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ff,#ddd [[나무위키:기본방침|{{{#fff,#ddd 기본방침}}}]] ([[나무위키:기본방침/문서 관리 방침|{{{#fff,#ddd 문서 관리 방침}}}]] · [[나무위키:기본방침/토론 관리 방침|{{{#fff,#ddd 토론 관리 방침}}}]] ·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fff,#ddd 이용자 관리 방침}}}]]) · [[나무위키:편집지침|{{{#fff,#ddd 편집지침}}}]] ([[나무위키:편집지침/일반 문서|{{{#fff,#ddd 일반 문서}}}]] · [[나무위키:편집지침/특수 문서|{{{#fff,#ddd 특수 문서}}}]] · [[나무위키:편집지침/특정 분야|{{{#fff,#ddd 특정 분야}}}]] · [[나무위키:편집지침/등재 기준|{{{#fff,#ddd 등재 기준}}}]] · [[나무위키:편집지침/표제어|{{{#fff,#ddd 표제어}}}]])
12.1.1. 파생 모델 및 형제 모델에 대한 지침12.1.2. 조건부 작성 허용 공개 전 기기에 대한 지침12.1.3. 애플 스마트 디바이스에 관련된 지침12.1.4. 스마트 디바이스 렌더링 이미지 업로드 지침12.1.5. 기기 박스 패키징 서술 관련 지침12.1.6. 스마트 디바이스 문서의 둘러보기 틀12.1.7. 스마트 디바이스 문서의 사양표 카메라 표기 관련
12.2. micro SDXC 규격에 대한 표기12.3. 신형 모바일 AP 정보를 추가할 때
워해머 관련 커뮤니티에서 작성된 내용 불펌의 문제가 지속되어, 워해머 시리즈 관련 내용 전체가 더는 해결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러 다음과 같이 합의되었습니다. 다음과 같은 내용들은 편집지침 발효일 이후로 전면 삭제하며, 작성 금지되지는 않으나 기존판과 무관하게 재작성해야 합니다.
기존의 카드가 V 시즌에서 리메이크되었을 경우, 목차의 최상위 문단을 "스탠다드"와 "P 스탠다드"로 나눠, "스탠다드"를 1번 문단, "P 스탠다드"를 2번 문단으로 하고, 기존의 카드는 "P 스탠다드" 항목의 하위 문단으로 합니다. 기존의 카드의 설명이나 설정 자료 등은 기존의 카드의 하위 문단으로 합니다.
만화, 라이트 노벨, 애니메이션, 웹툰, 웹소설 작품의 최상위 문서엔 해당 작품명의 초성에 따른 자음·숫자·로마자 분류를 삽입해야 합니다.[12] 종속 문서가 특정 작품의 미디어 믹스 작품의 개별 문서이고, 해당 미디어 믹스 작품의 최상위 문서일 경우[13]에도 규정이 적용됩니다.
애니메이션 작품 문서의 최상위 문서가 방영 기수 및 매체마다 개별 문서로 분리된 경우 각 기수 및 매체 문서의 최상위 문서에도 규정이 적용됩니다.
XXXX년 Y분기 일본 애니메이션 분류가 한 문서에 4개 이상 사용될 경우 기(期) 단위를 기준으로 했을 때 맞지 않는 분류는 삭제할 수 있습니다.
'프로필 표'는 해당 작품의 정보를 요약한 표를 말하며, 작성 시 하단의 규정을 따라야 합니다.
프로필 표는 문법상 목차 틀 상단에 위치해야 합니다.
애니메이션 관련 문서에서 방영 기수 및 매체에 따라 프로필 표가 2개 이상 작성되었을 경우, 각각의 프로필 표를 각 방영 기수 및 매체의 최상위 단계 문단의 최상단에 배치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프로필 표는 중앙에 배치합니다.
만화 관련 문서에서 프로필 표 작성 시 하단의 '만화 프로필 표 문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템플릿:만화 문서 참고.
||<-2><table width=350><table align=right><table bordercolor=#dddddd,#010101><bgcolor=#dddddd,#010101><table bgcolor=#ffffff,#2d2f34><table color=#373a3c,#dddddd> {{{#373a3c,#dddddd '''{{{+1 (제목)}}}'''[br](원제)}}} ||
||<-2><bgcolor=#fff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빈 도서 이미지.png|width=100%]]}}}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장르}}}'''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작가}}}''' ||스토리: ○○[br]작화: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png|width=20]] ○○[br][[파일:대한민국 국기.png|width=20]]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연재지}}}'''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레이블}}}''' ||[[파일:일본 국기.png|width=20]] ○○[br][[파일:대한민국 국기.png|width=20]]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연재 기간}}}''' ||20○○년 ○○월호 ~ 연재 중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png|width=20]] ○○권 ,,(20○○. ○○. ○○. 完[* '完'은 완결 작품이 아닐 시 제거하십시오.]),,[br][[파일:대한민국 국기.png|width=20]] ○○권 ,,(20○○. ○○. ○○. 完[* '完'은 완결 작품이 아닐 시 제거하십시오.]),,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앤솔러지[br]코믹스 권수}}}''' ||[[파일:일본 국기.png|width=20]] ○○권 ,,(20○○. ○○. ○○. 完[* '完'은 완결 작품이 아닐 시 제거하십시오.]),,[br][[파일:대한민국 국기.png|width=20]] ○○권 ,,(20○○. ○○. ○○. 完[* '完'은 완결 작품이 아닐 시 제거하십시오.]),,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관련 사이트}}}''' ||○○ ||
}}}||
'앤솔러지 코믹스 권수', '관련 사이트' 항목은 정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당장 찾기 어려울 경우 제거하고 작성할 수 있습니다.
정발 도중 번역가가 2회 이상 바뀌지 않은 작품에 한해 '번역가' 항목을 삽입할 수 있습니다. '작가' 항목 바로 하단에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번역가)}}}''' ||○○ || 문법을 삽입합니다.
원작과 후속작이 단일 문서로 존재하는 만화 관련 문서에서 프로필 표 작성 시, 원작 정보와 후속작 정보 사이에 ||<-2><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후속작 제목)}}}''' || 문법을 삽입해 분류합니다. 표의 간략화를 위해 '장르', '작가' 등 공통되는 항목은 대표 이미지 바로 하단에 ||<-2><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작품 정보}}}''' || 문법을 삽입한 뒤 그 하단에 몰아넣고, '출판사', '연재지', '연재 기간' 같은 항목 중 차이가 있는 부분만 해당 문법으로 분류합니다.[14]
라이트 노벨 관련 문서에서 프로필 표 작성 시 하단의 '라이트 노벨 프로필 표 문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템플릿:라이트 노벨 문서 참고.
||<-2><table width=350><table align=right><table bordercolor=#dddddd,#010101><bgcolor=#dddddd,#010101><table bgcolor=#ffffff,#2d2f34><table color=#373a3c,#dddddd> {{{#373a3c,#dddddd '''{{{+1 (제목)}}}'''[br](원제)}}} ||
||<-2><bgcolor=#fff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빈 도서 이미지.png|width=100%]]}}}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장르}}}'''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작가}}}'''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삽화가}}}'''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번역가}}}'''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png|width=20]] ○○[br][[파일:대한민국 국기.png|width=20]]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레이블}}}''' ||[[파일:일본 국기.png|width=20]] ○○[br][[파일:대한민국 국기.png|width=20]]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발매 기간}}}''' ||[[파일:일본 국기.png|width=20]] 20○○. ○○. ○○. ~ 발매 중[br][[파일:대한민국 국기.png|width=20]] 20○○. ○○. ○○. ~ 발매 중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웹 연재 기간}}}''' ||20○○. ○○. ○○. ~ 연재 중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권수}}}''' ||[[파일:일본 국기.png|width=20]] ○○권 ,,(完),,[* '完'은 완결 작품이 아닐 시 제거하십시오.] + 외전 ○○권[* 20○○. ○○. ○○. 기준][br][[파일:대한민국 국기.png|width=20]] ○○권 ,,(完),,[* '完'은 완결 작품이 아닐 시 제거하십시오.] + 외전 ○○권[* 20○○. ○○. ○○. 기준]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관련 사이트}}}''' ||○○ ||
}}}||
'웹 연재 기간', '관련 사이트' 항목은 정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당장 찾기 어려울 경우 제거하고 작성할 수 있습니다.
한국 작품의 경우 '번역가' 항목을 삭제합니다.
원작과 후속작이 단일 문서로 존재하는 라이트 노벨 관련 문서에서 프로필 표 작성 시, 원작 정보와 후속작 정보 사이에 ||<-2><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후속작 제목)}}}''' || 문법을 삽입해 분류합니다. 표의 간략화를 위해 '장르', '작가' 등 공통되는 항목은 대표 이미지 바로 하단에 ||<-2><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작품 정보}}}''' || 문법을 삽입한 뒤 그 하단에 몰아넣고, '출판사', '발매 기간' 같은 항목 중 차이가 있는 부분만 해당 문법으로 분류합니다.
애니메이션 관련 문서에서 프로필 표 작성 시 하단의 '애니메이션 프로필 표 문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템플릿:애니메이션 문서 참고.
