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2 11:16:33

농민 데니스


1. 개요2. 장면3. 패러디

1. 개요

Dennis the Peasant.

영국의 코미디 영화 몬티 파이튼의 성배에 나오는 등장인물 중 하나. 마이클 페일린이 연기했고, 그의 어머니는 테리 존스가 연기했다.

중세 시대 농민 주제에 아나르코-생디칼리스트다.[1][2] 농노라는 번역이 널리 퍼졌지만 사실 데니스는 농노가 아니다. 그는 영주 같은 상전에게 종속된 농민이 아닌 자작농이다. Peasant는 자유민 소작농과 비자유민 농노, 그리고 명목상으로는 소작농이지만 소작지에 대한 대부분의 권리를 구입한 사실상의 자작농까지 포괄하는 단어다.

평소에는 흙을 파서 먹는 찢어지게 가난한 농민이지만 정치적 의식만큼은 엄청나게 깨어 있다. 마치 현대에도 있음직한 사회 문제를 들먹이면서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그의 어머니는 왜인지 다 흘려듣는다.[3] 거기에다가 대담하게도 왕권을 주장하던 지나가던 아서 왕에게 신랄한 비판을 마지않는다.

2. 장면

아서왕 : 늙은 여인이여!
Old woman!

데니스 : 남자요!
Man!

아서왕 : 사내였군, 미안하네. 저 위 성엔 어떤 기사가 살지?
Man, sorry. What knight lives in that castle, over there?

데니스 : 서른일곱이에요!
I'm thirty seven!

아서왕 : 난- 뭐라고?
I- what?

데니스 : 난 서른일곱 살이라고요, 그렇게 안 늙었어!
I'm thirty seven, I'm not old!

아서왕 : 아니, 그냥 "남자"라고 심심하게 부를 수는 없잖나.
Well, I can't just call you "man".

데니스 : 왜 "데니스"라고는 안 불러요?
Well, you can say "Dennis".

아서왕 : 자네 이름이 데니스인지 어떻게 아는가?
I didn't know you were called Dennis.

데니스 : 알려고도 안 했잖수, 안 그래?
Well, you didn't even bother to find out, did you?

아서왕 : 늙은 여인이라고 부른 건 사과하겠네만, 그래도 뒤에서 보면 꼭...
I did said sorry about the old woman, but from behind you look-

데니스 : 내가 불만인 건 당신이 날 자연스럽게 아랫사람 취급하는 거요.
What I object you is that you automatically treat me like an inferior.

아서왕 : 그야 난 왕이니까!
Well I am king!

데니스 : 아, 왕이라. 그거 멋지군. 그 왕이란 자리는 어떻게 얻으셨수, 응? 우리 사회의 경제사회적 불평등을 영속시키는 낡아빠진 제국주의 도그마에 따라 노동자를 "또" 착취해서 얻었겠지! 이 세상에 진보라는 게 있다면...
Oh king, eh, very nice. And how'd you get that, eh? By exploiting the workers! By hanging on to the outdated imperialist dogma which perpetuates the economic and social differences in our society. If there's ever gonna be any progress, we should-

어머니 : 데니스! 저 밑에 썩 괜찮은 진흙이 있단다! (아서 왕을 보고) 안녕하세요?
Dennis! There's some lovely filth down here! Oh, how do you do?

아서왕 : 안녕하시오, 부인. 난 브리튼인의 왕 아서요. 저 성에 누가 사는 거요?
How do you do, good lady. I am Arthur, King of the Britons, who's castle is that?

어머니 : 누구의 왕이요?
King of the who?

아서왕 : 브리튼인.
The Britons.

어머니 : 브리튼인이 누군데요?[4][5]
Who're the Britons?

아서왕 : 우리 모두 브리튼인이오. 그리고 난 그대들의 왕이고.
Well we all are, We're all Britons, and I am your King.

어머니 : 난 우리에게 왕이 있는 줄도 몰랐는데요. 우리는 자치공동체인 줄 알았는데.
I didn't know we had a king. I thought we were an autonomous collective.

