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드르 자몰롯치코프의 주요 수상 이력 | ||||||||||||||||||||||||||||||||||||||||||||||||||||||||||||||||||||||||||||||||||||||||||||||||||||||||||||||||||||||||||||||||||||||||||||||||||||||||||||||||||||||||||||||||||||||||||||||||||||||||||||||||||||||||||||||||||||||||||||||||||||||||||||||||||||||||||||||||||||||||||||||||||||||||||||||||||||||||||||||||||||||||||||||||||||||||||||||||||||||||||||||||||||||||||||||||||||||||||||||||||||||||||||||||||||||||||||||||||||||||||||||||||||||||||||||||||||||||||||||||||||||||||||||||||||||||||||||||||||||||||||||||||||||||||||||||||||||||||||||||||||||||||||||||||||||||||||||||||||||||||||||||||||||||||||||||||||||||||||||||||||||||||||||||||||||||||||||||||||||||||||||||||||||||||||||||||||||||||||||||||||||||||||||||||||||||||||||||||||||||||||||||||||||||||||||||||||||||||||||||||||||||||||||||||||||||||||||||||||||||||||||||||||||||||||
|
<colbgcolor=#000><colcolor=#fff,#ddd> 알렉산드르 자몰롯치코프 Александр Замоло́дчиков | |
| |
본명 | 알렉산드르 보리소비치 자몰롯치코프 Алекса́ндр Бори́сович Замоло́дчиков Alexander Borisobich Zamolodchikov |
출생 | 1952년 9월 18일 ([age(1952-09-18)]세) |
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 노보이반코 | |
국적 |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직업 | 이론물리학자 |
분야 | 입자이론(양자장론) 통계물리이론(통계장론) |
학력 | 모스크바 물리기술원 (물리학 / 석사) 이론실험물리연구소 (이론물리학 / 준박사[1]) 란다우 이론물리학 연구원 (이론물리학 / 박사[2]) |
경력 | 이론실험물리연구소 (박사후연구원) 란다우 이론물리학 연구원 (박사후연구원) 란다우 이론물리학 연구원 (교수) 유럽 입자물리연구원 (방문연구원) 러더퍼드 애플턴 연구소 (방문연구원) 합동원자핵연구원 (방문연구원) 프린스턴 대학교 (방문연구원) 럿거스 대학교 (교수) NYSB 양전닝 이론물리연구소 (종신교수) 미국국립과학학술원 (회원) |
링크 |
[clearfix]
1. 개요
러시아와 미국의 이론물리학자. 분야는 양자장론과 통계장론이다. 재규격화군 형식론의 거장으로, 2차원 등각양자장론을 고안했으며, 그외로 BPZ 방정식, c 정리, KZ 방정식, W 대수, TT 분해등을 고안했다.2. 생애 약력
1952년 9월 18일 소련 모스크바 북쪽애 있는 노보이반코에서 핵물리학자 보리스 자몰롯치코프 슬하에서 출생했다. 그의 쌍둥이 형제는 훗날 같은 이론물리학자가 되는 알렉세이 자몰롯치코프였다.그의 쌍둥이 형제와 함께 모스크바 물리기술원의 물리학부에 진학하여 1975년에 졸업했다. 물리기술원을 졸업한뒤 쌍둥이 형제 알렉세이와 함께 알리카노프 이론실험물리 연구소(ITEP)로 진학하게 되었는데, 알렉세이는 두브나 연구소(합동핵물리연구소)에서 소속을 두며 연구를 했다.
ITEP에서 학생 연구원으로 재학하는 동안, 양자 사인 고든 모델과 공변 경로적분을 주제로 연구했다. 1975년부터 1977년까지 양자 사인 고든 모델의 형식론에 관한 논문을 5편 출간하고, 1977년 양자 사인 고든 모델의 산란 행렬을 주제로 준박사(кандидат наук) 학위를 받았다.