||<-2><table width=500><table align=right><table bordercolor=#dddddd,#010101><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1 (제목)}}}'''[br](원제)}}} ||
||<-2><bgcolor=#fff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빈 도서 이미지.png|width=100%]]}}} ||
||<-2><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2d2f34><table color=#373a3c,#dddddd><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장르}}}'''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원작}}}'''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캐릭터 원안/원작 일러스트}}}'''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총감독}}}'''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감독}}}'''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부감독}}}'''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조감독}}}'''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시리즈 디렉터}}}'''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시리즈 구성}}}'''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캐릭터 디자인}}}'''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미술 감독}}}'''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색채 설계}}}'''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촬영 감독}}}'''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편집}}}'''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음향 감독}}}'''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음악}}}'''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애니메이션 제작사 이름)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제작}}}'''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0000년 00월|20○○. ○○. ○○.]] ~ 20○○. ○○.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png|width=20]] [[방송국 이름]] / (요일) 시간[br][[파일:대한민국 국기.png|width=20]] [[방송국 이름]] / (요일) 시간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최초/국내/독점 스트리밍 서비스}}}''' ||(스트리밍 서비스사 이름) [[https://|▶]][* '▶'가 링크된 주소는 해당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작품이 방송되고 있는 주소로 기입합니다.]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국내 정식발매}}}''' ||(정식발매사 이름)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화수}}}''' ||○○화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국내 심의 등급}}}''' ||<bgcolor=#1AA260>[[전체 이용가|{{{#ffffff 모든 연령 시청가}}}]][*TV 국내 애니메이션 방송사([[애니맥스 코리아]], [[애니플러스]], [[투니버스]] 등) 판권 방영 시], [[전체 이용가|{{{#ffffff 전체 관람가}}}]][*VOD 해당 기수에 대하여 영상물등급위원회의 등급 심의 기록이 존재할 경우.]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국내 심의 등급}}}''' ||<bgcolor=#2887C8>[[7세 시청가|{{{#ffffff 7세 이상 시청가}}}]][*TV 국내 애니메이션 방송사([[애니맥스 코리아]], [[애니플러스]], [[투니버스]] 등) 판권 방영 시]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국내 심의 등급}}}''' ||<bgcolor=#4C8BF5>[[12세 이용가|{{{#ffffff 12세 이상 시청가}}}]][*TV 국내 애니메이션 방송사([[애니맥스 코리아]], [[애니플러스]], [[투니버스]] 등) 판권 방영 시], [[12세 이용가|{{{#ffffff 12세 관람가}}}]][*VOD 해당 기수에 대하여 영상물등급위원회의 등급 심의 기록이 존재할 경우.]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국내 심의 등급}}}''' ||<bgcolor=#FFCE44>[[15세 이용가|{{{#ffffff 15세 이상 시청가}}}]][*TV 국내 애니메이션 방송사([[애니맥스 코리아]], [[애니플러스]], [[투니버스]] 등) 판권 방영 시], [[15세 이용가|{{{#ffffff 15세 관람가}}}]][*VOD 해당 기수에 대하여 영상물등급위원회의 등급 심의 기록이 존재할 경우.] ,,{{{#ffffff (선정성, 폭력성, 언어, 주제, 모방위험 중 해당되는 요소)}}},,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국내 심의 등급}}}''' ||<bgcolor=#DE5246>[[청소년 이용불가|{{{#ffffff 19세 이상 시청가}}}]][*TV 국내 애니메이션 방송사([[애니맥스 코리아]], [[애니플러스]], [[투니버스]] 등) 판권 방영 시], [[청소년 이용불가|{{{#ffffff 청소년 관람불가}}}]][*VOD 해당 기수에 대하여 영상물등급위원회의 등급 심의 기록이 존재할 경우.] ,,{{{#ffffff (선정성, 폭력성, 언어, 주제, 모방위험 중 해당되는 요소)}}},,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국내 심의 등급}}}''' ||심의 없음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국내 심의 등급}}}''' ||미정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관련 사이트}}}''' ||[[http://example.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png|width=25]]]], [[https://twitter.com/계정명|[[파일:트위터 아이콘.png|width=25]]]] ||
}}}}}}}}} ||
}}}||
표 너비는 350~700px 내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기본값 500px)
대표 이미지 하단 정보 항목 중 일부 항목의 정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당장 찾기 어려울 경우 제거하고 작성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템플릿에 없는 항목을 추가할 수도 있으며, 추가할 항목의 종류 및 배치는 작품의 오프닝 영상 또는 공식 홈페이지의 스태프 정보란을 따라야 합니다. 단, 아래 내용이 우선합니다.
'장르' 항목은 항목 중 가장 위에 위치해야 합니다.
'감독' 항목은 '시리즈 구성' 항목보다 상단, '총감독' 항목은 '감독' 항목 바로 상단, '부감독', '조감독', '시리즈 디렉터' 항목 등은 순서대로 '감독' 항목 바로 하단에 위치해야 합니다.
'국내 심의 등급', '관련 사이트' 항목 아래로 항목 추가가 불가능합니다.
항목명에 /가 들어간 항목의 경우 /로 구분된 항목명 분류 중 적합한 분류만 남기고 나머지 분류는 삭제합니다.
'애니메이션 제작' 항목에는 애니메이션 제작사를, '제작' 항목에는 제작위원회를 기입합니다.
'방송국' 항목의 경우 작품 제작 국가 및 한국의 최속 방송국 정보만을 기입합니다.
'최초/국내/독점 스트리밍 서비스' 항목은 아래 기준에 따라 작성해야 합니다.
작품이 해외 스트리밍 매체로 방송된다면 항목명을 '최초 스트리밍 서비스'로 수정하고 처음으로 방송된 사이트 정보를 기입합니다. 이후 한국 스트리밍 매체로도 방송된다면 '최초 스트리밍 서비스' 항목에 한국에서 처음으로 방송된 사이트 정보를 기존에 기입한 사이트 정보 하단에 기입합니다. 이때 기존 사이트 정보와 한국 사이트 정보 앞에 국기 이미지를 붙여 사이트 국적을 구분합니다.
한국 사이트 정보밖에 없다면 항목명을 '국내 스트리밍 서비스'로 수정하고 처음으로 방송된 한국 사이트 정보를 기입합니다.
스트리밍 서비스가 독점 판권으로 이루어진다면 항목명을 '독점 스트리밍 서비스'로 수정하고 독점 판권을 보유한 사이트 정보를 기입합니다.
'최초 스트리밍 서비스', '국내 스트리밍 서비스', '독점 스트리밍 서비스' 항목 중 기준에 맞는 하나만 써야 합니다.
'국내 심의 등급' 항목의 경우 해당 작품의 심의 등급과 맞는 항목만 남기고 삭제합니다. 모종의 이유로 같은 작품에서 심의 등급이 2개 이상으로 나뉠 경우 심의 등급을 기재하는 칸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한 후 각각의 등급을 기재합니다. 이때 각각의 등급 분류에 대해 주석으로 사유를 작성합니다.
시청 등급이 15세 이상 시청가나 19세 이상 시청가일 경우 법률로 정의된 5가지의 분류 사유(선정성, 폭력성, 언어, 주제, 모방위험) 중 방송사가 설정한 사유들을 아랫 첨자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한 항목에 담당자 또는 담당 회사 이름이 2개 이상 기입될 경우 각 이름 사이에 [br] 문법을 삽입해 개행합니다.
특정 담당자 또는 담당 회사가 완전히 겸임하는 항목들이 있을 경우[15]<|n> 문법으로 해당 항목들의 우측 열 칸을 합쳐 정보를 하나의 칸에 표기합니다. 좌측 열 칸은 합치지 않으며, 좌측 열 겸임 항목의 순서 배치는 '애니메이션 프로필 표 문법'의 순서를 따릅니다.
애니메이션 영화 관련 문서에서 프로필 표 작성 시 '영화 관련 문서' 문단의 규정에 따릅니다.
웹툰 관련 문서에서 프로필 표 작성 시 하단의 '웹툰 프로필 표 문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템플릿:웹툰 문서 참고.
||<-2><table width=350><table align=right><table bordercolor=#dddddd,#010101><bgcolor=#dddddd,#010101><table bgcolor=#ffffff,#2d2f34><table color=#373a3c,#dddddd> {{{#373a3c,#dddddd '''{{{+1 (제목)}}}'''[br](원제 또는 영제)}}} ||
||<-2><bgcolor=#fff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빈 도서 이미지.png|width=100%]]}}}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장르}}}'''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작가}}}''' ||스토리: ○○[br]작화: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출판사}}}'''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연재처}}}''' ||○○ [[https://|▶]][* '▶'가 링크된 주소는 해당 연재처에서 작품이 연재되고 있는 주소로 기입합니다.]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연재 기간}}}''' ||20○○. ○○. ○○. ~ 연재 중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연재 주기}}}'''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일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단행본 권수}}}''' ||○○권 ,,(20○○. ○○. ○○. 完[* '完'은 완결 작품이 아닐 시 제거하십시오.]),,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이용 등급}}}''' ||[[전체 이용가]] / [[12세 이용가]] / [[15세 이용가]] / [[청소년 이용불가]]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관련 사이트}}}''' ||○○ ||
}}}||
'출판사', '단행본 권수', '이용 등급', '관련 사이트' 항목은 정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당장 찾기 어려울 경우 제거하고 작성할 수 있습니다.
작성된 연재처가 5개 이상일 경우 해당 정보에 한해 [ 펼치기 · 접기 ]만 보이도록 접기 문법을 적용합니다.
정보가 있는 작품에 한해 '레이블' 항목을 삽입할 수 있습니다. '연재처' 항목 바로 하단에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레이블}}}''' ||○○ || 문법을 삽입합니다.
'연재 주기' 항목엔 작품이 연재되는 요일을 작성하며 '월요일'이 아닌 '월' 식으로 표기합니다. 연재가 요일별이 아닌 일자별로 이루어질 경우 '○○일'식으로 연재 일자를 표기합니다.
자율등급제를 운영하지 않는 연재처의 작품은 청소년 이용불가로 분류된 경우만 '이용 등급' 항목을 작성합니다.
웹소설 관련 문서에서 프로필 표 작성 시 하단의 '웹소설 프로필 표 문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템플릿:웹소설 문서 참고.
||<-2><table width=350><table align=right><table bordercolor=#dddddd,#010101><bgcolor=#dddddd,#010101><table bgcolor=#ffffff,#2d2f34><table color=#373a3c,#dddddd> {{{#373a3c,#dddddd '''{{{+1 (제목)}}}'''[br](원제 또는 영제)}}} ||
||<-2><bgcolor=#fff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빈 도서 이미지.png|width=100%]]}}}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장르}}}'''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작가}}}'''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출판사}}}''' ||○○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연재처}}}''' ||○○ [[https://|▶]][* '▶'가 링크된 주소는 해당 연재처에서 작품이 연재되고 있는 주소로 기입합니다.]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연재 기간}}}''' ||20○○. ○○. ○○. ~ 연재 중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단행본 권수}}}''' ||○○권 ,,(20○○. ○○. ○○. 完[* '完'은 완결 작품이 아닐 시 제거하십시오.]),,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이용 등급}}}''' ||[[전체 이용가]] / [[12세 이용가]] / [[15세 이용가]] / [[청소년 이용불가]] ||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관련 사이트}}}''' ||○○ ||
}}}||
'출판사', '단행본 권수', '이용 등급', '관련 사이트' 항목은 정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당장 찾기 어려울 경우 제거하고 작성할 수 있습니다.
작성된 연재처가 5개 이상일 경우 해당 정보에 한해 [ 펼치기 · 접기 ]만 보이도록 접기 문법을 적용합니다.
정보가 있는 작품에 한해 '레이블' 항목을 삽입할 수 있습니다. '연재처' 항목 바로 하단에 ||<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레이블}}}''' ||○○ || 문법을 삽입합니다.
자율등급제를 운영하지 않는 연재처의 작품은 청소년 이용불가로 분류된 경우만 '이용 등급' 항목을 작성합니다.
'만화 프로필 표 문법', '라이트 노벨 프로필 표 문법', '애니메이션 프로필 표 문법', '웹툰 프로필 표 문법', '웹소설 프로필 표 문법'에서 수정 가능한 부분은 별도로 설명된 부분을 제외하면 '색상 코드 수치', '제목 관련 문법', '대표 이미지 파일명', '대표 이미지 하단 우측 열에 들어갈 정보'에 한합니다.
대표 이미지 하단 우측 열의 정보를 기입하는 방식은 '만화 프로필 표 문법', '라이트 노벨 프로필 표 문법', '애니메이션 프로필 표 문법', '웹툰 프로필 표 문법', '웹소설 프로필 표 문법'의 서술 방식을 우선합니다.
제목과 대표 이미지 하단의 좌측 열은 중앙정렬, 우측 열은 좌측정렬을 유지합니다. 단, 우측 열의 칸이 나눠졌을 경우 그중 좌측의 작가 담당 분야, 국가, 시즌 구분용 칸은 중앙정렬로 합니다.