데니스 : 엄만 스스로를 속이고 있어요. 우린 독재 치하에서 살고 있단 말이에요. 자기영속하는 전제정 하에서 노동자 계급은...
You're fooling yourself. We're living in a dictatorship. A self-perpetuating autocracy and which in the working classes-

어머니 : (말을 끊으며) 아, 그 계급 얘기 또 하니?
Oh, there you go, bringing class into this again.

데니스 : 계급이 얼마나 중요한 건데요! 만일 민중이...
That's what it's all about! If only people would-

아서왕 : 제발! 제발, 백성들이여. 난 시간이 없다. 저 성에 누가 살지?
Please, please, good people! I am in haste! Who lives in that castle?

어머니 : 아무도 안 살아요.
No one lives there.

아서왕 : 그럼 당신네의 영주는 누구인가?
Then who is your Lord?

어머니 : 우린 영주 같은 거 없어요.
We don't have a Lord.

아서왕 : 뭐라고?!
What?!

데니스 : 말했잖수. 우린 아나르코생디칼리슴 코뮌이요. 우리는 매주 행정업무를 돌아가면서 맡아요.
I told you. We're and anarcho-syndicalist commune. We take in turns to act as a sort of executive officer for the week.

아서왕 : 그렇군.
Yes.

데니스: 하지만 그 주의 담당자의 모든 결정은 격주 회의에서 비준을 받아야죠.
But all the decisions of that officer have to be ratified at the special bi-weekly meeting.

아서왕 : 그래, 알겠노라.
Yes I see.

데니스 : 완전히 내부적인 안건은 단순 다수결로 결정하지만,
By a simple majority in the case of purely internal affairs.

아서 왕 : 조용히 하라!
Be quiet!

데니스 : 그렇지 않은 안건은 가결정족수 3분의 2의 다수결로.
But by a two-thirds majority in the case of more external affairs.

아서 왕 : 조용히 하라! 명령이다, 조용히 해!
Be quiet! I order you to be quiet!

어머니 : 명령? 지가 뭐라도 되나?
Order? Eh who does he think he is?

아서 왕 : 난 너희의 왕이란 말이다!
I am your king!

어머니 : 글쎄, 난 당신한테 투표한 적 없는데.[6]
Well I didn't vote for you.

아서 왕 : 왕은 투표로 뽑는 게 아니다.[7]
You don't vote for kings.

어머니 : 그럼 어떻게 왕이 됐는데요?
Well how'd you become king, then?

아서 왕 : 은은한 광채가 나는 순결한 금빛 옷을 걸친 호수의 여인이 (천사의 노래 BGM) 엑스칼리버를 물 위로 떠올렸다. 신성한 신의 섭리에 의거해 나 아서가 엑스칼리버를 갖게 되었다! (BGM 끝) 그것이 내가 너희들의 왕인 까닭이니라!
The lady of the lake, her arms clad in the purest shimmering samite, held aloft Excalibur from the bosom of the water! Signifying by divine providence, that I, Arthur, was to carry Excalibur. That is why I'm your king!

데니스 : 이봐요, 연못에 누운 이상한 여자가 칼을 나눠주는 건 정부체제의 기저가 될 수 없소. 최고행정권력이란 대중으로부터 위임받는 거지, 무슨 익살스런 수상 의식에서 나오는 게 아니라![8]
Listen, strange women lying in ponds distributing swords is no basis for system of government! Supreme executive power derives from the mandate of the masses! Not from some, farcical aquatic ceremony!

아서 왕 : 그만 조용히 하라!
Be quiet!

데니스 : 웬 물 많은 걸레[9]가 형씨한테 칼 한 자루 던져 줬다고 형씨가 최고행정권력을 얻을 수 있는 게 아니라고요!
Oh but you can't expect to wield supreme executive power, just because some watery tart threw a sword at you!

아서 왕 : 그 입 다물라!
Shut up!