1978년부터 란다우 이론물리학 연구원에 재직하기 시작했고 1983년까지는 2차원 산란 행렬에 대해서 주로 연구했으며, 양자장론과 통계장론의 정확 산란 행렬의 가해성을 주제로 박사 학위(Доктор наук)를 받았다.
3. 연구 약력
알렉산드르 자몰롯치코프가 연구를 시작한 1975년부터 박사(доктор) 학위를 받았던 1983년까지는 주 연구 주제가 정확 산란 행렬의 형식이었다. 1975년부터 1978년까지의 연구주제는 양자 사인 고든 모델의 형식론으로, 사인 고든 모델의 사인 함수 해를 산란 행렬에 적용시켰다. 사인 고든 모델이 적용된 솔리톤-반솔리톤 상호작용의 정확 산란행렬과 정확 산란행렬의 표현으로부터 나오는 상수 함수의 형식을 고안했다.[3] 또한 상기된 형식을 이용하여 분해된 정확한 산란 행렬의 해를 정리하기도 했다. 1979년부터 1983년까지는 산란행렬의 대수에 대해 좀 더 집중적으로 연구했다. 산란 행렬의 원소 [math(Z(N))]의 연산과 대칭을 만족하는 산란 행렬을 밝혀냈으며, 양-벡스터 방정식의 산란 행렬과 정확 산란 행렬을 비교하기도 했다.1984년에는 알렉산드르 벨랴빈, 알렉산드르 폴랴코프와 함께 국소 장 및 연산자 대수를 활용한 상관관계함수의 편미분 방정식을 도출했다. 이 방정식은 등각 변환에 불변하며, 상관관계함수의 연산자 곱 전개를 통해서 비라소로 대수[4]를 복소해석적으로 설명했다.[5] 비라소로 대수의 복소 해석적인 유도는 이들의 방법으로부터 기원했다. 이 편미분 방정식은 BPZ 방정식이라고 불리우며, 등각군 성분을 가진 국소장과 연산자로 구성된 상관관계함수의 좌표 불변을 설명하고, 상관관계함수로 비롯된 비라소로 대수의 유도로 2차원 등각 양자장론이 정립되었다.
1985년부터 비라소로 대수와 BPZ 방정식을 주제로 연구했다. 1985년에는 바딤 니즈닉과 함께, BPZ 방정식에서 변수를 변형시킨 니즈닉-자몰롯치코프 방정식을 고안했다. 1986년에는 중심 전하(central charge)의 해석적 특징을 주제로 연구했다. 발산하는 중심 전하를 커플링 상수로 가정하고, 재규격화군 방정식(RGE)을 적용하여 눈금 변화를 주었을때 0보다 작거나 같고, 재규격화군 흐름(RG Flow)의 고정점(fixed point)가 안정적이라는 두 조건을 c 정리로 정리했고 c 정리를 만족하는 함수는 c 함수로 지칭되었다.[6] 이외에도 BPZ 방정식을 구성하는 원소중 하나인 운동량 에너지 텐서로부터 W 대수를 고안하기도 했다.
[1] 준박사학위논문 : Точная S-матрица квантовой модели Sine Gordon = 양자 사인 고든 모형의 정확 산란 행렬(1977).[2] 박사학위논문 : Точно-решаемые модели квантовой теории поля и статистической физики = 양자장론과 통계물리의 정확하게 가해 가능한 모델(1983)[3] А. Б. Замолодчиков, Точная двухчастичная S-Матрица квантовых солитонов модели Sine-Gordon, Письма в ЖЭТФ, 25, 499 (1977)[4] 미겔 비라소로가 베네치아노 방정식에서의 커플링 공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대수적인 조건이다.[5] A. A. Belavin, A. M. Polyakov, A. Zamolodchikov, Infinite conformal symmetry in two-dimensional quantum field theory, Nucl. Phys. B 241 (1984) 333[6] А. Б. Замолодчиков, О Необратимости потока ренормализационной нруппы в двумерной теории пола, Письма в ЖЭТФ, 43, 565 (1986)