프로필 표에 들어갈 대표 이미지는 해당 작품과 연관된 이미지를 사용해야 하며, 이에 대한 편집 분쟁이 발생할 경우 하단의 '프로필 표 대표 이미지 삽입 기준'을 따릅니다.
대표 이미지 하단 우측 열에 넣는 국기 이미지는 [[파일:(국가명) 국기.png|width=20]] 형식으로 된 이미지와 문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만화, 라이트 노벨, 웹툰, 웹소설 관련 문서의 프로필 표에 대표 이미지, 국기 이미지 외의 이미지는 삽입할 수 없습니다.
하이퍼링크는 대표 이미지 하단 우측 열의 다음 정보들에만 걸 수 있습니다.
장르 종류, 작가·삽화가·번역가 이름, 출판사 이름, 연재지·연재처 이름, 레이블 이름, 이용 등급·국내 심의 등급 종류, 관련 사이트 이름
애니메이션 프로필 표의 담당자 또는 담당 회사 이름, '방영 기간' 항목의 방영 시작일(애니메이션/○○○○년 ○○월 형식의 문서로 연결)
애니메이션, 웹툰, 웹소설 프로필 표의 [[https://|▶]] 문법(작품이 연재·방송되는 페이지 주소 기입)
'연재 기간', '발매 기간', '웹 연재 기간', '방영 기간' 항목의 정보 표기는 년월일을 쓰지 않고 ○○○○. ○○. ○○. ~ ○○○○. ○○. ○○. 식으로 표기합니다. 단, 만화 관련 문서는 연재지 호수 정보가 있다면 해당 정보로 표기합니다.[16]
완결되지 않은 작품은 종료일에 '연재 중', 완결되지 않고 연재 중단된 작품은 '연재 중단', 공식적으로 휴재 상태인 작품은 '휴재 중'이라고 표기합니다. '발매 기간' 항목의 경우 연재를 발매로 바꿔 '발매 중', '발매 중단'으로 씁니다.
제목이 지나치게 길거나[17], 부제가 존재할 경우[18] 한국어 제목과 원어 제목을 별도의 칸으로 분리해 서술할 수 있습니다. 방식은 기존 제목 문법 하단에 ||<-2><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1 (원제)}}}'''[br](부제)}}} || 문법을 삽입합니다.
제목은 한국어명, 원어명[19], 영어명 순으로 서술합니다. 한국어 제목의 글자 크기는 다른 언어 제목보다 전반적으로 더 크게 설정합니다. 단, 한국어 제목과 원어 제목이 별도의 칸으로 분리되어 서술되었을 경우는 서로 글자 크기를 전반적으로 같게 설정합니다.
한국, 일본, 미국 외의 국가와 관련된 정보는 해당 국가에서 원작이 최초 발매된 경우가 아니라면 프로필 표에 서술하지 않습니다.
만화, 라이트 노벨 관련 문서에서 '출판사', '연재지', '레이블', '연재·발매·웹 연재 기간', '권수'(단행본 및 앤솔러지 코믹스 포함) 항목 작성 시, 한 항목에 여러 국가의 정보가 들어간다면 원작이 먼저 정식 발매된 순서대로 국가별 정보를 서술합니다.
웹툰, 웹소설 관련 문서는 원작이 최초 발매된 국가가 한국일 경우 한국 관련 정보만 작성하며, 국기 이미지는 넣지 않습니다. 원작이 최초 발매된 국가가 외국이지만 한국에서 정식 번역된 작품 문서의 경우 해당 국가와 한국 관련 정보만 작성하며, 한국어 제목 아래에 원본 국가 제목을 표기하고 '연재처', '연재 기간', '출판사', '레이블', '단행본 권수' 항목의 우측 열에 ||[[파일:원본 국가 국기.png|width=20]] ○○[br][[파일:대한민국 국기.png|width=20]] ○○ || 식으로 국기 이미지를 삽입해야 합니다.
예외적으로 공식적인 영어 제목이 존재할 경우 한국어, 원어 제목 바로 하단에 작성 가능합니다.
원작과 후속작이 한 프로필 표에 함께 서술됐거나, 한 항목에 정보 분류가 2종류 이상 존재하거나[20], 한 항목에 정보 분류가 1종류 이상 있으면서 개행이 발생할 정도로 내용이 길다거나[21] 하여 대표 이미지 하단 우측 열의 칸을 나눌 필요가 있을 경우 그에 필요한 문법을 적용한 수정이 가능합니다.
미디어 믹스 작품을 다루는 문단에서 프로필 표 작성 시 코믹스 작품은 상단의 '만화 프로필 표 문법', 라이트 노벨 작품은 '라이트 노벨 프로필 표 문법', 애니메이션 작품은 '애니메이션 프로필 표 문법', 웹툰 작품은 '웹툰 프로필 표 문법', 웹소설 작품은 '웹소설 프로필 표 문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단, 이때 사용되는 프로필 표는 중앙에 배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합니다.
템플릿:만화, 템플릿:라이트 노벨, 템플릿:애니메이션, 템플릿:웹툰, 템플릿:웹소설의 프로필 표는 각각 본 규정의 '만화 프로필 표 문법', '라이트 노벨 프로필 표 문법', '애니메이션 프로필 표 문법', '웹툰 프로필 표 문법', '웹소설 프로필 표 문법'에 따라 작성해야 합니다.
문단명 하이퍼링크는 해당 문단이 개별 문서로 분리되고, 그 분리된 문서로 연결하는 용도로만 걸 수 있습니다.
문단명을 이루는 글자 전체가 아니라 문단명의 일부 글자에 거는 거라면[22] 분리된 문서가 아니라도 하이퍼링크를 걸 수 있습니다. 단, 보통명사를 설명하기 위한 용도로는 불가능하며, 해당 문단이 개별 문서화된 상태라면 해당 개별 문서의 링크만 걸어야 합니다.
해당 문단에서 직접 분리된 문서가 아니라도 작품의 고유 설정을 다룬 문서라면, 해당 문단명을 이루는 글자 전체에 그 문서와 연결되는 하이퍼링크를 걸 수 있습니다.
아래 문단 작성 관련 규정은 특정 작품의 최상위 문서에 적용되며, 종속 문서엔 적용되지 않습니다. 단, 종속 문서가 특정 작품의 미디어 믹스 작품의 개별 문서이고, 해당 미디어 믹스 작품의 최상위 문서일 경우[23]에는 규정이 적용됩니다.
애니메이션 작품 문서의 최상위 문서가 방영 기수 및 매체마다 개별 문서로 분리된 경우 각 기수 및 매체 문서의 최상위 문서에 규정이 적용됩니다.
만화 작품 문서의 최상위 문서에서 문단 작성 시 하단의 '만화 문단 문법'을 따라야 합니다. 템플릿:만화 문서 참고.
(틀)
(프로필 표)
[목차]
[include(틀:-)]
== 개요 ==
== 줄거리 ==
== 발매 현황 ==
== 특징 ==
== 등장인물 ==
== 설정 ==
== 인기 ==
== 평가 ==
=== 호평 ===
=== 비판 ===
== 논란 ==
== 미디어 믹스 ==
=== 드라마 CD ===
=== 소설 ===
=== 라이트 노벨 ===
=== 애니메이션 ===
=== 게임 ===
== 2차 창작 ==
== 무대탐방 ==
== 기타 ==
== 관련 문서 ==
== 바깥 고리 ==
== 둘러보기 ==
}}}||
라이트 노벨 작품 문서의 최상위 문서에서 문단 작성 시 하단의 '라이트 노벨 문단 문법'을 따라야 합니다. 템플릿:라이트 노벨 문서 참고.
(틀)
(프로필 표)
[목차]
[include(틀:-)]
== 개요 ==
== 줄거리 ==
== 발매 현황 ==
== 특징 ==
== 등장인물 ==
== 설정 ==
== 인기 ==
== 평가 ==
=== 호평 ===
=== 비판 ===
== 논란 ==
== 미디어 믹스 ==
=== 드라마 CD ===
=== 코믹스 ===
=== 애니메이션 ===
=== 게임 ===
== 2차 창작 ==
== 무대탐방 ==
== 기타 ==
== 관련 문서 ==
== 바깥 고리 ==
== 둘러보기 ==
}}}||
애니메이션 작품 문서의 최상위 문서에서 문단 작성 시 하단의 '애니메이션 문단 문법'을 따라야 합니다. 템플릿:애니메이션 문서 참고.
(틀)
(프로필 표)
[목차]
[include(틀:-)]
== 개요 ==
== 방영 전 정보 ==
== 줄거리 ==
== PV ==
== 특징 ==
== 등장인물 ==
== 설정 ==
== 주제가 ==
== 회차 목록 ==
== 에피소드 가이드 ==
== 아이캐치 ==
== 엔드 카드 ==
== 국내 방영 ==
== 해외 방영 ==
== 인기 ==
== 평가 ==
=== 호평 ===
=== 비판 ===
== 논란 ==
== 미디어 믹스 ==
=== BD&DVD ===
=== 드라마 CD ===
=== 코믹스 ===
=== 소설 ===
=== 라이트 노벨 ===
=== 게임 ===
== 2차 창작 ==
== 무대탐방 ==
== 기타 ==
== 관련 문서 ==
== 바깥 고리 ==
== 둘러보기 ==
}}}||
'방영 전 정보' 문단이 존재할 시 'PV' 문단을 '방영 전 정보' 문단의 하위 단계 문단으로 배치합니다.
'등장인물' 문단에 주요 성우진을 정리한 표가 존재할 시 문단명을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으로 수정합니다.
'주제가' 문단에 주제가 이외의 관련 음악이 서술될 시 문단명을 '음악'으로 수정합니다.
웹툰 작품 문서의 최상위 문서에서 문단 작성 시 하단의 '웹툰 문단 문법'을 따라야 합니다. 템플릿:웹툰 문서 참고.
(틀)
(프로필 표)
[목차]
[include(틀:-)]
== 개요 ==
== 줄거리 ==
== 연재 현황 ==
== 특징 ==
== 등장인물 ==
== 설정 ==
== 인기 ==
== 평가 ==
=== 호평 ===
=== 비판 ===
== 논란 ==
== 단행본 ==
== 미디어 믹스 ==
=== 소설 ===
=== 애니메이션 ===
=== 게임 ===
=== 드라마 ===
=== 영화 ===
== 2차 창작 ==
== 무대탐방 ==
== 기타 ==
== 관련 문서 ==
== 바깥 고리 ==
== 둘러보기 ==
}}}||
웹소설 작품 문서의 최상위 문서에서 문단 작성 시 하단의 '웹소설 문단 문법'을 따라야 합니다. 템플릿:웹소설 문서 참고.