데니스 : 만약 내가 돌아다니면서 "웬 촉촉하게 젖은 계집[10]이 나한테 시미터 한 자루를 걷어찬 걸 받았으니 나는 황제다" 그러면 사람들은 당장에 날 잡아다 처넣을 거요![11]
I mean, if I went around saying I was an emperor, just because some moistened bint have lobbed a scimitar at me, they'd put me away!

아서 왕 : (데니스의 멱살을 잡으면서) 닥쳐라! 닥치지 못할까!
Shut up! Will you shut up!

데니스 : 아, 드디어 체제 본연의 폭력을 드러내는군.
Ah, now we see the the violence inherent in the system.

아서 왕 : 닥쳐라!
Shut up!

데니스 : 모두 이리 와서 체제 본연의 폭력 좀 보게! 도와줘요! 도와줘요! 나 지금 억압받고 있어요![12]
Oh, come and see the violence inherent in the system! Help, help I'm being repressed!

아서 왕 : 염병할 농민놈!
Bloody peasant!

데니스 : 아이고 이젠 대놓고. 들었지, 방금 하는 말 들었지, 응? 이게 내가 늘 떠들던 그거야. 저놈이 나 억압하는 거 봤지, 자네들 봤지, 못 봤나?
Oh, what a giveaway. Did you hear that? Did you hear that? That's what I'm on about, did you see him repressing me?

그리고 나중에 잠깐이지만 다시 나온다. 자세한 내용은 로빈 경 참조.

그런데 뮤지컬판 스팸어랏에서는 작위를 받고 데니스 갤러해드으로서 일행에 동참한다. 기사가 된 것은 좋은데 농민 시절의 혁명가 마인드는 어디다 버리고 탐욕스럽고 속물적인 인간으로 캐릭터성이 바뀌어버린다. 보통 운동가나 재야 인사나 혁명 · 사상가 등 이상주의적인 사람이 정치에 참여하면 현실과 타협하거나 권력에 물들어 딴 사람이 되는 경우가 허다한데, 데니스의 이런 변화 역시 정치풍자인 셈이다.

3. 패러디

워크래프트 3농부 대사 중에는 이 데니스의 대사를 패러디한 내용이 있다. '글쎄, 난 당신한테 투표한 적 없는데.'라고 말하고, 반복 클릭하면 '살려 줘! 살려 줘! 탄압(Repress)받고 있어요!''[13]라고 말한다. 'repress'는 탄압하다는 뜻이지만 'Re-press'라고 생각하면 '다시 누르다'라고도 생각 할수 있기 때문에 반복 클릭 대사임을 생각하면 이중적인 의미의 개그다.

마운트 앤 블레이드에서 지도 위의 농부를 괴롭히면 '살려 줘! 살려 줘! 탄압받고 있어요!'라는 이름의 도전과제를 얻을 수 있다.

We Happy Few에서 주인공이 민간인을 때려서 기절시킨 후 '다들 와서 이 체제 본연의 폭력을 보라고!'라고 말한다.

문명 6사회 제도에서 '신권'(Divine Right)을 선택할 경우 인용 문구로 왕권신수설을 주장하는 제임스 1세[14]와 데니스의 대사[15] 중 하나가 나온다. 플레이어들의 평은 극과 극인데, 재치있다고 호평하는 이도 있는 반면, 인류의 역사를 다루는 진중한 게임의 분위기를 해친다고 싫어하는 사람들도 있다.

삼국전투기 한중 전투9화에서 유비가 한중을 점령하는 컷에서 등장한다.

월드 오브 워쉽 역사웹툰에서 리지 테일러가 아서 왕이 낚은 보팔래빗을 150mm 고폭탄으로 때려잡으며 예를 갖추라는 아서 왕에게 "통치권은 칼 하나 뽑아서 되는게 아니라 국민에게 위임받는 것"이라고 한방 먹인뒤 아서 왕의 보트를 포함으로 들이 받는다.

