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방침 (문서 관리 방침 · 토론 관리 방침 · 이용자 관리 방침) · 편집지침 (일반 문서 · 특수 문서 · 특정 분야 · 등재 기준 · 표제어) |
FAQ · 도움말 (기능 · 편집 · 문법 · 토론 · 스킨 · 소명 · 권리침해 · 게시판) · 문서 삭제식 이동 · 다른 위키와의 차이점 |
관리자 · 중재자 · 운영진 목록 · 운영진 지원 · 운영 도움말 (관리 · 중재 · 권한) · 접근 제한 (문서 목록) · 운영회의 (안건 건의) · 운영진 임명 회의 · 봇 리스트 · 투명성 보고서 |
분류 · 게시판 · 엔진 (업데이트) · 통계 · 데이터베이스 덤프 · 연습장 · 내 문서함 · 문서 작성 요청 |
프로젝트 · 주요 페이지 링크 · 보존문서 · 파일 · 틀 · 템플릿 |
1. 개요
나무위키에 2018년 9월 20일에 새롭게 추가된 일종의 문서 즐겨찾기 기능이다. 자신이 기여하고 싶거나 주로 기여하는, 또는 관심 있는 문서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이라고 할 수 있으며 로그인한 사용자만 이용할 수 있다.2. 사용법
| → | |
전 | 후 |
비로그인 상태에서 별표를 클릭하면 로그인 화면으로 이동하며, 이때 로그인한 계정의 문서함에 이미 해당 문서가 있으면 'already_starred_document'라는 오류가 발생한다.
그라바타를 누르면 나오는 목록에 내 사용자 문서 버튼 밑에 있는 내 문서 함을 누르면 별을 누른 문서들이 나온다. 문서 목록은 최근에 편집된 순서대로 정리되며, 최근 편집 일자가 함께 표시된다. 어떤 문서도 별을 누르지 않았더라면 공백만 있다.
https://namu.wiki/member/star/(문서명)
, https://namu.wiki/member/unstar/(문서명)
을 주소창에 입력하여 내 문서함에 문서를 추가/해제할 수도 있다.3. 다른 위키에서
미디어위키 기반 위키에서는 '주시 문서' 기능이 존재하며, 기본적으로는 문서 편집시 자동으로 지정된다. 주시 문서들의 수정 내역을 모아서 볼 수 있고, 문서가 수정될 경우 이메일로 알려주는 기능도 있다.4. 주요 문서들의 별 개수
대부분의 문서는 별이 5개 이하 수준이나, 대한민국 대통령이나 인기 연예인, 나무위키 관련 문서 등 나무위키 유저들의 관심이 많은 것들에 관한 문서는 '별'을 받은 개수가 확실히 많은 편이다.2018년 10월 25일, 나무위키:대문 문서가 1500개를 돌파했다. 문서함 기능 추가 후 35일 만에 돌파한 셈이다.
2018년 12월 31일엔 2222개를 기록했다.
2019년 3월 11일 3000개를 기록했다.
2019년 7월 5일 4000개를 기록했다.
2019년 10월 13일 5000개를 기록했다.
2020년 2월 21일 6000개를 기록했다.
2019년 6월 30일 대한민국 문서가 일반 문서 최초로 내 문서함 100개를 달성했다. 그리고 2020년 2월 7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문서가 일반 문서 최초로 내 문서함 200개, 2월 27일 300개를 달성했다.
2020년 3월 16일 기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1], 대한민국[2], 나무위키[3], 나무위키:문법 도움말[4], IZ*ONE 문서가 각각 327개, 184개, 140개, 135개, 128개를 기록하여 대문을 제외한 문서 전체에서 1~5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외에 모양이 ☆이라서 그런지 별 문서에도 83개나 되는 '별'이 있다.[5] 나무위키:내 문서함, 즉 이 문서 자체도 리비전이 약 130개뿐인데 별은 31개로 분량 대비 별이 유난히 많다.
분야별로 '별'이 많은 문서들은 나열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다만, '별' 개수가 많은 순서대로 문서를 정렬하는 기능은 없고 일일이 문서에 들어가서 확인해 봐야 얻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정보는 전수 조사를 하지 않은 이상 틀렸을 가능성도 있다. 만약 잘못된 정보가 있다면 수정 바람.
- 대한민국 대통령 문서들 중에선 노무현 문서가 88개로 1위, 현직 대통령 문재인 문서가 67개로 2위를 기록하여, 3위(박정희, 48개) 이하의 다른 대통령 문서들에 비해 개수가 두드러지게 많다.
- 아이돌 그룹 문서 중에선 상술한 IZ*ONE 문서의 별이 128개로 가장 많으며, TWICE(67개), 방탄소년단(60개), 레드벨벳(43개) 순으로 차순위를 보이고 있다.