(틀)
(프로필 표)
[목차]
[include(틀:-)]
== 개요 ==
== 줄거리 ==
== 연재 현황 ==
== 특징 ==
== 등장인물 ==
== 설정 ==
== 인기 ==
== 평가 ==
=== 호평 ===
=== 비판 ===
== 논란 ==
== 단행본 ==
== 미디어 믹스 ==
=== 웹툰 ===
=== 애니메이션 ===
=== 게임 ===
=== 드라마 ===
=== 영화 ===
== 2차 창작 ==
== 무대탐방 ==
== 기타 ==
== 관련 문서 ==
== 바깥 고리 ==
== 둘러보기 ==
}}}||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문단은 '개요' 문단을 제외하고 삭제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각 문단 문법에 없는 별도의 문단 작성이 필요하다면 최상위 단계 문단들의 하위 단계 문단으로 문단 추가가 가능합니다.
최상위 단계 문단들의 하위 단계 문단으로 배치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문단은 '논란' 문단 하단 ~ '기타' 문단 상단 사이에 최상위 단계 문단으로 배치합니다.
'무대탐방', '성지순례', '로케지' 등 현실을 차용한 공간적 배경에 대해 소개하는 문단 작성 시 문단명을 '무대탐방'으로 하고 문단 문법에 따라 배치합니다. 해당 문단이 개별 문서로 존재할 경우 해당 문서명을 '(상위 문서명)/무대탐방'으로 합니다.
'평가', '논란' 관련 문단 작성 시 다음 규정을 따릅니다.
비판적 평가만 있을 경우 해당 내용이 서술된 문단명을 '비판'으로 하고 '평가' 문단이 있을 자리에 최상위 단계 문단으로 배치할 수 있습니다.
'비판' 문단과 '논란' 문단이 분리가 어려운 경우 해당 내용이 서술된 문단명을 '비판 및 논란'으로 하고, 따로 '평가' 문단이 없을 경우 '평가' 문단이 있을 자리에 최상위 단계 문단으로 배치할 수 있습니다.
추후 비판 외의 평가가 추가되어 '평가' 문단을 따로 만들게 되면 '비판' 혹은 '비판 및 논란' 문단을 '평가' 문단의 하위 단계 문단으로 배치합니다.
'논란' 문단에서 다루는 주제가 하나일 경우 '논란' 문단명을 해당 주제를 포함한 문단명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24]
반론을 서술한 문단에 반박하기 위한 재반론 문단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문서의 프로필 표가 작성된 후라면 '개요' 문단 바로 위에 [include(틀:-)] 문법과 목차, 그 위로 프로필 표가 위치해야 하며, 이 사이에 다른 서술을 넣을 수 없습니다. 또한 프로필 표 위로도 틀에 속하지 않는 이미지나 서술은 넣을 수 없습니다.
템플릿:만화, 템플릿:라이트 노벨, 템플릿:애니메이션, 템플릿:웹툰, 템플릿:웹소설의 문단 이름, 종류, 순서는 각각 본 규정의 '만화 문단 문법', '라이트 노벨 문단 문법', '애니메이션 문단 문법', '웹툰 문단 문법', '웹소설 문단 문법'에 따라 작성해야 합니다.
[22] 예: 'PSP 게임'(o) / 'PSP'(x) - PSP 문서로 연결되는지 PSP 플랫폼으로 출시된 미디어 믹스 작품의 개별 문서로 연결되는지 파악할 수 없음.[23] 예: '○○/애니메이션' 문서.[24] 예: '논란' → '우익 논란'.
1. 한 방영 기수 및 매체에 공식 키 비주얼 이미지가 2개 이상 공개되었을 경우[25], 프로필 표의 대표 이미지 삽입 문법 바로 하단에 아래 문법을 삽입해 해당 이미지들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대표 이미지 외 추가하려는 키 비주얼 이미지가 1개인 경우
||<-2><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기타 키 비주얼 ▼
[[파일:빈 도서 이미지.png|width=100%]]{{{#373a3c,#dddddd ○쿨 키 비주얼}}}}}}}}}}}} ||
}}}||
대표 이미지 외 추가하려는 키 비주얼 이미지가 2개인 경우
||<-2><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기타 키 비주얼 ▼
[[파일:빈 도서 이미지.png|width=100%]]{{{#373a3c,#dddddd ○쿨 키 비주얼}}}[br][[파일:빈 도서 이미지.png|width=100%]]{{{#373a3c,#dddddd ○쿨 키 비주얼}}}}}}}}}}}} ||
}}}||
대표 이미지 외 추가하려는 키 비주얼 이미지가 3개인 경우
||<-2><bgcolor=#dddddd,#010101>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기타 키 비주얼 ▼
||<table width=100%><rowbgcolor=#fff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빈 도서 이미지.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빈 도서 이미지.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빈 도서 이미지.png|width=100%]]}}} ||
||<rowbgcolor=#f5f5f5,#2d2f34><width=33.3%> {{{#373a3c,#dddddd ○쿨 키 비주얼}}} ||<width=33.3%> {{{#373a3c,#dddddd ○쿨 키 비주얼}}} ||<width=33.3%> {{{#373a3c,#dddddd ○쿨 키 비주얼}}} ||}}}}}}}}} ||
'기타 키 비주얼 삽입 문법'에서 수정 가능한 부분은 별도로 설명된 부분을 제외하면 '키 비주얼 이미지 파일명', '색상 코드 수치', '키 비주얼 이미지 하단에 들어갈 시즌 구분용 서술'에 한합니다.
2. 방영 기수 및 매체별로 구분된 애니메이션들을 한 문서에 작성하는 경우, 각 작품을 별도의 최상위 단계 문단으로 분리하여 서술합니다.[26]
분리된 각 작품 문단은 별도의 문서와 같이 취급하여, 각각 프로필 표 작성 관련, 문단 작성 관련 규정을 따로 적용합니다. 단, 각 작품 문단에 개요 문단은 작성하지 않으며 개요 문단에 작성할 내용은 최상위 단계 문단에 서술합니다. 해당 문단에 프로필 표가 있을 시 그 하단에 서술합니다.
공식 키 비주얼 이미지가 2개 이상 공개된 작품 문단에서 공식 키 비주얼 이미지를 2개 이상 삽입하려는 경우 1번 규정을 적용합니다.
프로필 표에서 수정 가능한 부분은 별도로 설명된 부분을 제외하면 '색상 코드 수치', '제목 관련 문법', '대표 이미지 파일명', '대표 이미지 하단 우측 열에 들어갈 정보'에 한합니다.
대표 이미지 하단 우측 열의 정보를 기입하는 방식은 프로필 표의 서술 방식을 우선합니다.
제목과 대표 이미지 하단의 좌측 열은 중앙정렬, 우측 열은 좌측정렬을 유지합니다.
일부 항목의 정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당장 찾기 어려울 경우 제거하고 작성할 수 있습니다.
실사 영화는 '촬영', 2D 애니메이션 영화는 '캐릭터 디자인', 3D 애니메이션 영화는 'CG 및 모델링' 항목을 기본으로 삽입해야 합니다.
'최초/국내/독점 스트리밍' 항목은 아래 기준에 따라 작성해야 합니다.
작품이 해외 스트리밍 매체로 방송된다면 항목명을 '최초 스트리밍'으로 수정하고 처음으로 방송된 사이트 정보를 기입합니다. 이후 한국 스트리밍 매체로도 방송된다면 '최초 스트리밍' 항목에 한국에서 처음으로 방송된 사이트 정보를 기존에 기입한 사이트 정보 하단에 기입합니다. 이때 기존 사이트 정보와 한국 사이트 정보 앞에 국기 이미지를 붙여 사이트 국적을 구분합니다.
한국 사이트 정보밖에 없다면 항목명을 '국내 스트리밍'으로 수정하고 처음으로 방송된 한국 사이트 정보를 기입합니다.
스트리밍 서비스가 독점 판권으로 이루어진다면 항목명을 '독점 스트리밍'으로 수정하고 독점 판권을 보유한 사이트 정보를 기입합니다.
'최초 스트리밍', '국내 스트리밍', '독점 스트리밍' 항목 중 기준에 맞는 하나만 써야 합니다.
'상영 등급' 항목의 경우 해당 작품의 심의 등급과 맞는 항목만 남기고 삭제합니다. 모종의 이유로 같은 작품에서 심의 등급이 2개 이상으로 나뉠 경우 심의 등급을 기재하는 칸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한 후 각각의 등급을 기재합니다. 이때 각각의 등급 분류에 대해 주석으로 사유를 작성합니다.
특정 담당자 또는 담당 회사가 완전히 겸임하는 항목들이 있을 경우 <|n> 문법으로 해당 항목들의 우측 열 칸을 합쳐 정보를 하나의 칸에 표기합니다. 좌측 열 칸은 합치지 않으며, 좌측 열 겸임 항목의 순서 배치는 '영화 프로필 표 문법'의 순서를 따릅니다.
'프로필 표'는 해당 작품의 정보를 요약한 표를 말하며, 작성 시 본 문단의 규정을 따라야 합니다.
프로필 표는 문법상 목차 틀 상단에 위치해야 합니다.
드라마 관련 문서에서 프로필 표 작성 시 하단의 '드라마 프로필 표 문법'을 따라야 합니다. 템플릿:드라마 문서 참고.
