002)
- 고주석 (2002~2004)
- 김춘기 (2004~2006)
- 정몽익 (2006~2019)
- 민병삼 (2020~2021)
- 정재훈 (2022~ )
7. 여담
- 사옥이 반포IC에서 나오자마자 있어서 이로 인해 경기남부발 강남대로행 직행좌석버스 거의 전부가 이곳을 지나가며 대부분은 사옥 앞 정류장에 정차한다. 맞은편 제일약품 사옥 정류소에 정차하는 노선 수를 합쳐도 따라가지 못할 수준이다.
- KCC가 다국적 기업이라는 이유가 인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베트남, 중국, 미국, 독일에도 공장이나 사무소가 있기 때문이다. 물론 쌍용건설, 현대건설 등 중견기업 이상의 건설 및 건자재 회사 상당수가 해외 사무소가 있기에 다국적 기업에 준하는 대우를 받는다.
- KCC정보통신이라는 기업과는 무관하다.
- 자동차 유리 부문은 KAC라는 별도 브랜드를 적용한 바 있다.
[1] 간단하게 말하자면 수원역 바로 옆에 있다. 현재 이 공장은 철거 후 KCC몰과 수원메쎄가 들어섰다.[2] 지금은 한국수력원자력 한울원자력본부이다.[3] 금강(Keumkang)과 고려화학(Korea Chemical Company)의 영문 통합명칭(Keumkang Chemical Co., Ltd.)의 약자. 사명 변경 전에 KCC그룹으로의 그룹명 변경을 앞서 진행했다.[4] KCC그룹이 범현대가에 속하긴 하지만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당시에도 KCC에서 백기사를 자청한 바 있으며, 현재도 삼성물산 9.17%의 지분을 가지고 있다.[5] 당시 현대그룹 계열이던 금강기획(현 금강오길비)이 기획했다.[6] 중간에 나오는 면접 지원자 → 여직원 역은 이지원(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