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5 23:00:16

김진성/선수 경력/2025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김진성/선수 경력|김진성/선수 경력]]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bordercolor=#c30452> 파일:23KJS.png 김진성
관련 문서
Kim Jin Seong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마추어 경력
아마추어 시절 · 프로 계약 관련
프로 경력
파일:SK 와이번스 엠블럼(2000~2005).svg 파일:SK 와이번스 엠블럼(2006~2019).svg SK 와이번스
SK Wyverns
2005년 · 2006년
파일:넥센 히어로즈 엠블럼.svg 넥센 히어로즈
Nexen Heroes
2010년 · 2011년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NC 다이노스
NC Dinos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LG 트윈스
LG TWINS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기타
플레이 스타일 및 평가 · [[김진성/여담|여담]] · [[단디 4|단디 4]] · [[김진성#s-6|언사]]
}}}}}}}}} ||
김진성의 연도별 시즌 일람
2024년 2025년 2026년
1. 개요2. 시범경기3. 페넌트레이스
3.1. 전반기
3.1.1. 3월3.1.2. 4월3.1.3. 5월3.1.4. 6월3.1.5. 7월3.1.6. 전반기 총평
3.2. 후반기
3.2.1. 7월3.2.2. 8월3.2.3. 9월3.2.4. 후반기 총평
4. 포스트시즌(필요시)5. 시즌 후6. 시즌 총평7. 관련 문서

1. 개요

김진성의 2025년에 대한 문서.

2. 시범경기

3. 페넌트레이스

3.1. 전반기

3.1.1. 3월

22일 등판해 공 6개로 1이닝을 막았다.

23일 백승현이 5점차에서 무사 만루를 만드는 사고를 일으킨 상태에서 올라왔다. 첫 타자 고승민을 삼진 처리하고 전민재에게 1타점 적시타를 맞았지만, 윤동희를 내야 플라이로 처리하고 손호영의 강한 타구는 문보경이 날아서 잡아내며 직선타로 이닝을 끝냈다. 시즌 1호 홀드.

25일 등판해 1이닝 14구 1피안타 무실점을 기록했다.

28일 창원 NC전 7회 말 4:2 리드 상황에 나왔으나 2볼넷 2안타를 내주는 등 0.1이닝 2실점하며 블론세이브를 기록했다. 백승현이 추가실점을 막으면서 패전은 면했고 LG는 이후 넉 점을 뽑아내며 6연승에 성공했다.

3.1.2. 4월

4월 3일 수원 kt전에서 3-1로 앞선 6회 말 2사 1,2루에서 등판해 선발투수 임찬규의 승리 요건을 지켰고 7회말 2아웃을 잡았으나 팔꿈치 뭉침 증세를 호소하며 자진 강판되었다. 다행히 병원 진료까지 갈 단계는 아니라고. 시즌 3호 홀드와 함께 통산 130홀드를 달성했다.

4월 4일 잠실 KIA전 3-2로 앞선 7회 초, 이우찬이 올라오자마자 최형우에게 2루타를 맞았고 곧바로 등판했다. 동점 주자가 무사 2루에 있는 상황에서 변우혁을 유격수 땅볼로 처리했고, 한준수의 땅볼 타구는 직접 잡아 2루 주자 최형우를 런다운으로 몰며 2아웃. 이어 최원준을 파플로 처리하며 리드를 지켜냈다. 팀도 이후 KIA의 불펜을 털어버리며 승리했다. 시즌 4번째 홀드로 팀내 최다 홀드를 기록 중이다.

장현식의 합류에 선발 투수들의 연이은 긴 이닝 소화로 과부하가 줄어들어 오랫동안 등판이 없다가 4월 12일 잠실 두산전에서 2-0으로 앞선 7회초 1사 1,2루에서 마운드에 올라 1이닝을 무실점으로 막고 시즌 5호 홀드를 기록했다.

4월 15일 잠실 삼성전에서 7회에 두 번째 투수로 등판해 세 타자를 모두 삼진으로 막았고 시즌 6호 홀드를 기록했다. 이날 LG는 팀 노히트 노런을 기록했다. 여담으로 NC에서 통산 67홀드, LG에서 66홀드다.

4월 18일 문학 SSG전에서 치리노스에 이어 8회에 등판해 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으나, 4월 19일 문학 SSG전에서는 시즌 7호 홀드를 기록했으나 5-1로 앞선 6회말 무사 1,2루에서 올라와 이지강이 허용한 두 주자를 분식하고 본인도 실점을 하면서 1이닝 1실점을 기록했다. NC에서 67홀드, LG에서 67홀드로 동률이다.

4월 22일 잠실 NC전 8회에 등판해 1K 무실점으로 막아냈다.

4월 23일 잠실 NC전 8회에 3번째 투수로 등판하였다. 이날 등판으로 통산 700경기 등판을 달성하였으며 이는 KBO 역대 16번째의 대기록이다. 결과 역시 3타자 연속 삼진으로 매우 좋았다. 시즌 8번째 홀드로 KT 김민수와 함께 리그 홀드 공동 1위가 됐고, NC에서의 홀드 수(67)보다 LG에서의 홀드 수(68)가 더 많아졌다.

4월 25일 광주 KIA전에서 5회초 1사 1,2루 상황에 등판해 1.2이닝 무실점으로 호투하며 팀의 승리에 일조했다.

3.1.3. 5월

3.1.4. 6월

3.1.5. 7월

3.1.6. 전반기 총평

3.2. 후반기

3.2.1. 7월

3.2.2. 8월

3.2.3. 9월

3.2.4. 후반기 총평

4. 포스트시즌(필요시)

5. 시즌 후

6. 시즌 총평

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