||<-3><table align=center><table width=550><table bordercolor=#dddddd,#010101><bgcolor=#dddddd,#010101><table bgcolor=#ffffff,#2d2f34><table color=#373a3c,#dddddd> {{{#000000,#dddddd '''(방송사) 월화 / 수목 / 주말 / 아침 / 저녁 드라마[br]{{{+1 드라마 제목}}}''' (2018)[br]''원제''}}} ||
||<-3><bgcolor=#fff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빈 도서 이미지(2).png|width=100%]]}}} ||
||<-2><bgcolor=#dddddd,#010101> '''{{{#000000,#dddddd 장르}}}''' ||○○ ||
||<-2><bgcolor=#dddddd,#010101> '''{{{#000000,#dddddd 방송 시간}}}''' ||월 · 화 / 오후 10:00 ~ 오후 11:05 ||
||<-2><bgcolor=#dddddd,#010101> '''{{{#000000,#dddddd 방송 기간}}}''' ||20○○. ○○. ○○. ~ 20○○. ○○. ○○. ||
||<-2><bgcolor=#dddddd,#010101> '''{{{#000000,#dddddd 방송 횟수}}}''' ||○○부작 ||
||<-2><bgcolor=#dddddd,#010101> '''{{{#000000,#dddddd 제작}}}''' ||(제작사 또는 제작방송사의 드라마국) ||
||<-2><bgcolor=#dddddd,#010101> '''{{{#000000,#dddddd 채널}}}''' ||[[KBS 1TV|[[파일:KBS1.png|width=55]]]] | [[KBS 2TV|[[파일:KBS2.png|width=55]]]] | [[문화방송|[[파일:mbc.png|width=50]]]] | [[SBS|[[파일:SBS로고.png|width=50]]]] | [[JTBC|[[파일:JTBC.png|width=45]]]] | [[MBN|[[파일:mbn_logo.png|width=50]]]] | [[채널A|[[파일:channel_a_logo.png|width=40]]]] | [[TV조선|[[파일:TV CHOSUN LOGO.png|width=50]]]] | [[tvN|[[파일:tvN_logo.png|width=45]]]] | [[OCN|[[파일:OCN_LOGO.png|width=50]]]] | [[한국교육방송공사|[[파일:EBS_로고.png|width=55]]]] | [[NHK 종합|[[파일:NHK G 로고.png|width=45]]]] | [[일본방송협회|[[파일:100px-NHK_BS_Premium_logo.png|width=35]]]] | [[NHK 교육|[[파일:NHK E 로고.png|width=40]]]] | [[니혼 TV|[[파일:니혼 테레비 로고.png|width=40]]]] | [[TBS 테레비|[[파일:TBS 테레비 로고.png|width=45]]]] | [[후지 테레비|[[파일:후지 테레비 로고.png|width=40]]]] | [[TV 아사히|[[파일:TV 아사히 로고.png|width=50]]]] | [[TV 도쿄|[[파일:TV 도쿄 로고.png|width=55]]]] | [[요미우리 TV 방송|[[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Yomiuri_Telecasting_Corporation_Logo.svg.png|width=40]]]] | [[마이니치 방송|[[파일:attachment/마이니치 방송/MainichiBroadcastingSystemlogo.png|width=50]]]] | [[간사이TV|[[파일:Ktv_logo.png|width=65]]]] | [[아사히방송|[[파일:attachment/아사히 방송/asahi.jpg|width=60]]]] | [[TV 오사카|[[파일:Tv_osaka_logo_svg.png|width=70]]]] | [[파일:WOWOW_logo.png|width=75]]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Hulu_logo_flat.svg.png|width=45]] | [[아마존닷컴|[[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Amazon.co.jp_logo.svg.png|width=70]]]] | [[넷플릭스|[[파일:external/secure.netflix.com/logo-reg2x.png|width=60]]]] | [[ITV(영국)|[[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ITV_logo_2013.svg.png|width=45]]]] | [[BBC One|[[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BBC_One_logo.svg.png|width=65]]]] | [[ABC(미국 방송)|[[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New_abc_gold.svg.png|width=35]]]] | [[NBC(미국 방송)|[[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NBC_2014_Ident.svg.png|width=35]]]] | [[CBS(미국 방송)|[[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CBS_logo.svg.png|width=55]]]] | [[FOX(미국 방송)|[[파일:external/logok.org/FOX-TV-logo-880x660.png|width=60]]]] | [[The CW|[[파일:attachment/The CW/theCW-logo.png|width=50]]]] | [[PBS|[[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PBS_Logo.svg.png|width=60]]]] | [[HBO|[[파일:external/www.morehouse.edu/hbo_blue_logo.jpg|width=50]]]]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8-%D0%B9_%D0%BB%D0%BE%D0%B3%D0%BE%D1%82%D0%B8%D0%BF_%D0%A1%D0%A2%D0%A1.svg.png|width=50]] | [[카날 플뤼스|[[파일:external/futuramaplanet.free.fr/logo_canal.jpg|width=70]]]] | [[SHOW TIME|[[파일:SHOW TIME(미국 방송).png|width=70]]]] | [[디즈니+|[[파일:Disney+_logo.png|width=70]]]] ||
||<|3><width=8%><bgcolor=#dddddd,#010101> '''{{{#000000,#dddddd 제[br]작[br]진}}}''' ||<width=12%><bgcolor=#dddddd,#010101> '''{{{#000000,#dddddd 제작}}}''' ||(제작사의 제작 담당자 또는 방송사의 책임 프로듀서) ||
||<bgcolor=#dddddd,#010101> '''{{{#000000,#dddddd 연출}}}''' ||○○ ||
||<bgcolor=#dddddd,#010101> '''{{{#000000,#dddddd 극본/원작}}}''' ||○○ ||
||<-2><bgcolor=#dddddd,#010101> '''{{{#000000,#dddddd 출연}}}''' ||○○ ||
||<-2><bgcolor=#dddddd,#010101> '''{{{#000000,#dddddd 최초/국내/독점 스트리밍}}}''' ||(스트리밍 서비스사 이름) [[https://|▶]][* '▶'가 링크된 주소는 해당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작품이 방송되고 있는 주소로 기입합니다.] ||
||<-2><bgcolor=#dddddd,#010101> '''[[영상물 등급 제도|{{{#000000,#dddddd 시청 등급}}}]]''' ||<bgcolor=#1aa260>[[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2|[[파일:tvall.png|width=20]] {{{#ffffff 모든 연령 시청가}}}]] ||
||<-2><bgcolor=#dddddd,#010101> '''[[영상물 등급 제도|{{{#000000,#dddddd 시청 등급}}}]]''' ||<bgcolor=#2887c8>[[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2|[[파일:tv7.png|width=20]] {{{#ffffff 7세 이상 시청가}}}]] ||
||<-2><bgcolor=#dddddd,#010101> '''[[영상물 등급 제도|{{{#000000,#dddddd 시청 등급}}}]]''' ||<bgcolor=#4c8bf5>[[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2|[[파일:tv12.png|width=20]] {{{#ffffff 12세 이상 시청가}}}]] ||
||<-2><bgcolor=#dddddd,#010101> '''[[영상물 등급 제도|{{{#000000,#dddddd 시청 등급}}}]]''' ||<bgcolor=#ffce44>[[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2|[[파일:tv15.png|width=20]] {{{#ffffff 15세 이상 시청가}}}]] ||
||<-2><bgcolor=#dddddd,#010101> '''[[영상물 등급 제도|{{{#000000,#dddddd 시청 등급}}}]]''' ||<bgcolor=#de5246>[[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2|[[파일:tv19.png|width=20]] {{{#ffffff 19세 이상 시청가}}}]] ||
||<-2><bgcolor=#dddddd,#010101> '''[[영상물 등급 제도|{{{#000000,#dddddd 시청 등급}}}]]''' ||미정 ||
||<-2><bgcolor=#dddddd,#010101> '''{{{#000000,#dddddd 관련 사이트}}}''' ||[[링크 주소|공식 홈페이지]] | [[링크 주소|[[파일:external/s.pstatic.net/mobile_140122437464.png|width=24]] 네이버포스트]] | [[링크 주소|[[파일:트위터 아이콘.png|width=24]] 트위터]] | [[링크 주소|[[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인스타그램]] | [[링크 주소|[[파일:라인 아이콘.png|width=24]] 라인]] | [[링크 주소|[[파일:페이스북 아이콘.png|width=24]] 페이스북]] | [[링크 주소|[[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png|height=24]] 카카오스토리]] | [[링크 주소|[[파일:BANDico 6.x.png|width=24]] 밴드]] | [[링크 주소|[[파일:유튜브 아이콘.png|width=24]] 유튜브]] | [[링크 주소|[[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png|width=30]] 아프리카TV]] ||
}}}||
프로필 표에서 수정 가능한 부분은 별도로 설명된 부분을 제외하면 '색상 코드 수치', '제목 관련 문법', '대표 이미지 파일명', '대표 이미지 하단 우측 열에 들어갈 정보'에 한합니다.
대표 이미지 하단 우측 열의 정보를 기입하는 방식은 프로필 표의 서술 방식을 우선합니다.
제목과 대표 이미지 하단의 좌측 열은 중앙정렬, 우측 열은 좌측정렬을 유지합니다.
일부 항목의 정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당장 찾기 어려울 경우 제거하고 작성할 수 있습니다.
대표 이미지로 가로가 세로보다 긴 이미지를 사용했을 경우 표 너비를 550~700px 내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극본/원작' 항목의 경우 /로 구분된 항목명 분류 중 적합한 분류만 남기고 나머지 분류는 삭제합니다.
'최초/국내/독점 스트리밍' 항목은 아래 기준에 따라 작성해야 합니다.
작품이 해외 스트리밍 매체로 방송된다면 항목명을 '최초 스트리밍'으로 수정하고 처음으로 방송된 사이트 정보를 기입합니다. 이후 한국 스트리밍 매체로도 방송된다면 '최초 스트리밍' 항목에 한국에서 처음으로 방송된 사이트 정보를 기존에 기입한 사이트 정보 하단에 기입합니다. 이때 기존 사이트 정보와 한국 사이트 정보 앞에 국기 이미지를 붙여 사이트 국적을 구분합니다.
한국 사이트 정보밖에 없다면 항목명을 '국내 스트리밍'으로 수정하고 처음으로 방송된 한국 사이트 정보를 기입합니다.
스트리밍 서비스가 독점 판권으로 이루어진다면 항목명을 '독점 스트리밍'으로 수정하고 독점 판권을 보유한 사이트 정보를 기입합니다.
'최초 스트리밍', '국내 스트리밍', '독점 스트리밍' 항목 중 기준에 맞는 하나만 써야 합니다.
'시청 등급' 항목의 경우 해당 작품의 심의 등급과 맞는 항목만 남기고 삭제합니다. 모종의 이유로 같은 작품에서 심의 등급이 2개 이상으로 나뉠 경우 심의 등급을 기재하는 칸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한 후 각각의 등급을 기재합니다. 이때 각각의 등급 분류에 대해 주석으로 사유를 작성합니다.
특정 담당자 또는 담당 회사가 완전히 겸임하는 항목들이 있을 경우 <|n> 문법으로 해당 항목들의 우측 열 칸을 합쳐 정보를 하나의 칸에 표기합니다. 좌측 열 칸은 합치지 않으며, 좌측 열 겸임 항목의 순서 배치는 '드라마 프로필 표 문법'의 순서를 따릅니다.
템플릿:드라마의 프로필 표는 본 규정의 '드라마 프로필 표 문법'에 따라 작성해야 합니다.
역대 최종 보스의 계보에 관한 틀은 개요의 첫 부분의 정렬을 권장합니다. 단 타 작품에서 최종 보스를 하고 있거나 스포일러성 최종 보스라면 작중 행적 내용 사이에 정렬합니다.
위 규정은 최종 보스뿐만 아니라 주인공 및 서브 주인공을 비롯한 등장인물들과 역대 악의 세력과 괴인, 그리고 특촬물과 거대로봇물 계열의 강화폼과 그레이트합체, 강화바리에이션 및 후속기도 포함되며 특히 해당 강화폼/후속기체가 폼들과 바리에이션들을 모은 문서가 아닌 개별 문서로 존재하면 위 규정을 적용하면 됩니다.
VOCALOID 오리지널 곡은 동영상 사이트 및 기타 포털 사이트나 커뮤니티 사이트에 투고된 곡, 앨범 발매 및 음원 사이트에 등록되는 등, 모든 경로로 이용할 수 있는 악곡에 대해 VOCALOID를 최초 작곡 시 가수로 사용한 곡을 뜻합니다. 단, 24시간 내에 다른 버전과 동시 투고된 경우, 양쪽 모두 오리지널 곡으로 취급합니다.
위의 기준 외에 원작자의 명시적인 언급이 있는 경우, 그것을 우선적으로 따릅니다.
원작자의 어레인지나 커버는 그것 자체로 또 다른 오리지널로 간주합니다.
지적재산권이 소멸하지 않은 원저작물의 핵심요소나 표현방식을 저작권을 행사할 수 없는 타자가 모방하거나 인용하여 악곡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해당 악곡을 VOCALOID 오리지널 곡으로 간주하지 않습니다.