- 가수, 배우, 그룹 멤버 등을 포함한 개별 연예인 문서 중에선 아이유[6]가 79개로 1위, 마미손(래퍼) 문서가 53개로 2위, 미야와키 사쿠라가 49개로 3위다.
- 스포츠 선수 문서 중에는 리오넬 메시가 70개로 1위, 손흥민이 57개로 그 다음인데, 전반적으로 축구 선수 문서가 다른 스포츠인 문서들에 비해 압도적으로 별이 많다.[7] 또한, 특정 경기 문서 중에 엄청난 별을 받은 문서가 있는데, 그것은 소위 '카잔의 기적'이라고 불리는 신태용호/2018 FIFA 월드컵 러시아/독일전(76개) 문서다.
- 대한민국 지역 문서 중에선
예상되다시피서울특별시가 60개로 1위, 부산광역시가 50개로 2위이다. - 대한민국 이외의 국가 문서 중에선 미국이 79개로 1위, 일본이 73개로 2위, 중국이 44개로 3위다.
- 개별 사건사고 문서 중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문서가 2020-03-16 19:00 기준 327개로 압도적으로 많은 별을 받았는데, 현재 진행 중인 사태라 아직도 더 증가할 가능성이 보인다[8]. 2번째로는 한일 무역 분쟁이 61개의 별을 받았다. 3위는 희한하게도 트위치 스트리머 성추행 의혹 및 FEVER 퇴출 논란 문서가 55개이다. 그 외 2019년 인터넷 검열 논란(51개),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50개), 2019년 일본 상품 불매운동(40개), 버닝썬 게이트(34개) 문서도 상당히 많은 편에 속한다. 내 문서함 기능이 지원 시작된 시점이 2018년 9월이다보니 아무래도 그 이후에 벌어진 사건사고 문서들에 별이 몰려 있는 모습을 보인다. 다만, 이슈 발생 직후에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이후에는 정체되는 경향이 강하다.
- 개별 인물의 하위 문서로서 존재하는 비판과 논란 문서 중에는 황교익/비판과 논란 문서가 31개로 압도적인 별을 받았다. 의외로 대통령이나 거물급 정치인의 비판과 논란 문서 중에는 10개를 넘긴 것도 찾기 어렵다. 비인물의 하위 문서로서 존재하는 비판과 논란 문서 중에서는 나무위키/비판 문서가 24개의 별을 받았다.
- 동물 문서 중에선 무슨 이유에서인지 고양이가 84개로 대단히 압도적이고, 개(23개), 범고래(21개)가 다음으로 많다.
- 영화 문서 중에는 어벤져스: 엔드게임 문서가 75개로 1등을 차지하고 있고, 바로 뒤를 기생충(영화) 문서가 74개로 쫓고 있다. 겨울왕국 2, 조커(2019) 문서도 42개, 37개의 별을 받았다.
- 나무위키 네임스페이스에 속한 문서 중에는
당연히나무위키:대문이 6000개 이상을 자랑하며 초월적인 1위, 상술한 나무위키:문법 도움말(135개)이 3위와 큰 차이로 2위이고, 3위는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35개) 문서이다.
[1] 2020년 1월 31일 밤~2월 1일 새벽 대한민국 문서를 제치고 1위가 되었다.[2] 증가 속도가 많이 가파르다. 2019년 7,8월 두 달 동안에만 20개의 별을 추가로 받았다! 그러나 2020년 1월 31일 밤~2월 1일 새벽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문서에 밀려 2위가 되었다.[3] 2019년 9월말에 100개를 돌파했다. IZ*ONE 문서에 한때 밀려 3위였다가 2019년 10월 20일경에 역전했다.[4] 나무위키 문서와 마찬가지로, IZ*ONE 문서에 밀려 4위였다가 2020년 1월 중순 정도에 역전했다.[5] '별'을 많이 받은 다른 문서들은 편집 내역 수(리비전 수)가 몇천 개 이상인 데 비해 이 문서는 400개밖에 안 됨에도 불구하고 유난히 내 문서함 지정이 많다.[6] 2019년 7월말~11월말 4개월 사이에 34개에서 58개까지 상승하여 증가 속도가 매우 빠른 편.[7] 마이클 조던, 류현진, 김연아 등 다른 종목에서 최상위로 별이 많은 유명 스포츠인도 15~30개 수준에 그치고 있다.[8] 사태 심각화 이후 약 5일간 하루 당 30여 개의 별이 늘어나는 전례 없는 현상이 만든 결과이다! 그 이후로도 상당한 속도로 계속 증가 중...이다가 3월 초가 되어 사태가 대한민국 내에서 진정되는 추세를 보이자 증가 추세가 주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