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콜라이 보골류보프의 주요 수상 이력 | ||||||||||||||||||||||||||||||||||||||||||||||||||||||||||||||||||||||||||||||||||||||||||||||||||||||||||||||||||||||||||||||||||||||||||||||||||||||||||||||||||||||||||||||||||||||||||||||||||||||||||||||||||||||||||||||||||||||||||||||||||||||||||||||||||||||||||||||||||||||||||||||||||||||||||||||||||||||||||||||||||||||||||||||||||||||||||||||||||||||||||||||||||||||||||||||||||||||||||||||||||||||||||||||||||||||||||||||||||||||||||||||||||||||||||||||||||||||||||||||||||||||||||||||||||||||||||||||||||||||||||||||||||||||||||||||||||||||||||||||||||||||||||||||||||||||||||||||||||||||||||||||||||||||||||||||||||||||||||||||||||||||||||||||||||||||||||||||||||||||||||||||||||||||||||||||||||||||||||||||||||||||||||||||||||||||||||||||||||||||||||||||||||||||||||||||||||||||||||||||||||||||||||||||||||||||||||||||||||||||||||||||||||
|
<colbgcolor=#000><colcolor=#fff,#ddd> 니콜라이 보골류보프 Николай Боголюбов | |
출생 | 1909년 8월 21일 |
러시아 제국 니즈니노브고로드 | |
사망 | 1992년 2월 13일 (향년 82세) |
러시아 모스크바 | |
국적 | [[소련| ]][[틀:국기| ]][[틀:국기| ]] |
직업 | 이론물리학자 |
분야 | 입자이론(양자장론) |
학력 | 벨리카쿠르차 중등학교 (졸업) 우크라이나 SSR 학술원 (물리학 / 준박사) 우크라이나 SSR 학술원 (물리학 / 박사) |
경력 | 키예프 대학교 (교수) 우파 국립항공기술대학교 (학과장) 모스크바 국립대학교 (교수) 스테클로프 수학 연구원 본원 (교수) 합동핵물리연구소 (소장) |
종교 | 러시아 정교회[1] |
[clearfix]
1. 개요
소련의 수학자이자 이론물리학자로 분야는 양자장론이다.2. 생애
1909년 러시아 제국 니즈니노브고로드에서 정교회 신부이자 신학교 강사였던 니콜라이 보골류보프와 올가 보골류보바 사이에서 출생했다.그가 출생하고 난 6개월뒤, 그의 아버지가 니진의 신학교에 초빙됨에 따라, 그의 일가족은 우크라이나로 이주했고, 니진에서는 1913년까지 거주했다.
1913년부터 1915년까지 홈스쿨링을 했고, 키예프 김나지움에 서 수학했다. 우크라이나 독립전쟁이 벌어지자 그의 일가족은 전쟁을 피해 벨리카 쿠르차라는 마을로 피난했으며, 그도 키예프 김나지움을 중퇴하고 벨리카 쿠르차의 중등학교에서 1921년에 졸업했다.
그의 엄청난 천재성은 가세가 기울었을때 발현되기 시작했는데, 중등학교를 졸업하자마자 키예프 대학교의 물리학 세미나에 참석하기 시작했고, 1924년에 선형미분방정식의 해에 관한 논문을 게재했다. 이듬해에 우크라이나 SSR의 준박사 프로그램에 들어가서 19살인 1928년에 다변수 미적분에 관한 논문으로 준박사 학위를 받고, 1930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다.
3. 연구 약력
1925년부터 1940년대까지 해석학과 미분방정식을 주로 연구했고, 분야는 다변수 미분방정식과 비선형동역학을 주로 선택했다. 1932년부터 니콜라이 크릴로프와 협력 연구를 하면서 측도 불변 이론에 관한 정리인 크릴로프-보골류보프 정리를 소개하기도 했다.1957년에는 파라시우크와 함께 양자전기역학에서 전파인자의 섭동에 파울리-빌라르 조절을 사용한 보골류보프-파라시우크 재규격화를 소개했다. 이후, BP 재규격화를 클라우스 헤프와 볼프하르트 짐머만이 각각 수학적으로 다듬은 논문을 발표하면서 BPHZ 재규격화로 명명되었다.
[1] 정교회 신부의 자녀로써 가난하게 살았고, 홀로도모르, 스탈린의 대숙청과 흐루쇼프의 정교회 탄압을 겪고도 믿음을 잃지 않았다는 일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