비투고곡의 경우 미디어 믹스에 나온 부분만을 중점적으로 서술합니다.
미디어 믹스로서 판매가 된 비투고곡은 스포일러 틀[[include(틀:스포일러)]]을 기재합니다.
나무위키는 공식적으로 특정 종교를 긍정도, 부정도 해서는 안 됩니다. 반대로 특정 종교에 반하는 입장 또는 모든 종교에 반하는 입장만을 나무위키의 공식적 입장으로 삼아서도 안 됩니다.
다음 내용은 인용 및 정보 전달의 차원에서 서술되어야 합니다.
특정 종교의 교리나 교전, 세계관, 신앙고백에 대한 서술은 중립을 지켜야 합니다. 나무위키는 특정 종교의 입장을 공식적인 입장으로 수용해서는 안 되며, 반대로 특정 종교의 입장을 공식적으로 배척해서도 안 됩니다.
신(神) 존재 증명 관련 서술, 특정 종교의 신론(神論), 신관(神觀), 신학(神學)에 대한 서술은 중립을 지켜야 합니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나무위키는 특정 종교의 입장을 공식적인 입장으로 수용해서는 안 되며, 반대로 특정 종교의 입장을 공식적으로 배척해서도 안 됩니다.
신에 대한 믿음, 신앙의 가치, 반신론에 대한 서술은 중립을 지켜야 합니다. 반신론(anti-theism)은 신에 대한 관념 자체를 공격하는 의견을 말합니다. 나무위키는 반신론자를 배척해서는 안 되며, 반대로 반신론을 공식적인 입장으로 삼아 종교인들을 배척해서도 안 됩니다. 나무위키는 기본적으로 세속국가인 대한민국의 이용자들을 위한 위키이며 세속적(secular)인 관점을 취합니다. 이는 반신론과는 다른 것입니다.
종교의 사회적 가치, 반종교에 대한 서술은 중립을 지켜야 합니다. 반종교(anti-religion)는 종교 그 자체를 무가치하다고 생각하는 의견을 말합니다. 나무위키는 반종교론자를 배척해서는 안 되며, 반대로 반종교론을 공식적인 입장으로 삼아 종교인들을 배척해서도 안 됩니다. 나무위키는 기본적으로 비종교(Irreligion)적인 입장을 취합니다. 이는 반종교와는 다른 것입니다.
학과 문서가 아직 작성되지 않은 경우에 한해 학문 문서에 임시로 취업/진로 관련 내용을 덧붙여 쓸 수 있습니다. 다만, 학문 문서에 취업/진로 내용이 있는 것에 대해 이의가 제기될 경우 해당 내용을 학문 문서에서 삭제하고 학과 문서로 옮겨야 합니다. 분쟁을 예방하기 위해 학문 문서에 덧붙여 쓴 취업/진로 내용은 토막글 수준을 넘어서면 학과 문서로 분리하기를 권장합니다.
서바이벌 프로그램 출연자 간의 성적을 비교 및 나열하는 서술[38], 서바이벌 프로그램 출연과 다른 프로그램 출연을 관련짓는 근거 없는 추측성 서술[39]은 금지합니다.
[31] 앨범 발매 이전까지의 판매량[32]신나라레코드, 지마켓 등[33] 특정 업체의 일자별 예약 판매량을 정리한 표, 또는 'A 업체 기준 X일 차만에 지난 앨범의 총 예약 판매량을 넘어섰다.', 'B 업체의 예약 판매량 추이를 보았을 때, 팬덤 유입이 크게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와 같은 서술 등[34] 앨범 발매 후 일주일 동안의 판매량[35] 앨범 발매 후 현재까지의 판매량[36] 출고량 기준[37] 실판매량 기준[38] '모 서바이벌 프로그램의 출연자였던 A와 B의 리턴 매치', '모 서바이벌 프로그램 출연자 중에서 A가 첫 번째로 음악 방송 1위를 달성하였다. 두 번째로 음악 방송 1위를 달성한 것은 B.' 등의 서술[39] 'A 그룹이 모 서바이벌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바람에 C 방송사로부터 출연 유예를 당했다', 'A 그룹이 모 서바이벌 프로그램에 참여했음에도 C 방송사의 프로그램에 출연했다' 등의 서술
아이돌 팬덤 문서에서 타 팬덤과의 관계에 대한 서술의 경우 팬덤 간에 일어난 사건에 대한 객관적 사실만을 서술할 수 있습니다.
오프라인에서 발생한 팬덤 간의 사건을 팬덤 문서 내에 서술하기 위해서는 다음 중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합니다.
제도권 언론에 보도된 경우 등재 가능합니다.
2개 이상의 대형 인터넷 커뮤니티 또는 SNS에서 5일 이상 지속적[40], 또는 2회 이상 반복적[41]으로 화제가 된 경우 등재 가능합니다.
화제의 의미는, 커뮤니티 가입 날짜가 3개월 이상이 된 로그인 유저 15명 이상이 해당 주제에 게시글과 댓글을 작성하여 참여하였음을 뜻합니다.
디시인사이드와 같이 유동 아이피 비로그인으로 참여가 가능하며 IP 등의 식별수단이 있는 커뮤니티의 경우, 로그인 유저와 비로그인 유저를 합쳐 25명 이상이 참여하여 게시글과 댓글을 작성한 경우 또한 화제가 된 경우로 포함할 수 있습니다.
더쿠 등과 같이 식별수단이 없는 커뮤니티의 경우 관련 내용이 언급된 게시물이 30개 이상 존재할 경우 화제가 된 경우로 포함할 수 있습니다.
트위터 등 SNS의 경우에는 각 SNS별 실시간 검색어 순위에 올라간 적이 있거나 20인 이상의 유저가 관련 글 또는 댓글을 작성한 경우 화제가 된 경우에 포함 할 수 있습니다.
디시인사이드와 같이 본 커뮤니티와 산하 게시판 형식으로 운영되는 커뮤니티일 경우에는, 여러 게시판에서 화제가 되었더라도 화제가 된 커뮤니티는 하나로 간주합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발생한 팬덤 간의 사건을 팬덤 문서 내에 서술하기 위해서는 다음 중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합니다.
제도권 언론에 보도된 경우 서술 가능합니다.
3개 이상의 대형 인터넷 커뮤니티 또는 SNS에서 1주일 이상 지속적[42], 또는 3회 이상 반복적[43]으로 화제가 된 경우 등재 가능합니다.
화제의 의미는, 커뮤니티 가입 날짜가 3개월 이상이 된 로그인 유저 20명 이상이 해당 주제에 게시글과 댓글을 작성하여 작성하여 참여하였음을 뜻합니다.
디시인사이드와 같이 유동 아이피 비로그인으로 참여가 가능하며 IP 등의 식별수단이 있는 커뮤니티의 경우, 로그인 유저 비로그인 유저를 합쳐 40명 이상이 참여하여 게시글과 댓글을 작성하면 화제가 된 커뮤니티로 포함할 수 있습니다.
더쿠 등과 같이 식별수단이 없는 커뮤니티의 경우 하루에 관련 내용이 언급된 게시물이 40개 이상 존재할 경우 화제가 된 경우로 포함할 수 있습니다.
단, 이 경우 식별수단이 없는 커뮤니티를 포함하기 위해서는 화제가 된 기간 내의 관련 게시글 중 댓글이 40개 이상인 게시글이 존재해야 합니다.
트위터 등 SNS의 경우에는 하루에 25인 이상의 유저가 관련 글 또는 댓글을 작성한 경우 화제가 된 경우에 포함할 수 있습니다.
단, 이 경우 SNS를 포함하기 위해서는 화제가 된 기간중 한 번 이상 각 SNS별 실시간 검색어 순위에 올라간 적이 있어야 합니다.
디시인사이드와 같이 본 커뮤니티와 산하 게시판 형식으로 운영되는 커뮤니티일 경우에는, 여러 게시판에서 화제가 되었더라도 화제가 된 커뮤니티는 하나로 간주합니다.
사건에 대한 편파적이거나 신문고성 요소가 있는 주관적인 서술은 할 수 없습니다.
위 항목은 소급 적용되지만, 본 규정 발효 시점 이전에 개별 문서로 분리된 두 개 이상 팬덤 간의 사건사고에 대해서는 소급 적용하지 않습니다.
아이돌 팬덤의 예시 목록에는 정황상 팬이라고 인정될 수 있는 경우[44]에만 서술할 수 있습니다.
[40] 5일 동안 연속적으로 화제가 된 경우[41] 화제가 된 날과 그 다음 화제가 된 날의 간격이 1주일 이상 떨어져 있고 각 화제가 된 기간이 2일 이상인 경우[42] 5일 동안 연속적으로 화제가 된 경우[43] 화제가 된 날과 그 다음 화제가 된 날의 간격이 1주일 이상 떨어져 있고 각 화제가 된 기간이 2일 이상인 경우[44] 명백히 팬이라고 언급한 경우 또는 공식 팬클럽/카페 회원임을 인증하는 경우 및 이에 준하는 경우가 해당됩니다.
각 멤버 문서 상단에 위치한 멤버 둘러보기 틀 문서에는 각 멤버의 개인 상징색을 적용하지 않습니다.
각 멤버 문서 상단에 위치한 소개틀에 사용하는 대표 사진은 최근 한국과 일본 양국에서 발매되는 미니/정규앨범의 티저 사진 중 가장 대표성 있는 이미지를 사용하며, 다음 앨범의 티저 발표까지 이를 유지합니다.
각 멤버 문서 상단에 위치한 소개틀에 사용하는 틀 색상(이하 소개틀의 색상)은 '최근 앨범' 콘셉트에 맞춘 색상으로 정하고 각 멤버 문서에 동일하게 적용하며, 대표 사진과 같은 기간동안 유지합니다.
멤버 모두의 티저 사진에 각 멤버의 개인 상징색이 구현된 복장이나 소품이 포함되는 경우(예: 사진1, 사진2)에 한해 소개틀의 색상으로 개인 상징색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단, 멤버 일부의 티저 사진에만 개인 상징색이 구현된 복장이나 소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소개틀의 색상은 해당 앨범 콘셉트에 따릅니다.
소개틀의 색상은 앨범 콘셉트나 개인 상징색 어느 것으로든 정해지면 각 멤버 문서에 일괄적으로 적용합니다. 즉 일부 멤버 문서의 소개틀은 앨범 콘셉트, 나머지는 개인 상징색으로 색상을 정할 수 없습니다.
이 합의안은 IZ*ONE 활동이 종료될 때까지 유효하며, 활동이 종료되면 이 규정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45] 본 규정은 한국인이 대다수인 나무위키에서 불필요한 정치적인 논쟁, 악성 프로파간다를 방지하는 취지에서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불필요한 정치적 논쟁, 악성 프로파간다의 문제가 적은 대한민국 외 정치인, 연예인은 해당하지 않습니다.[46] 공식홈페이지에 게시되거나, 언론이나 방송에서 해당 기획사의 소속임이 사실로 밝혀진 적이 있는 경우.[47] 전현직 MC, 개그맨, 영화배우, 가수, 방송연예인, 탤런트, 모델, 연극배우, 뮤지컬배우, 게임캐스터, 게임해설가, 치어리더, 레이싱모델.