하스스톤의 호수의 여신 카드의 영어권 텍스트가 해당 내용이다. 한국판은 금도끼 은도끼다.

Hearts of Iron IV스페인의 국가 중점에서 아나키스트 중점을 선택하고 스페인 내전에서 승리시 얻는 업적의 이름이 Well, I Didn't Vote for You(글쎄, 난 당신한테 투표하지 않았는데) 이다.
[1] 어찌 보면 작중 배경이 현대라는 복선이다.[2] 근데 정작 배우분은 스탈린이 죽었다!에서 소련의 2인자격 중 하나인 뱌체슬라프 몰로토프역을 맡았다.[3] 아무래도 이런 이야기를 많이 하다보니 진절머리가 난 것일지도 모른다.[4] 6세기 앵글로색슨인의 침략, 11세기 노르만인의 정복을 거치면서 브리타니아 섬에서 살고있었던 브리튼인들은 앵글로색슨인의 문화에 동화되었고, 동화를 거부한 이들은 웨일스와 콘월, 바다 건너의 브르타뉴로 밀려났다.[5] 아나르코-생디칼리슴 코뮌의 일원이 '민족'이라는 개념에 동조할 리 없으니 의외로 정확한 묘사. 그러나 자신의 민족정체성을 자각하지 못하거나 특정 민족에 속하는 것을 거부하는 것과 브리튼인이란 개념 자체를 모르는 것은 차이가 있으니 무식하다고 여겨질 소지는 있다.[6] 데니스의 어머니도 만만찮게 깨어 있다는 걸 보여주는 이 대사는 워크래프트 3의 피전트 대사에서 패러디된다.[7] 놀라운 사실은 아서의 시대인 6세기로부터 수백년 뒤 신성 로마 제국은 신성 로마 황제를 투표로 선출한다. 물론 이는 전 국민의 보통선거가 아닌 한정된 선거권자(선제후)가 뽑는 거고 "왕"을 뽑는건 아니다. 그리고 프랑스 역시 서프랑크의 왕통이 단절되자 위그 카페가 선출되어 즉위해 시작된 국가다. 현재도 바티칸이나 캄보디아 같이 선거군주제를 시행하는 국가가 몇개가 있다. 사실 그렇게 멀리 갈 것도 없이 7세기의 정통 칼리파 시대도 선거군주제를 실시했다.[8] 재미있게도, 실제 역사적인 봉건제 사회의 형성과정도 위에서부터 분할되는 게 아니라 아래서부터 수렴되는 과정이었다. 대중까지라고는 단언하기 어렵지만, 적어도 하층 지배계급부터 권력이 연합하면서 상층 지배계급을 형성해나갔다. 아예 선거군주정이었던 신성로마제국은 물론이고, 프랑스 왕국도 초기에는 각 영역제후가 자기 아래 봉신(vassal)과는 달리 국왕이나 다른 영역제후와 대등하다는 의미에서 "동료"(pair, peer)라는 말을 썼을 만큼 중앙/군주의 권력이 미약했다.[9] watery tart.[10] moistened bint.[11] put me away 는 감옥 또는 정신병원에 처넣다는 뜻이며 데니스는 후자를 의도했을 것이다. 여기가 사실 중세시대가 아니라는 복선이다.[12] 이 대사도 워크래프트 3의 농부 대사로 패러디 되었다.[13] 더빙판에선 이 개그를 살리지 못하고 "제발 도와주십쇼! 이 사람한테 붙잡혔어요."라 번역되었다.[14] 이 왕의 권력에 관한 부분은 다음 신성한 공리로 마무리하겠다. 하나님이 할 수 있는 것에 대해 반박하는 것은 신성모독이다. 그러므로 왕이 할 수 있는 것에 대해 반박하는 것은 선동이다.[15] 잘 들어봐, 이상한 여자가 연못에 누워 칼을 나눠주는 건 정치제도의 기반이 될 수 없어. 단순히 물에 흠뻑 젖은 여자가 칼을 던져줬다고 최고 권력을 행사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