'성격, 가치관, 미래 예측'과 관계없는 개인정보[48]를 바탕으로 한 주술적 내용[49]의 기재는 허용하지 않습니다.
단, 해당 주술적 내용이 단순 개인정보 이상의 영향을 미쳤다면[50], 기타(트리비아, 여담) 문단에 한해 허용합니다.
가상인물은 공식 설정에서 언급된 내용인 경우, 프로필표에서 허용됩니다.
각종 미신 및 초자연적인 주장을 사실이라 단정하거나 그럴지도 모른다고 추측하는 경우, 서술에 대한 출처나 근거가 필요합니다. 이런 근거 없이 해당 주장을 서술한 경우, 토론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해당하는 주장을 긍정하는 개인 및 단체의 해당 활동에 대해서는 중립적인 관점, 정보제공의 관점에서만 서술해야 합니다.
각종 종교단체들의 초자연적 세계관 및 주장에 대해서는 나무위키 편집지침의 종교 관련 지침에 따릅니다.
[48] 예: 생년월일, 나이, 혈액형, 이름의 뜻 풀이, 성별 등.[49] 예: 별자리(탄생좌), 지지(탄생년), 탄생석, 탄생 색, 탄생화, 탄생목, 탄생성, 탄생주, 탄생수, 탄생수호신 등. 예2: 혈액형은 혈액형이 어느것이다 자체는 허용되지만, 혈액형을 근거로 혈액형 성격설과 연관 짓는 서술은 금지합니다.[50] 예: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한 것과 다르단 설정이 있음, 해당 인물이 해당 주술적 내용에 대해 중요하게 언급하였음, 특정 주술적 내용으로 인해 해당 인물에게 이익/손해가 생김, 역사적으로 당대에 해당 주술적 내용을 중요하게 여겼음 등.
[53] 적용되지 않은 문서는 작성된 내용이 토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54] 해당 리버전에는 학생회, 동아리 문단이 있지만, 소급적용된 교내 학생 단체 작성금지 규정에 따라 서술이 불가능합니다.[55] 구성원의 대부분이 재학생인 단체로, 동아리나 학생회 등을 포함합니다.[56]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도 포함합니다.
단, 대학교 서열화라는 사회 현상 자체에 대한 문서, SKY(대학교) 문서는 예외적으로 작성을 허용하며, 이 두 경우에도 문서 내에 있는 학교 간의 우열이나 서열을 비교하는 내용의 서술은 금지합니다.
단, 대학평가기관[58]이 발표한 순위, 등급 등의 평가 결과 소개는 허용합니다. 그러나 그 경우에도 불가피한 사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타 학교에 대한 언급은 금지합니다.[59] 또한, 해당 서술은 평가 결과 소개에 그쳐야 하며, 서술자의 주관적인 평을 덧붙여서는 안 됩니다.[60]
학교 내의 특정 학생·교직원에 대해서는 인물 등재 기준을 만족시키는 경우에만 서술할 수 있습니다.
학교 명칭의 리다이렉트는 통상적인 줄임말, 공식 영문 약칭, 언론에도 사용될 만큼 인지도 있는 약어까지만 허용합니다.
학교 내의 특정 학생·교직원에 대해서는 인물 등재 기준을 만족시키는 경우에만 서술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외부에 존재하는 학교 내의 시설 및 그에 대한 정보는 다음 조건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해야 서술할 수 있습니다.
교과서, 언론, 학교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경우
학생이나 교원이 거주하기 위한 용도로 쓰이는 시설의 내부에 관한 정보가 아닌 경우
[57] 예: (A대학, B대학, C대학이) 탑3다, 탑5다, 업계에서 인정받는 대학이다, A대학보다 낫다, B대학이 강세이다, 학교 이름의 첫 글자를 따서 몇 개씩 묶어 부르는 행위 등[58] 예: 중앙일보 대학평가, 정부의 대학구조개혁평가 등.[59] 예: 다른 학교의 순위를 같이 언급하며, 학교 간 순위를 비교하는 서술 등.[60] 예: 대학평가기관이 발표한 순위를 소개한 뒤, '따라서 A대학은 삼류 대학이다', '따라서 A대학이 B대학보다 낫다고 할 수 있다.', 'A대학, B대학, C대학을 탑3로 보면 된다.' 등의 평을 덧붙이는 행위.[61] 예를 들어 2층에는 사감실, 3층에는 남학생 숙소가 있다. 의 서술이 가능합니다.[62] 예를 들어 한 방은 4명의 구성으로 배정되며, 내부에는 2층 침대와 책걸상, 출입문 쪽으로 화장실이 있다. 의 서술이 가능합니다.[63] 예를 들어 층별로 냉장고, 전자레인지, 세탁실, 공용 화장실, 건조실이 하나씩 위치해있다. 의 서술이 가능합니다.
개별 공동 주택의 명칭은 대연혁신지구 문서와 같이 토론에 의한 별도의 합의가 없는 한 기본적으로 건축물대장에 등재된 명칭으로 합니다. 그러나 동일한 사업[64]으로 건설되었거나 동일한 입주자대표회의 또는 관리 시스템을 공유하는 공동 주택의 경우 하나의 공동 주택으로 취급합니다.
관련 문서에는 기본 정보[65] 및 위키문법을 제외한 내용을 500자 이상 작성해야 합니다.
[67] 이때 역사의 다름을 결정하는 기준은 주소로 정합니다.[68] 단, 해당 조건에서 각 역사를 운영하는 운영주체들이 전부 해당 역사를 환승역으로 취급한다면 문서는 통합 작성합니다. 즉, 운영주체 중 하나라도 환승역이 아닌 것으로 취급한다면 문서는 분리 작성 합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리그 관련 문서들은 현재 진행형 틀이 달려 실시간으로 수정되므로, 기본적으로 라이브 방송 도중에는 취소선과 볼드체가 난립하는 것을 허용하되, 해당 경기가 끝난 뒤에 취합하여 사후 수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또한 수정 근거는 편집지침, 나무위키 가독성 프로젝트의 제안 등에 따라 문서의 가독성 및 모바일 편의성을 우선시합니다.
각 항목별 취소선 드립의 최대량은 4개로 제한합니다.(경기 전 예상, 각 세트별 분석, 결과 정리 및 총평 등에 모두 공평하게 제한)
댓글성 대화체 드립 및 물음표형 드립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본문으로 넣을 수 있는 취소선 드립은 본문으로 평문화하여 넣습니다.
각주로 분리할 수 있는 취소선 드립은 각주로 평문화하여 넣습니다.
해설진들의 주요 멘트를 취소선 드립으로 인용할 경우, 롤 관련 데이터베이스 사이트에서 인용되었거나 팬덤에서 개념글로 올라가는 등 나무위키 외부적으로 팬덤에서 최소한의 인정을 받은 경우를 우선시합니다.
LCK의 정규시즌 순위표 틀에서는 아래와 같은 규정을 따라야 합니다.
어떤 팀의 특정 순위 이상 또는 이하가 확정된 경우 해당 팀의 행을 다음과 같이 칠합니다.
1위 확정 시 #eeccee, 2위 이상 확정 시 #aaddff, 3위 이상 확정 시 #97ecab, 5위 이상 확정 시 #ccffcc, 8위 이상 확정 시 #ffff99, 9위 이하 확정 시 #ffcccc 색을 칠합니다.
스마트 디바이스 등재 기준에 의해 기기가 공개되지 않아도 문서 생성이 조건 부로 허용될 수 있습니다.
단, 기기가 형제 모델 제품군으로 나올 것이라 추정될 경우 기기 각각의 문서를 개설하지 않고 단일 문서에서 다룹니다.
문서 작성 허용 시기는 기기가 공개될 것으로 추정되는 X월의 1일을 기점으로 5 달 전부터 자동으로 허용합니다.[77] 단, 틀:미공개 스마트 디바이스를 상황에 상관 없이 기기가 공개되지 않았다면 반드시 상단에 부착하여야 합니다.
문서가 개설된 이후, 공개 전 루머를 기록할 때 필수적으로 출처 URL을 년/월/일까지 명확하게 명기하고 출처 URL을 링크로 첨부한 뒤에 해당 루머에 대해 간단히 서술합니다.
해당 기기가 실제로 공개될 시, [[(기기 정식 발매명)/공개 전 루머]]로 문서를 이동 혹은 분리합니다.
해당 기기가 실제로 공개되지 않을 시, 한국 시각 기준으로 다음 달 1일에 문서를 삭제합니다.[78]
문서가 삭제될 경우 재개설은 1개월이 지난 시점부터 가능합니다. 단, 이 경우에도 문서 작성 허용 시기를 충족해야 작성이 허용됩니다.[79]
재개설 불가 기간 내에 기기가 공개되어 등재 기준을 충족할 경우 그 즉시 문서 개설이 가능합니다.
이때 기존 내역은 [[(기기 정식 발매명)/공개 전 루머]]로 문서를 이동 혹은 분리합니다.
[77] (예시) '아이폰 N'이 201X년 9월 중에 공개가 될 것으로 추정. → 201X년 9월 1일을 기준으로 5 달 전 날짜인 201X년 4월 1일부터 작성이 허용됩니다.[78] (예시) '아이폰 N'이 201X년 9월 중에 공개가 될 것으로 추정. → 201X년 9월 1일을 기준으로 5 달 전 날짜인 201X년 4월 1일부터 문서 작성 허용. → 201X년 9월 30일이 지나도 기기 공개가 이루어지지 않음. → 한국 시각 201X년 10월 1일 0시를 기점으로 문서는 일괄 삭제.[79] (예시) '아이폰 N'이 201X년 9월 중에 공개가 될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공개되지 않아 한국 시각 201X년 10월 1일 0시에 삭제됨. → 한국 시각 201X년 11월 1일 0시부터 재개설이 가능함.
각 영역에 들어가는 명칭은 제조사 명칭을 제외한 기기의 정식 발매명(이하 '공식 명칭')으로 합니다.
대체가 가능한 공식 명칭이 존재할 경우 별도의 토론을 통해 등재할 명칭을 정할 수 있습니다.[80]
제조사의 공식 명칭이 길 경우, 축약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별도로 제조사가 공식적으로 사용한 축약어(이하 '공식 축약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공개 이후 4주의 기간(이하 '유예 기간')을 지난 시점부터 제조사에서 사용하지 않은 축약어(이하 '비공식 축약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유예 기간에는 공식 명칭이나 공식 축약어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비공식 축약어를 사용되고 있던 틀에 새로운 기기가 추가될 경우에도 유예 기간을 거쳐야 합니다.
단, 비공식 축약어를 사용하고 있던 틀에서 축약 시 브랜드 명칭을 제외하는 것이 포함될 때와 새로운 기기의 수식어가 기존 기기의 수식어와 동일하며 기존 기기가 있는 틀에 새로운 기기를 추가할 때에 한정해 브랜드 명칭을 제외하고 수식어를 축약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제조사와 브랜드가 다르고 동일한 둘러보기 틀이 아니라면 적용되지 않습니다.
비공식 축약어 사용으로 인한 분쟁 발생 시 토론이 발제될 경우 공식 명칭 혹은 공식 축약어로 서술 고정을 합니다.
명칭 사용과 관련된 토론이 발제됐을 때 공식 명칭과 공식 축약어가 모두 신규 서술인 경우, 제조사 공식 채널[81]에서 사용되는 명칭으로 서술을 고정합니다.
단, 제조사 명칭이 포함될 경우 제조사 명칭은 제외합니다.
한국 시장에 출시되었거나 출시될 예정임이 확실한 기기이고 제조사의 한국 공식 사이트가 있을 경우 해당 페이지를 따릅니다. 없을 경우 영문 페이지를 따르며 이마저도 없을 경우 제조사의 국적 국가의 페이지를 우선합니다.
틀의 하단 영역 분할은 1행에 최대 6열까지만 가능합니다. 단, 각 열의 너비를 같은 크기로 분할해야 합니다.[82]
정보 전달은 분류된 틀 내에서 단 한 번의 추가 분류만 허용하며, 분쟁이 발생할 경우 별도의 토론을 진행해서 정해야 합니다.
기본 : 기본 카메라, 제조사 기준 '광각'이라 표기되었거나 별도의 표기가 없고 실질적인 메인 카메라의 역할을 하는 렌즈
광각 : 광각 카메라, 제조사 기준 '광각' 내지 '초광각'이라 표기되었거나 실질적인 메인 카메라와는 별개로 존재하는 렌즈
망원 : 망원 카메라, 제조사 기준 '망원'이라 표기되어진 렌즈
심도 : ToF 센서, 3D Depth, 일반적인 심도 측정 목적 등 촬영에 직접적으로 사용되어지지 않고 심도 측정을 목적으로 하는 렌즈
컬러 : RGB 컬러 카메라. 제조사 기준으로 RGB 렌즈와 흑백 모노크롬 렌즈로 구분되었을 경우 전자에 해당.
흑백 : 흑백 모노크롬 카메라. 제조사 기준으로 RGB 렌즈와 흑백 모노크롬 렌즈로 구분되었을 경우 후자에 해당.
위 6가지 항목 이외의 경우로 특수하게 탑재되었을 경우 개인 기여 자격으로 적당한 용어를 선택합니다. 문제가 발생했을 시 각 문서의 토론을 통해 용어를 합의합니다.
제조사가 화각에 대한 표기를 별도로 했다면 이를 사양표에 기재할 것을 권장합니다.
구체적인 수치를 명시하지 않았다면 기재할 수 없습니다.
각 렌즈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상세 문단에서 표기합니다.
[80]LG Q8(2018), 갤럭시 A8 2018 에디션 등이 Q Stylus, 갤럭시 A8⑧ 등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81] 공식 사이트, 고객지원 사이트, 공식 블로그, 보도자료 등이 해당됩니다.[82] 예를 들어, 하위 영역이 4열로 되어있으면 각 영역 최상단에 <width=25%>를 삽입해야하고 5열이면 <width=20%>, 6열이면 <width=16.7%>을 삽입합니다.[83] 예를 들어, '스마트폰 X'이라는 기기가 공개 전 기기로 문서가 개설되었을 경우, ~~[[스마트폰 X]]~~와 같이 표기합니다.
전자 기기가 지원하는 micro SD 카드 규격을 표기할 때, micro SDXC 규격을 지원하는 경우 표기를 다음과 같이 합니다.
해당 규격은 SD 카드의 규격을 제정하는 SD 카드 협회의 공식 자료에 의해, 최대 2 TB까지 지원합니다. 하지만, 제조사 공식 사이트 표기에는 이보다 적은 규격을 지원한다 표기하는 경우도 존재하므로, micro SDXC (규격 상 2 TB, ??? GB 공식 지원)이라 표기합니다.
???는 제조사 공식 사이트에 나온 최대 지원 용량을 표기합니다. ex) 64 GB, 128 GB, 200 GB 등
제조사 공식 사이트에서 2 TB 지원이라 표기된 경우, micro SDXC (2 TB 공식 지원)이라 표기합니다.
총기 관련 문서의 제목은 군용 제식 명칭 혹은 제품 명칭만을 선택하여 간결하게 정하는 것을 우선시합니다.
동명의 다른 개념에 관한 문서 혹은 동명의 다른 총기에 관한 문서가 복수로 존재할 경우 제식·제품명 뒤에 총기의 분류를 표기하여 문서의 제목이 구별되도록 정할 수 있다.[86]
제품명만으로 표기하기에 부적절한 경우,[87] 개발·제조회사 혹은 단체명과 제식·제품명의 병행 표기가 널리 인정되는 경우[88]에는 개발·제조에 관련된 회사·단체명을 제식·제품명 앞에 표기할 수 있다. 회사·단체명은 한글로 표기하는 것을 지향하나, FN, H&K, S&W 등과 같이 널리 통용되는 공식 영문약자가 있는 경우는 약자를 우선시합니다.
다만 총기의 개발 주체가 분명하지 않거나 명칭이 변경된 경우, 주요 제조회사가 복수로 변경된 경우 개발·제조에 관련된 회사·단체명을 제거합니다.
파생형이 많은 총기는 특별한 저명성이나 특기할만한 서술 내용이 많지 않으면 해당 총기의 파생형에 관한 하위 문서을 생성하여 기술합니다.
2101년 ~ 3000년(22세기~30세기)에 해당하는 내용은, 각 세기(22세기, 23세기, ...) 문서 또는 제3천년기 문서에 서술하며 3001년(31세기) 이후에 해당하는 내용은 제4천년기 이후 문서에 서술해야 합니다.
다만, 특정 연도에 대한 내용이 길어져 항목을 분리해야 할 경우 토론으로 합의할 경우 단일 연도 문서를 만들 수 있습니다.
다음 연도에 대한 카운트다운은 반드시 목차 바로 위에만 작성해야 하며, 형식은 '''20xx년까지 앞으로 [dday(20xx-01-01)]일'''과 같이 합니다. 단, 남은 날짜뿐만 아니라 남은 시간까지 계산해주는 문법이 개발될 경우, 해당 문법으로 dday 문법을 대체할 수 있습니다.
[86]K2 소총 등과 같은 사례.[87]글록(Glock)의 권총처럼 숫자만으로 이루어진 제품명을 가진 경우 등을 말함.[88]FN FAL 등과 같은 사례.[89] 이하의 단위 명칭은 국가표준기본법 및 계량법 시행령의 표기를 그대로 옮겼습니다.[90] 평면각(라디안/rad), 입체각(스테라디안/sr), 진동수, 주파수(헤르츠/Hz), 힘(뉴턴/N), 압력, 응력(파스칼/Pa), 에너지, 일, 열량(줄/J), 일률, 동력, 전력, 방사선속, 복사선속(와트/W), 전하, 전자량(쿨롬/C), 전위차, 전압, 기전력(볼트/V), 전기용량, 정전용량(패럿/F), 전기저항(옴/Ω), 컨덕턴스(전기전도율)(지멘스/S), 자기선속(웨버/Wb), 자기선속밀도(테슬라/T), 인덕턴스(유도계수)(헨리/H), 섭씨온도(섭씨도/℃), 광선속(루멘/lm), 조도, 광도, 조명도(럭스/lx), (방사성 핵종의) 방사능(베크렐/Bq), 흡수선량(단위 질량당 흡수된 방사성 에너지), 커마(단위 질량당 흡수된 전하입자의 운동에너지)(그레이/Gy), 선량당량(인체의 방사선 흡수선량), 주변선량당량, 방향선량당량, 개인선량당량(시버트/Sv), 촉매활성도(카탈/kat)[91] 분(시간), 시, 일, 도(각도), 분(각도), 초(각도), 헥타르, 리터, 톤, 전자볼트, 네퍼, 벨, 데시벨[92] 푸아즈(P), 스토크스(St), 에르스텟(Oe), 스틸브(sb), 포트(ph), 갈(Gal), 다인(dyn), 에르그(erg), 가우스(G), 맥스웰(Mx)[93] 퀴리(Ci), 뢴트겐(R), 래드(rad), 렘(rem), X단위, 잰스키(jy), 페르미, 캐럿(ct), 토르(torr), 표준기압(atm), 칼로리(cal), 해리(M), 노트(kn), 바(bar), 옹스트롬(Å)[94] 수은주밀리미터(mmHg, 의료용 한정), 배럴(bbl, 원유 거래 한정)[95]사용방법[96] 예: 척관법(평, 돈, 근, 리 등), 야드파운드법(야드, 파운드, 인치, 피트, 마일 등), 한국식 '세는나이' 등[97] 예: 쇠고기 1근(600g)[98] 단, 이 경우에도 알기 쉽게 서력기원은 표기해 주어야 합니다. 예: 연호 XX년(yyyy년)[99] 만 나이를 쓰는 경우, 율리우스력을 쓰던 시대와 지역(예: 근대 이전 서유럽)의 인물은 율리우스력을, 율리우스력을 쓰지 않고 바로 그레고리력을 받아들인 지역(예: 당시에는 음력으로 날짜를 표기하였으며, 후대에 그레고리력으로 환산한 양력 날짜를 쓰는 동아시아)의 인물은 그레고리력을 기준으로 합니다.[100] 국가나 시대에 따라 그 단위의 크기가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역사 사료에서 나오는 도량형으로 표시된 수치들을 일률적으로 현대의 도량형(예: 1척=30.3 cm)으로 환산하기는 어렵습니다.[101] 예: 항공관제에서의 피트, 화면(TV, 모니터)의 크기를 나타내는 인치, 골프에서의 야드
등재기준을 충족하지않는 지진들 중 아래 대범주 내의 소범주를 하나라도 만족하는 경우 일어난 장소에 따라 지진/대한민국/현황 또는 지진/해외에서만 서술할 수 있습니다.
지진의 강도
대한민국 내 및 대한민국 인근 공해 포함 해역의 경우 모멘트 규모 2.5 이상, 그 밖의 해외의 경우 모멘트 규모 4.0 이상의 지진
최대진도가 수정 메르칼리 진도 V(Moderate) / 일본기상청 진도 4 이상인 지진
관심
과학적, 시사적으로 중대한 의미가 있는 지진이거나 역사적으로 큰 영향을 끼친 지진
[104] 대상에는 국가원수, 정부수반 및 내각(행정부)의 각료, 의회의장(양원제,다원제의 경우 모두 포함), 최고 법원장이 포함됩니다.[105] 계보가 이어지는 국가, 내각제 국가의 총리 틀 문서와 대통령 틀 문서, 군주제 국가의 경우 국왕과 국가원수(총리 및 대통령)[106] 태극기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상징하는 문장이 아니며, 국회 문장 또한 국무총리를 상징할 수 없습니다.[107] 대한제국의 이화문, 일본 쇼군이나 덴노의 가몬(일본), 청의 황룡기, 유럽왕실의 문장 등[108] 예: 제22·24대.[109] 예: 제23대(3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